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재활 : 지역사회로의 복귀


뇌졸중 재활 : 지역사회로의 복귀

오늘은 뇌졸중 재활과 관련해서 지역사회로의 복귀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뇌졸중이라는 질병을 앓게 되면 원하지 않아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변화를 겪게 됩니다. 우리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과정은 신체적인 변화에 대해 필요한 부분은 적응을 하고 정상에 가깝게 만드려는 노력의 일환이죠. 뇌졸중 재활은 결국 지역사회에 복귀하는 것을 궁극적으로 목표로 하게 됩니다. 이에 따른 여러가지 사항들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졸중 재활

 

Transition to the community (지역사회로의 복귀)

뇌졸중 재활 프로그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회복의 단계를 알리고 이에 따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1) Resuming Valued Roles & Tasks (의미 있는 역할과 작업으로부터의 복구)

▪ 개인의 삶의 질을 정의하는데 가장 중요한 단계

▪ 환자들이 새로운 또는 적응된 역할을 하기 위한 과제 수행에 대한 이상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하는 것을 도와주어야 함

 

① Work

▪ 일을 다시 할 것으로 기대되는 환자들에게 있어서 직업이나 혹은 직무상의 평가와 적절한 임무 수행 준비 교육을 격려

▪ 직장 복귀 가능성을 가진 사람들은 두드러지게 높은 수준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을 나타냄

▪ 직장으로 복귀하는 요소 : self-care(자기 관리), walk ability(걷기), younger age(젊은이), high educational, occupational levels(높은 교육 및 직업 수준), 안정적인 결혼생활, 보존된 언어 및 인지 지각 능력

 

② Leisure and Recreation

여가 활동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가족과 사회적 지지

▪ 교통이나 경제적 여건

▪ 변화하는 여가 수행에 대한 태도

▪ 자유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들

 

과제 및 여가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

▪ 의미 있는 활동을 적용하기 위해 가정 또는 지역사회에서 물리적 장애물을 극복하는 방법 찾기

▪ 환자의 능력에 적합한 새로운 오락 활동 소개하기

▪ 용이한 지역사회 지원 관련 교육을 포함

 

③ Sexuality (성적 활동)

성 활동에 있어서 일반적인 뇌졸중의 효과

▪ 성욕의 감퇴

▪ 남성의 발기부전 감소

▪ 여성의 성기 내의 윤활 능력 강화

▪ 성 활동의 횟수 감소

 

④ Driving

다시 운전을 할 수 있는 능력

▪ 뇌손상을 입은 대부분의 개인에게 가장 우선인 일

▪ 지역에서의 독립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고 고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

운전과 관련한 신체적 결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 과정의 효과성

▪ 차 내의 운전자들을 재교육시키는 것

▪ 운전 모의장치 훈련

▪ 중요 손상부위를 완화시켜주기 위한 시도

 

(2) Community support & Resources (지역사회 지지와 자원)

환자를 다시 지역사회로 통합시키기 위한 방법

▪ acute-care hospitals과 rehabilitation facilities은 지역의 각종 정보를 업데이트해서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

▪ 정보들을 뇌졸중 환자, 가족, 보호자들에게 제공하여야 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얻을 수 있도록 협조

뇌졸중 환자에게 구체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기구

▪ physical assistance program(물리적인 정보)

개인서비스제공, 급식배달 서비스, W/C를 다룰 수 있는 자원 봉사와 같이 육체적이고 개인적인 도움

▪ emotional support(정신적인 정보)
가족, 친구, 정신건강전문가, 뇌졸중 극복 환자들로부터의 정보

 

[관련글] 방문재활 치료와 방문재활 운동 차이점?

[Mov] Post-Stroke Rehabilitation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