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건 관절가동기법 : MULLIGAN TECHNIQUE
멀리건 관절가동기법 : MULLIGAN TECHNIQUE
오늘은 기본적인 멀리건 관절가동기법에 대해서 살펴볼까합니다. 호주의 운동처방사인 MULLIGAN에 의해 주장된 기법으로 기존의 KALTENBORN원리를 기초로 하여 관절가동기법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Kaltenborn의 관절가동기법은 수동 부수적 관절가동기법인데 반해 Mulligan은 수동 부수적 관절가동기법과 더불어 치료사가 통증을 완화시키고 어긋난 관절위치를 교정할 목적으로 능동동작을 결합한다.
이 기법은 척추와 팔 다리에 적용할 수 있는 강하지 않고 편안한 중재기법이다. Mulligan기법은 팔 다리를 중재하기 위해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 (Mobilization With Movement; MWM) 이나 척추 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지속적인 자연스런 척추소관절 미끄러뜨림 가동기법 (Sustained Natural Apophyseal Glides; SNAG)을 적용한다.
치료사는 신체의 제한이 있는 부분을 조절하고 환자가 특정한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움직인다. MWM, SNAG기법은 수년간 제한이 있던 부분까지도 포함하여 관절에서 기능적인 움직임을 빠르게 회복시켜 준다.
멀리건 치료원리
기본적으로 환자에게 절대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지(팔, 다리)에는 MWM을 적용하고, 척추에서는 SNAG기법을 선택 적용한다. 환자를 평가하는 동안 관절움직임의 감소, 동작과 관련된 통증이나 특정한 기능적 활동과 관련된 통증과 같은 특별한 증상을 찾아야 하고, Kaltenborn원리에 따라 적용한다.
치료사는 관절가동술을 적용하는 동안 통증이 다시 발현되지 않는지 지속적으로 지켜보아야 하고, 관절가동범위의 확실한 증가나 감소, 혹은 통증의 원인을 찾아내고 적절한 치료면과 등급을 설정하기위해 수평이나 수직으로 다양하게 활주를 시도한다. 치료사가 적절한 수동적 부수적인 활주를 적용하는 동안 환자는 능동적으로 제한된 활동을 반복하게 된다. 가동범위의 증가나 통증 감소는 일반적으로 10회 반복 3세트의 치료주기 동안 기대할 수 있다.
[관련글] 얀다-감각운동계 : 감각수용기 종류 및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