건강한 소금이 있나요? 소금의 종류와 성분


건강한 소금 ?

오늘은 일반적으로 건강에 해롭다고 생각이 되는 소금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과연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건강한 소금이 있는지 소금의 종류와 성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금은 다양한 색상과 질감으로 제공되어 요리에 빠질 수 없는 요소입니다. 만일 방금 요리한 음식이 싱겁다고 생각해 볼까요? 기대했던 짠맛이 나지 않는 다는건 그만큼 요리에 중요한 부분이죠. 최근에 성인병과 관련해서 소금의 과도한 섭취가 나쁘다는 팩트와 다르게 일부 소금은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상님씨가 사용해서 다소 많은 분들이 알게된 히말라야 핑크 소금 같이과 같이 높아지는 소금의 인기가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와 시너지 효과가 나면서 가격이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건강한 소금이 있나요? 소금의 종류와 성분 1

 

어쨋든, 이 특별한 소금으로 요리 할 때 색과 질감이 모두 달라지기 마련이죠. 과연 특정 소금을 이용해서 건강상의 이익을 가져오거나 혹은 비싸게 주고 먹을 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오늘은 소금의 종류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고 건강한 소금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소금 이란?

소금은 나트륨과 염소원소로 만들어진 무기물 덩어리로, 결정화 된 물질인 염화나트륨을 형성하고, 요리, 건강 유지 및 심지어 언 도로를 녹이는데 사용되고 있죠. 보통은 정제된 소금, 천연소금, 더 자연적인 상태의 암염으로 크게 구분됩니다. 소금은 바닷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염분 농도가 약 3.5%에 이르는 주요 무기물이죠. 소금의 대부분은 바닷물을 증발시키거나 소금광산에서 캐어서 만들어 냅니다.

 

소금과 몸 기능

소금은 인간의 생명과 신체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나트륨과 염소는 세포 균형, 순환 및 혈당 수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요소죠. 일반적인 전해질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및 중탄산염이 있는데요, 그 중 나트륨은 주로 전해질을 관리하는 미네랄 중 하나입니다. 적절한 나트륨이 없으면 뇌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한 필요한 전기 자극을 신체의 나머지 부분에 보낼 수 없습니다.

우리 몸이 적절한 기능을 하기 위해 적절한 양의 나트륨을 필요로 하지만, 반대로 너무 많은 소금을 섭취하면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다량의 소금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몸에 수분 유지시킵니다. 상승된 나트륨은 혈청 나트륨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우리 몸의 수분을 유지시키게 되죠.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용은 우리 몸의 보호반응이며, 균형을 위한 작용입니다. 보통 고혈압을 앓고 있는 분들에게는 과량의 나트륨이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소금 섭취를 하지 않거나 줄이도록 권장하고 있답니다.

소금과 건강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는 많은데, 사실상 소금 종류를 서로 비교하고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신뢰할만한 증거가 매우 부족합니다. 결국 이런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특수염에 대한 혼동이 생기게 되겠죠. 소금의 종류에 상관없이 같은 양의 나트륨을 함유합니다. 한 티스푼의 소금에는 약 2,4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습니다.

 

건강한 소금

 

소금의 종류

미국의 경우 하루 섭취하는 나트륨의 최대 섭취량을 2,300mg (소금 5.8g)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평균 소비자 섭취량은 하루에 9g의 소금(3,600mg Na)을 권장합니다. 자칫 소금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이런 권장 섭취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금 종류에 따른 특성을 알고 계시면 보다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소금(식염, Table Salt)

일반 소금 혹은 식염은 요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금이며, 일반적으로 요오드가 첨가되어 요오드화된 소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요오드는 갑상선종을 예방을 돕기 위해 추가되었습니다. 일반 소금은 세밀하고 과립화된 소금으로 요리시 좋은 선택입니다.

 

코셔 소금(Kosher Salt)

코셔 소금은 거친 알갱이 소금으로, 요리에 사용되면 요리 및 음료에 바삭 바삭한 질감을 더할 수 있습니다.코셔 소금 티수푼 하나에 들어 있는 나트륨을 일반 소금과 비교해보면 더 낮은 나트륨을 가집니다. 코셔 소금이 더 거친 알갱이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단순히 스푼을 이용한 계량으로는 코셔 소금이 덩어리를 이루니 스푼에 담기는 양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죠. 하지만, 동일 무게를 측청해보면, 일반 소금과 코셔 소금의 나트륨양은 동일합니다.

