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증상 : Panic Attack and Panic Disorder
불안과 발작
오늘은 공황장애 증상과 공황발작, 그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불안감이 높아지면 공황발작(panic attack)이 일어납니다. 누구나 공황발작을 일으킬 수 있지만 공황장애의 특징적인 증상이기도 합니다. 빠른 심장박동, 빠른 호흡, 발한, 떨림 및 기타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불안장애가 없는 사람이라도, 어떤 사건이 불안을 유발하면 공황발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공황발작과 공황장애는 모든 인종적 배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합니다.
공황발작-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이 증상은 공황장애가 매우 심하여 거의 죽을 것 같은 공포심이 유발되는 것으로, 강렬한 불안과 함께 심계 항진, 온몸 떨림, 호흡 곤란, 흉통이나 가슴 답답함, 어지럼, 발한, 질식감, 손발 이상 감각, 머리가 멍함,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이나 실제로 잠깐 실신하는 것 등의 신체 증상이 나타납니다. 첫 공황발작은 피곤, 흥분, 성행위, 정서적 충격 등을 경험한 뒤 나타나는 경향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예측이 어렵고 갑작스럽게 나타납니다. 10분 이내에 증상이 최고조에 도달하여 극심한 공포를 야기합니다.
공황발작, 공황장애 증상
공황 상태는 가벼운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공황발작(panic attack)은 종종 직접적인 방아쇠 또는 사건에서 비롯되지만 명백한 원인이 없이 갑자기 무작위로 시작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위험에 대한 진화론적 반응에서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공황발작은 우리의 삶에서 가장 격렬하고, 무섭고, 불편한 경험 중 하나라고 합니다.
미국의 심리학 협회(APA)에 따르면 발작(attack)은 15초 동안만 지속될 수 있지만 증상은 약 30분 이상, 때로는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미국의 불안 및 우울증 협회(Axiety and Depression Association of America)에 따르면, 공황발작은 다음 증상 중 적어도 4 가지를 포함합니다.
- 가슴 통증과 불편
- 오한 또는 비정상적으로 더운 느낌
- 비현실적이거나 분리된 느낌
- 현기증과 가벼운 두통 느낌
- 죽음에 대한 강력하고 갑작스러운 두려움을 경험
- 마치 사람이 통제력을 상실하거나, ‘미쳐가는’ 것처럼 느끼는 것에 대한 두려움
- 질식 느낌
- 심계항진, 불규칙한 심박동 또는 빠른 심박수
- 메스꺼움과 배탈
- 마비 또는 따끔거림
- 흔들리거나 떨림
- 발한
- 호흡 곤란, 질식하는 느낌
공황발작은 또한 개인이 위험하다고 생각하거나 탈출하기 어려운 장소에 대한 두려움인 광장공포증(agoraphobia)과 관련 될 수 있습니다. 공황발작을 경험 한 분들은 종종 갇힌 느낌이 들었다고 말합니다.
때로는 공황발작과 관련된 증상이 다른 의학적 질환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로는 폐질환, 심장질환 또는 갑상선 문제가 있습니다. 때때로 사람은 심장 마비로 응급 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불안이 진정한 원인입니다. 공황발작은 치료가 가능하며, 심기증(건강염려증, hypochondriac)이거나 정신적으로 아픈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공황장애 란?, Panic Disorder
공황장애(panic disorder)는 의학적 기저질환이며 공황발작은 증상입니다. 미국의 불안 및 우울증 협회(Axiety and Depression Association of America)에 따르면 약 6 백만 명의 미국인이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성은 이 질환을 경험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18세 ~ 25세 사이의 성인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 질환은 사람이 여러 공황발작을 경험했고, 또 다른 공황발작이 일어날 것을 두려워 할 때 발생합니다. 모든 사람이 삶에서 한 번쯤 공황발작을 경험할 수 있지만,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은 재발되는 발작을 경험합니다.
또 다른 발작을 경험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친구나 가족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분들은 외부나 공공 장소에 가는 것을 두려워 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는 우리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치료해야 합니다.
공황장애의 원인 : 편도체, 아드레날린
전문가들은 어느정도 불안과 공황이 우리 생존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생존에 필요한 수준이 너무 높아져 규칙적인 사고과정을 훼손하면 사람은 당연히 두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뇌가 임박한 위험을 경고하도록 설계된 신경신호의 갑작스러운 증가가 생기면, 뇌의 일부인 편도체(amygdala)가 활성화됩니다. 편도체는 우리의 불안한 반응을 조절합니다. 어떤 분들의 편도체는 임박한 위험이 없을 때도 불안에 반응하여, 높은 불안과 공황발작을 경험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뇌의 편도체, amygdala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측두엽 내측에 있는 신경핵의 집합체로 변연계(limbic system)에 속하며, 동기와 기억, 주의 및 학습, 감정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한다.
