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섬유 유형2 : 수축성 및 대사특성(표정리)
근섬유의 분류
개개의 근섬유는 수축률, 긴장, 피로에 대한 민감성에 있어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 조직학적 관찰 및 수축성, 대사 특성에 따라 근섬유를 3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섬유의 형태는 ATP를 발생시키는 대사과정과, 근절의 수축계통에 이용되는 에너지의 비율에 의해 나뉘어지며, 이것이 또한 수축의 속도를 결정한다.
I형 (SO) 산화섬유 |
IIA형(FOG) 산화 -해당섬유 |
IIB형(FG) 해당섬유 |
|
---|---|---|---|
수축속도 | 느림 | 빠름 | 빠름 |
미오신 – APT활동 | 낮음 | 높음 | 높음 |
당분해 효소 활동 | 낮음 | 중간 | 높음 |
미토콘드리아 수 | 많음 | 많음 | 적음 |
모세혈관 | 많음 | 많음 | 적음 |
myoglobin함량 | 높음 | 높음 | 낮음 |
근육의 색 | 적색 | 적색 | 백색 |
섬유 직경 | 작음 | 중간 | 큼 |
피로율 | 느림 | 중간 | 빠름 |
☑ I형, SO(Slow- twitch oxidative)형
• 수축시간이 느리고 산소이용도가 높아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 등장성 수축에 효과적이며, 지속적이고 낮은 강도의 일에 적합하다.
•섬유의 직경이 짧아 비교적 작은 긴장을 일으킨다.
☑ IIA형, FOG(Fast-twitch oxidative-glycolytic myoglobin)형
• Red와 white의 중간이다.
• 비교적 오랫동안 수축활동에 견딜 수 있다.
• 함량이 높아 적근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IIB형, FG(Fast-twitch glycolytic)형
• 근의 직경이 길어 근긴장을 빨리 일으킬 수 있지만 수축시간이 짧아 쉽게 피로
해진다.
• 짧은 시간에 강력한 운동을 하는 데 효과적이다.
기본형태상의 분류
긴장성(Tonic)과 위상성(Phasic) 근육
Tonic | Phasic | |
---|---|---|
fiber type | SO fiber | FG fiber |
fiber arrangement | 익상형 | 수평 |
location | Deep & cross one joint | superficial & one joint 이상 지나감 |
function | 안정성 | 운동성 |
action | Ext. Abd. Ext Rot | Flex. Add. Int Rot |
training 효과 | 빠르게 반응 | 느리게 반응 |
반응요소 | 단축과 tightness 과다 스트레스 | 근력감소 |
고정(immobilization) 시킬 때 |
느리게 반응 | 매우 빠르게 반응 |
분출형(Spurt)과 문합형(Shunt)
■ 분출형
근육의 근위 부착점이 관절에서 멀리 있고 원위부착점이 관절에 가깝게 있다. 회전적 구성요소와 ROM을 제공한다(♻ 상완이두근).
■ 문합형
근육의 근위 부착점이 관절축에 가깝게 있고 원위 부착점이 관절축으로부터 멀리떨어져 있다. 관절을 압박하여 안정성을 준다. (♻ 상완요골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