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소뇌실조증 원인과 증상 : 소뇌의 염증과 손상


급성소뇌실조증 이란?

오늘은 급성소뇌실조증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급성소뇌실조증(ACA, Acute Cerebellar Ataxia)은 소뇌(cerebellum)에 염증이 생기거나 손상될 때 발생하는 장애입니다. 소뇌는 보행과 근육 협응을 조절하는 뇌의 영역입니다. 운동실조증(ataxia) 이라는 용어는 자발적인 움직임의 미세한 제어가 잘 안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급성(acute)은 운동실조가 몇 분에서 하루나 이틀 정도 빠르게 발생함을 의미합니다. 급성소뇌실조증(ACA)은 소뇌염(cerebellitis)이라고도 합니다. 급성소뇌실조증이 있는 사람들은 종종 협응력을 상실하고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어린이, 특히 2~7세 사이의 어린이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때때로 성인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급성소뇌실조증 원인

 

급성소뇌실조증 원인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 및 기타 질병은 소뇌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수두, chickenpox
  • 흥역, measles
  • 유행성 이하선염, mumps
  • A형 간염, hepatitis A
  • 엡스테인-바(Epstein-Barr) 및 콕사키(Coxsackie)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West Nile virus

급성소뇌실조증은 바이러스 감염 후 나타나기까지 몇 주가 걸릴 수 있습니다.

급성소뇌실조증의 다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뇌의 출혈
  • 수은, 납 및 기타 독소에 대한 노출
  • 라임병과 같은 세균 감염
  • 머리 외상
  • B-12, B-1(티아민) 및 비타민E 와 같은 특정 비타민 결핍

 

급성소뇌실조증 증상

급성소뇌실조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몸통 또는 팔과 다리의 협응 장애
  • 자주 걸려 넘어짐
  • 불안정한 보행
  • 통제되지 않거나 반복적인 안구 운동
  • 식사 및 기타 미세 운동 작업 수행 문제
  • 분명하지 않은 말투
  • 목소리의 변화
  • 두통
  • 현기증

이러한 증상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다른 질환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 적절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성소뇌실조증 진단

의사는 급성소뇌실조증이 있는지 확인하고 장애의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해 여러 가지 검사를 실시합니다. 이러한 검사에는 일상적인 신체 검사와 다양한 신경학적 평가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의사는 다음을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

  • 듣기
  • 메모리
  • 균형과 걷기
  • 시력
  • 집중력
  • 신경 반사
  • 협응 능력

최근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경우 의사는 일반적으로 급성소뇌실조증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 및 장애의 징후를 찾습니다. 다음을 포함하여 의사가 증상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검사가 있습니다.

신경전도검사, Nerve conduction study

신경전도검사는 신경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근전도, Nerve conduction study(EMG)

근전도는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고 평가합니다.

요추 천자, Spinal tap

척수 천자를 통해 의사는 척수와 뇌를 둘러싸고 있는 뇌척수액 (CSF)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전혈검사, Complete blood count(CBC)

전체 혈구수 검사는 혈구 수의 감소 또는 증가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것은 의사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T 또는 MRI 스캔

의사는 이러한 영상 검사를 사용하여 뇌 손상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검사는 뇌의 상세한 사진을 제공하여 의사가 더 자세히 살펴보고 뇌의 손상을 더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소변 검사 및 초음파

의사가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검사입니다.

 

급성소뇌실조증 치료

급성소뇌실조증 치료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바이러스가 급성소뇌실조증을 유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치료 없이 완전한 회복이 예상됩니다. 바이러스성 급성소뇌실조증은 일반적으로 치료 없이 몇 주 안에 사라집니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급성소뇌실조증의 원인이 아닌 경우,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합니다. 구체적인 치료법은 원인에 따라 달라지며 몇 주, 몇 년 또는 평생 지속될 수 있습니다. 가능한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질환이 소뇌 출혈의 결과인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감염이 있는 경우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뇌졸중으로 인해 급성소뇌실조증이 발생한 경우 혈액 희석제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스테로이드와 같은 소뇌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 독소가 급성소뇌실조증의 원인인 경우 독소에 대한 노출을 줄이거나 제거합니다.
  • 급성소뇌실조증이 비타민 결핍으로 인해 발생했다면 고용량의 비타민E, 비타민 B-12 주사 또는 티아민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 어떤 경우에는 급성소뇌실조증이 글루텐 민감도를 통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엄격한 글루텐 프리 식단을 채택해야 합니다.