사람이 불안에 반응하라는 신호를 받으면 에피네프린(epinephrine)이라고도 알려진 아드레날린(adrenaline)이 생성됩니다. 아드레날린은 부신(adrenal glands)에서 방출됩니다. 어떤 분들은 아드레날린을 ‘공포 또는 도피’ 호르몬(fright or flight hormone)이라고 부릅니다.
우리 몸에 아드레날린이 방출되면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땀이 나며, 위가 튀틀되며 불규칙한 호흡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들은 모두 공황발작의 특징입니다. 임박한 위험이 없고 우리 몸에 아드레날린이 적재되어 있으면, 해당 호르몬은 도피를 위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아드레날린의 축적은 공황발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위험요인으로 인해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유전적인 요소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가 있는 부모 나 형제 자매와 같은 가까운 가족 구성원이 있는 분은 공황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큽니다.
가족력 외에도 주요 스트레스나 삶의 변화로 불안과 공황발작이 증가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사랑하는 사람을 잃거나 이혼을 하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 이력이 있는 경우 공황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흡연 또는 과도한 양의 카페인 섭취와 같은 습관도 공황장애와 관련된 위험요소입니다.
또한 공황발작은 범불안장애(GA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강박장애(OC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및 외상후스트레스 장애(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와 같은 질환과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발작을 유발할 특정 사건이나 가족 기록이 없는 경우도 보입니다. 경고 없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ov] Panic disorder – panic attacks, causes, symptoms, diagnosis, treatment & pathology
공황장애의 진단
미국의 심리학 협회(APA)는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 (DSM-5,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을 발간합니다. 이 매뉴얼에는 의사가 우울증이나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건강장애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준이 나열 되어 있으며, 진단 표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빈번하고 갑작스런 공황은 공황발작의 징후 일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빈번하고 예기치 않은 공황발작 경험
- 공황발작과 통제력 상실과 같은 동반 증상에 대한 두려움이, 적어도 한 달 동안 지속되는 경우. 사람들 앞에서 공황발작을 일으키는데 대한 두려움으로 자신의 행동을 크게 바꿀 수 있습니다.
- 특정 약을 복용하거나 사회공포증(social phobia)과 같은 다른 정신건강장애가 있는 공황발작
이러한 증상이 있는 사람은 공황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치료
공황장애(panic disorder)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은 약물치료와 심리치료 세션입니다. 미국의 경우 ‘대화치료 요법’으로 알려진 심리요법은 면허를 취득한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의하여 두려움 극복을 목표로 공황 발작의 잠재적 트리거를 식별합니다. 약물치료는 또한 심각한 불안을 유발할 수 있는 뇌의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 불균형을 교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알프라졸람(alprazolam, Xanax) 또는 클로나제팜(clonazepam, Clonopin)과 같은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s
- 플루옥세틴(Fluoxetine, Prozac), 파록세틴(Paroxetine, Paxil) 또는 설트랄린(Sertraline, Zoloft)과 같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SSRI)
-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chloride, Effexor XR)와 같은 세로토닌(Serotonin)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때때로 불안장애가 있는 분에게는 한 가지 약물이 효과가 있지만, 다른 약물에는 효과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항상 잠재적인 이점과 부작용에 대해 논의해야 합니다.
미국의 국립정신건강원(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에 따르면, 의사는 베타차단제라고 하는 약을 처방 할 수도 있는데, 이로 인해 심박수가 너무 빨라지고, 더 큰 불안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공황장애 예방
공황장애에 대한 이러한 의학적 치료 외에도 일부 생활습관 변화는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의 발생률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카페인, 흡연 또는 기분전환 약물사용을 포함하여 공황장애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 피하기
- 매일 밤 충분한 수면
- 정기적인 공황발작을 경험하는 분들을 위한 지원그룹에 가입
- 요가 연습, 심호흡 또는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같은 삶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조치
공황장애 합병증
치료받지 않으면 공황장애가 우리의 삶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합병증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일상생활의 우려를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코올 또는 기타 물질 남용
• 광장공포증과 같은 공포증 발병
• 재정문제 경험
• 자살 생각의 위험 증가
• 사회적 상황을 자제
• 건강 문제로 빈번한 치료가 필요
공황장애 치료를 받으면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 다양한 공포증 유형과 증상 : 이런 것도 두려워?
1 Response
[…] 공황장애 (panic disord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