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킴장애 해부학 : 구강, 인도, 후두, 식도
삼킴 (Swallowing) 이란?
오늘은 삼킴장애 해부학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뇌간, 대뇌피질, 뇌신경, 경수신경 및 관련된 근육과 감각들의 작용이 포함되는 복합적인 감각운동 과정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중추신경계손상 환자분들에게 잘 나타나는 삼킴장애에 대해서 공부하고 정리한 글을 올려보려고 해요. 일단 삼킴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삼킴장애 해부학
삼킴장애(Swallowing disorder = Dysphagia)는 삼키는 능력의 장애가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삼킴장애 이해를 위한 해부학적인 구조를 알면 보다 이해가 빠릅니다. 삼킴의 해부학적인 영역으로는 구강, 인두, 후두, 식도가 포함됩니다.
1. 구강(oral)
▸ 입술과 인두 사이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 말을 할 때 발음하는 것, 음식을 씹는 것, 공기가 통과하는 길 교차
2. 인두(pharynx)
▸ 입안과 식도 사이에 있습니다.
▸ 근막으로 된 관으로 다소 원뿔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 비강인두(Nasopharynx), 구강인두(oropharynx), 아래인두(hypopharynx)
▸ 혀의 기저부, 후두덮개(epiglottis), 후 인두벽(posterior pharyngeal wall), 모뿔후두덮개 주름
(aryepiglottic folds), 반지인두조임근(cricopharyngeal sphincter)이 포함됩니다.
3. 후두(larynx)
▸ 호흡과 의사소통에 중요한 조절기관입니다.
▸ 후두전정(laryngeal vestivule), 후두 덮개(epiglottis), 모뿔후두덮개 주름(aryepiglottic folds), 가성대주름(false vocal fold), 진성대주름(true vocal folds)이 포함됩니다.
4. 식도(esophaus)
▸ 위쪽은 인두와, 아래쪽은 위와 연결되는 소화기관입니다.
▸ 약 22 ~ 26 cm정도의 길이의 근육 튜브입니다.
▸ 음식물의 역류를 막아 기도를 보호합니다.
오늘은 삼킴에 필요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습니다~
삼킴장애 관련글
▸ 삼킴장애 5단계: 정상삼킴단계
▸ 삼킴장애 : 정상삼킴단계 인두단계
▸ 삼킴장애 : 정상삼킴단계 식도단계 Esophageal phase
▸ 구강반사 : Oral reflex
참고문헌
송영진, 이한석, 정원미 외, 『Swallowing Disorder 삼킴장애』, 계축문화사, pp.1~11
원영식, 「Dysphagia rehabilitation」, 연하곤란치료연구회, pp.1~37
2 Responses
[…] [관련글]삼킴장애 : 구강, 인도, 후두, 식도 해부학 […]
[…] [관련글] 삼킴장애 해부학 : 구강, 인도, 후두, 식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