 

바다 소금(Sea Salt)

바다 소금은 미세한 결정체 일 수도 있고, 큰 결정체 일 수 있습니다. 바다 소금은 해수의 증발에 의해 만들어 지는데요, 예를 들어 흑해, 켈트족, 프랑스 (플루 드 셀) 또는 하와이 바다 소금이 있습니다. 바다 소금은 미량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 조리시 다른 맛을 낼 수 있지만 건강상의 이점은 없습니다. 바다 소금은 여전히 소금이며 다른 소금과 같은 무게의 나트륨이 같은 양을 가집니다.

 

핑크 히말라야 소금(Pink Himalayan Salt)

핑크 히말라야 소금은 요리에서 마무리용 소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요리 끝에 맛과 바삭 바삭한 질감을 더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죠. 핑크 히말라야 소금에는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지만 다른 종류의 소금과 비교할 때 건강상의 이점이 없습니다. 역시나 다른 소금과 같은 무게 당 같은 양의 나트륨을 제공합니다.

 

소금 대용품(Salt Substitute)

소금 대용품은 나트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칼륨, 마그네슘 또는 다른 무기물로 대체하는 소금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라이트 소금은 절반의 염화나트륨과 절반의 염화칼슘으로 구성된 제품이죠. 소금 대용품은 나트륨을 제한해서 섭취해야 하는 식이요법을 하는 분들이 사용할 수 있지만, 신장에 문제가 있는 분이라면 사용전에 의사와의 상의가 필요합니다.

 

양념 소금(Seasoned Salt)

양념 소금은 샐러리 소금, 마늘 소금 또는 양파 소금과 같이 허브와 약초 및 향료가 첨가된 소금입니다. 식단에서 나트륨의 양을 줄이려면 셀러리 씨앗, 마늘 가루 또는 양파 박편과 같이 나트륨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허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소금의 종류별 나트륨 수준

단순히 소금의 종류에 따른 건강상의 잇점 보다는 맛과 취향에 따라 소금을 고른다고 합니다. 소금의 종류에 관계없이 대개 같은 양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른 미량의 무기물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소금 종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일반 소금 39.1% 0.09% <0.01% <0.01%
바다 소금 38.3% 0.08% 0.05% <0.01%
히말라야 소금 36.8% 0.28% 0.1% 0.0004%
켈트 해염 33.8% 0.16% 0.3% 0.014%

소금의 질감, 맛 및 비용

연구에 따르면 소금의 선호도는 칼륨과 마그네슘과 같은 미량 무기물 함량이 맛이 어떻게 작용하는지가 중요한 반면, 소금에 들어 있는 나트륨 함량은 조사된 소금에서 전반적으로 유사한 수치로 나왔다고 합니다. 또한 각 소금에 들어있는 무기질 함량 비교는 수치가 작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소금 종류를 선택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식감의 경우에는 마무리용 소금인 핑크 히말라야 소금이 매우 특이합니다. 소금의 가격은 아무래도 소금과 건강에 관련한 마케팅 광고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소금 제품에 대한 비용이 오히려 올라가는 추세를 보입니다.

 

가장 건강한 소금은?

소금은 건강 및 요리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한 가지 종류의 소금이 다른 어떤 것보다 건강한 경우 명확한 설명이 필요한데, 환경적인 문제점이나 기타 첨가된 요소들을 제외하고 소금의 성분으로만 비교해 본다면, 모든 소금은 나트륨 함량과 미네랄 함량의 차이가 거의 비슷합니다. 따라서 좋다는 소금을 두고 더 많이 넣는 다던가 혹은 저염이라고 해서 더 먹어도 된다는 생각은 일단 위험하다고 판단이 됩니다.

✚ 소금은 요리의 풍미를 위해 추가되는데, 이때 영양적인 요소가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티 한스푼의 소금에 들어 있는 나트륨 함량은 2,4oo mg 인데, 하루에 2,300 mg 정도의 나트륨 섭취가 권장이 됩니다. 아무래도 한식의 경우 소금 함량이 많은 음식들이 기본 메뉴에 포함이 되어 있죠. 특히나 국 같은 경우에는 많은 소금이 들어가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고혈압을 가진 분들은 소금 섭취를 장기적으로 제한하거나 아예 식단에서 빼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건강한 소금은 적당히 먹는 것’

 

 

[관련글] 소금 섭취량 : 얼마나 먹어야 하나요?

 

[Mov] Which Type of Salt is The Healthiest?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