급성소뇌실조증이 있는 경우 일상적인 작업에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지팡이 및 말하기 보조기와 같은 특수 식기 및 적응 장치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 언어치료 및 작업치료도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또한 특정 생활 방식을 변경하면 증상을 더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여기에는 식단을 변경하거나 영양 보조제를 복용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급성소뇌실조증이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성인의 급성소뇌실조증 증상은 어린이의 증상과 유사합니다. 어린이와 마찬가지로 성인 급성소뇌실조증을 치료하려면 급성소뇌실조증을 일으킨 근본적인 질환을 치료해야 합니다. 소아에서 급성소뇌실조증의 원인 중, 많은 부분이 성인에서도 급성소뇌실조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성인에서 급성소뇌실조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은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독소, 특히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성인에서 급성소뇌실조증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또한 항간질제 및 화학요법과 같은 약물은 성인에서 급성소뇌실조증과 더 자주 관련이 있습니다.

HIV, 다발성 경화증(MS) 및 자가면역 질환과 같은 기저질환도 성인이 되어서 급성소뇌실조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 성인에서 급성소뇌실조증의 원인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습니다.

성인에서 급성소뇌실조증을 진단할 때 의사는 먼저 급성소뇌실조증를 더 천천히 발생하는 다른 유형의 소뇌 운동실조와 구별하려고 시도합니다. 급성소뇌실조증은 몇 분에서 몇 시간 내에 발생하지만 다른 형태의 소뇌 운동실조증은 발병하는 데 며칠에서 몇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진행 속도가 느린 운동실조증은 유전적 소인과 같은 원인이 다를 수 있으며 다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성인이 되면 진단 과정에서 MRI와 같은 뇌 영상을 받을 가능성이 더 큽니다. 이 영상은 더 느리게 진행되는 운동실조증을 유발할 수 있는 이상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급성소뇌실조증과 유사한 다른 질환은?

급성소뇌실조증은 몇 분에서 몇 시간으로 빠르게 발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증상은 비슷하지만 원인이 다른 다른 형태의 운동실조증이 있습니다.

 

아급성 운동실조증, Subacute ataxia

아급성 운동실조증은 며칠 또는 몇 주에 걸쳐 발생합니다. 때로는 아급성 운동실조증이 빨리 나타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발전해 왔습니다. 원인은 종종 급성소뇌실조증과 유사하지만, 아급성 운동실조증은 프리온병(prion diseases), 휘플병(Whipple’s disease), 진행성다소성백질뇌염(PML,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과 같은 희귀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만성 진행성 운동실조증, Chronic progressive ataxia

만성 진행성 운동 실조증은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발생하고 지속됩니다. 그들은 종종 유전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만성 진행성 운동 실조증은 또한 미토콘드리아 또는 신경퇴행성장애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운동실조가 편두통을 동반하는 드문 증후군인 뇌간 전조를 동반한 편두통과 같은 다른 질병도 만성 운동실조를 유발하거나 모방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 운동실조증, Congenital ataxia

선천성 운동실조증은 태어날 때 나타나며 일부는 수술로 치료할 수 있지만 종종 영구적입니다. 이러한 운동 실조는 뇌의 선천적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급성소뇌실조증과 관련된 합병증

급성소뇌실조증의 증상은 장애가 뇌졸중, 감염 또는 소뇌 출혈로 인한 경우 영구적이 될 수 있습니다. 급성소뇌실조증이 있는 경우 불안과 우울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습니다. 이것은 일상적인 작업에 도움이 필요하거나 스스로 돌아다닐 수 없는 경우에 특히 그렇습니다.

 

소뇌실조증과 아기 걸음

 

급성소뇌실조증의 예방은 가능할까요?

급성소뇌실조증(ACA)을 예방하는 것은 어렵지만 수두와 같이 급성소뇌실조증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접종을 함으로써 자녀가 급성소뇌실조증에 걸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성인이 되면 과도한 알코올 섭취 및 기타 독소를 피함으로써 급성소뇌실조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운동, 건강한 체중 유지, 혈압 및 콜레스테롤 조절을 통해 뇌졸중 위험을 줄이는 것도 급성소뇌실조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Mov] axia in 2 year old child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