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심성 신경과 원심성 신경 : 신경계 구조
신경계의 구조
우리 몸의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뉩니다. 중추신경계의 주요 구성은 뇌와 척수이고 말초신경계는 각각의 중추신경계에서 나온 신경의 분지들로 구성이 됩니다.
중추신경계 |
말초신경계 |
뇌 |
뇌신경 12쌍
후각신경, 시각신경, 눈돌림신경, 도르개신경, 삼차신경, 갓돌림신경, 얼굴신경, 속귀신경, 혀인두신경, 미주신경, 더부신경, 혀밑신경 |
척수 |
척수신경 31쌍
|
신경계의 구조는 중추와 말초로 이루어진다.
중추신경계는 다시 뇌와 척수로 나뉘고
이 뇌와 척수에서 뇌신경12쌍과 척수신경31쌍의
말초신경이 나온다.
신경계의 기능
신경을 ‘신호’를 전달하는 전화선으로 비유했을때 전달방법을 알아보자면 하나는 뇌와 척수등의 중추신경계에서 말초신경계로 전달하는 방향이고, 한 방향은 반대로 말초에서 중추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전자를 원심성, 후자를 구심성 신경이라고 한다. 이것들은 순수하게 기능면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해부학적인 구조로도 분별할 수 있다.
원심성 신경
먼저 원심성 신경에 대해 알아보자면 이 신경은 근육을 움직이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데 그 근육에는 두 종류 차이가 있다. 하나는 골격근, 하나는 평활근이다. 골격근은 뼈에 결합되어 있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에 수의근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이 수의근의 운동을 담당하는 원심성 신경을 운동 신경이라고 한다. 나머지 하나, 평활근의 경우 위의 유문활동등을 관리하는데 이 평활근의 운동을 담당하는 원심성 신경을 자율 신경이라고 한다.
근육의 차이를 골격근과 평활근으로 나누었으나 하나의 예외가 있다. 그것은 바로 심장근이다. 심장의 수축이 의지력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생각하면 알 수 있듯, 운동신경지배가 아니고 자율 신경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원심성 신경 운동신경 : 의지에 의해 컨트롤 가능→골격근 지배
자율신경 : 의지에 의해 컨트롤이 불가능→평활근을 지배
구심성 신경
구심성신경은 말초조직에서 얻은 신호를 뇌로 전달하는 신경이다. 외부로 부터의 여러 자극은 감각수용기에 의해 파악된다. 감각에는 크게 두 가지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체성 감각, 또 하나는 내장 감각이다.
체성 감각은 ‘몸에서 느끼는 감각, 내장감각은’ 내장에서 느낀 감각 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내장이외의 몸에서 느낀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이 체성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체성 감각에는 표재 감각(온도, 통증, 촉감)과 심부 감각(관절 위치, 압통, 진동)이 있다.
구심성신경 체성신경구심로 : 체성감각을 전달하는 신경
자율신경 구심로 : 내장감각을 전달하는 신경
[관련글] 요골신경마비 : 토요일밤 증후군, 신혼여행마비
[Mov] Afferent vs Efferent – Cranial Nerve Moda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