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과 언어장애 : 9가지 종류와 특징


뇌졸중 환자 : 언어장애 종류

실어증은 대개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어 장애입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유형의 실어증이 있습니다.미국 국립실어증협회(NAA) 에 따르면, 미국에서 200만 명이 실어증을 앓고 있으며 단어 사용 능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미국인 중 거의 85%가 실어증이라는 용어에 익숙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  실어증은 말의 생성과 이해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읽기 및/또는 쓰기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언어 장애입니다.

• 실어증은 항상 뇌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뇌졸중은 실어증을 유발하는 뇌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 두부 외상, 감염 또는 종양으로 인한 기타 뇌 손상도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실어증은 경미할 수 있으며 언어의 한 가지 측면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또는 너무 심해서 환자와 의사소통이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가장 일반적으로 의사소통의 여러 측면이 손상됩니다.

• 일부 사람들은 실어증에서 회복될 수 있지만, 2~3개월 이상 지속되면 회복될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Aphasia

• 신경학적 손상의 결과

•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 계산능력, 적절한 몸짓 사용능력의 장애를 일으킴

• 뇌졸중 : aphasia의 가장 큰 원인, 주로 Lt. cerebral hemiphere 손상이 원인임

• 읽기언어상실증, 구강 표현 능력, 쓰기언어불능증, 몸짓을 이해하는 능력, 계산못함증

• Global aphasia, Broca’s aphasia, Wernicke’s aphasia, Anomic aphasia

 

뇌졸중 : 언어장애

 

Global aphasia

완전 실어증은 가장 심각한 유형의 실어증입니다. 이는 언어 처리를 담당하는 뇌의 여러 부분이 손상되어 발생합니다. 완전 실어증 환자는 인식 가능한 몇 가지 단어만 생산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언어를 거의 또는 전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언어나 언어와 관련되지 않은 인지적, 지적 능력을 완전히 보존했을 수도 있습니다. 완전 실어증은 뇌졸중이나 뇌 외상 직후에 명백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실어증은 뇌가 치유됨에 따라 호전될 수 있지만 지속적인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모든 언어기술이 소실

• Oral expression손상, 말을 할 수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표현 반복 사용

• 주로 dominant cerebral hemisphere 의 Middle cerebral artery 손상

• 몸짓, 얼굴표정, 음조, 억양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있어 환자의 이해 능력이 실제 능력보다 훨씬 좋게 보이는 경우도 있음

 

Broca’s aphasia

브로카 실어증은 유창하지 못하거나 표현이 어려운 실어증이라고도 합니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언어 능력이 부분적으로 상실됩니다. 그들은 유창하게 말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한 번에 몇 단어로 말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들은 한 번에 몇 단어밖에 말할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의 말이 멈칫하거나 힘들게 말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말을 잘 이해하고 읽기 능력을 유지할 수 있지만 쓰기 능력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특징 : speech apraxia와 agrammatism

• 말하는 속도가 느리고, 종종 불완전하게 발음하며, 발음하는 것에 어려워 함

• 문법능력 손상으로 인해 문장 구조가 단순화되고, 이것은 때때로 telegraphic speech 로 언급

• 익숙한 노래 부르기, 기도문 외우기와 같은 수의적 언어 구사는 가능

•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agraphi a(실서증)을 겪을 가능성이 높음

• 빠르게 말하거나 문법적으로 복잡하거나 길게 말하기를 제외한 경우 좋은 청각적 이해력

 

Mixed Non-Fluent Aphasia

이러한 유형의 실어증 환자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와 유사하게 언어가 제한적이고 힘듭니다. 그러나 이들의 이해 능력은 브로카 실어증 환자에 비해 더 제한적입니다. 읽고 쓸 수는 있지만 초등학교 수준 이상은 아닙니다.

 

Wernicke’s aphasia

베르니케 실어증은 유창성 실어증 또는 수용성 실어증이라고도 합니다. 유창하다고 하는 이유는 이러한 개인이 말을 이해하는 능력이 손상되어도 연결된 말하기를 생성하는 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말하는 내용이 그다지 이해되지 않을 수 있으며 문장에서 말도 안 되는 단어나 관련 없는 단어를 사용할 것입니다. 종종 그들은 자신이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합니다. 베르니케 실어증이 있는 사람은 아마도 읽고 쓰는 능력이 손상되고 언어 이해 능력이 상당 부분 상실될 것입니다.

• auditory comprehension과 feedback의 손상과, 유창하고 좋은 발음이지만 paraphasic speech

• paraphasic speech은 적당한 단어를 대체하는 것에 장애

• 발성은 상당히 빠른 속도로 믿기 어려울 정도로 유창하지만 분석해보면 무의미한 단어들의 연속

• reading and writing comprehension능력 제한, 수학적 능력의 손상도 보임

 

Anomic aphasia

• 단어 수정에 어려움

• anomia 또는 단어 찾기 어려움은 aphasia의 모든 타입에서 나타나지만 단어 찾기의 어려움이 주된 증상이거나 유일한 증상

• 말은 유창하고 문법적으로도 정확하며 발음도 정상적이지만 단어를 찾는 것에 큰 어려움

• 말하기 속도가 느려지며 사물의 실제 이름 대신 장황한 설명 늘어놓음

• reading comprehension과 written expression은 mild에서 sever까지 나타나고, 수리력은 mild 손상 정도로 나타남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

원발진행성실어증(PPA)은 언어를 천천히 그리고 점진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상실하는 신경학적 증후군입니다. 대부분의 다른 형태의 실어증은 뇌졸중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원발진행성실어증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원발진행성실어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뇌의 언어 중추 조직이 악화됨에 따라 진행됩니다. 이러한 형태의 실어증은 퇴행성 장애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원발진행성실어증은 결국 치매 또는 기억 상실 의 다른 증상이 동반됩니다 .

 

Dysarthria

• 언어 상실증 증세가 없음에도 발성에 사용되는 근육 조직을 제어하는 CNS mechanism의 손상으로 인해 발음의 장애

• 발음 기간의 마비와 부조화가 유발, 소리가 어눌해지며 느려지며 명료하지 못함

• 어눌한 말, 서투른 언어 구사, 침흘림, 안면이나 구강 근육의 불균형으로 저하된 얼굴표정

 

Oral apraxia

• 언어 구사를 위한 행위를 시작하고 순서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음

 

[Mov] Aphasia or Speech Disorders – Types & Causes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