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토닌과 과민성대장증후군 : 뇌-장 연결


세로토닌과 과민성대장증후군

오늘은 우리 몸의 세로토닌과 과민성대장증후군이 서로 어떻게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로토닌(serotonin)은 기분과 뇌 기능을 조절하고 안정시키는 신경 전달 물질 또는 화학적 메신저입니다. 우리를 놀라게 할 수 있는 것은 이것이 소화 시스템의 기능에도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장은 체내 세로토닌의 약 95%를 생성하며 세로토닌 수치의 변화는 장과 뇌에 영향을 미칩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IBS, Irritable bowel syndrome) 은 주로 대장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질환입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IBS)의 원인은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부 경련 및 통증
  • 팽만감과 가스
  • 설사
  • 변비

며칠,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는 발적 에피소드가 특징입니다.

2009년 연구에 따르면, 장의 세로토닌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것은 과민성대장증후군(IBS)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세로토닌과 과민성대장증후군

 

뇌-위 연결 : 장신경계

장신경계(enteric nervous system)는 장에 위치한 반자율신경계입(semiautonomous nervous system)니다. 그것은 식도에서 항문까지 위장 시스템의 내벽에 들어 있습니다. 수억 개의 신경 세포가 이를 통해 움직임에 지시를 받는데, 이는 뇌와 독립적으로 조정반사들과 효소들의 분비, 그중에서 하나는 세로토닌과 같은 장신경계 스스로 가지고 있는 몇 임무를 수행 할 수 있습니다.

신경 경로는 장신경계와 뇌를 연결하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긴장할 때 안절부절 못하거나, 불안하면 방금 화장실을 다녀왔는데, 또 가고 싶어지기도 합니다. 또한, 장내 과민성대장증후군(IBS)의 갑작스런 발현(flare-ups)은 스트레스나 뇌의 불안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와 소화기관의 양방향 통로를 통해 소통을 합니다. 여러 경로가 뇌와 장을 연결하여 지속적으로 정보가 앞뒤로 흐르게 합니다. 이러한 긴밀한 연결은 스트레스에 대한 우리의 반응(인식된 위협)에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며, 이는 이 통신 네트워크가 우리의 생존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앞뒤 경로의 기능 장애가 IBS의 증상인 복통, 변비 및/또는 설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증거를 찾고 있습니다. 뇌와 장을 연결하는 다양한 경로에서 오작동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 지나치게 민감한 장의 신경은 뇌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불안이나 각성과 관련된 뇌 부분의 생각, 감정, 활성화는 과장된 장 반응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뇌-장 통신 시스템의 기능 장애는 모든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상태인 항상성을 유지하는 신체의 능력을 방해합니다.

▼ 장신경계(ENS)는 소화 과정 조절을 담당하는 자율신경계의 일부입니다. 장신경계는 운동성 (소화 근육의 움직임), 체액 분비 및 혈류를 관리합니다. 장 시스템의 기능 장애는 IBS의 주요 요인입니다.

 

세로토닌의 역할은 무엇?

하나의 신경 세포가 다음 신경 세포와 통신하는 수단은 신경 전달 물질이라는 화학 물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소화 기능에 매우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은 세로토닌(5-HT)입니다. 인체 내 세로토닌의 최대 95%가 소화관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005년 연구에 따르면, 세로토닌은 장과 뇌 사이의 교통과 장의 적절한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로토닌은 다음을 포함하여 장 기능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칩니다.

  • 얼마나 빠른 음식이 시스템을 통해 이동하는지 (운동성)
  • 얼마나 많은 점액과 같은 체액이 장에서 분비되는지
  • 얼마나 장이 통증 및 포만감 같은 감각에 민감한지

일부 신경 수용체는 메스꺼움, 복부 팽만감 및 통증을 알리는 메시지를 뇌에 보내는 역할을 하는 반면, 다른 수용체는 팽창 또는 전체 장의 경험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수용체 각각의 수준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위는 다른 사람들이 정상적인 포만감으로 인식하는 것을 통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변비를 경험하는 과민성대장증후군(IBS)를 가진 사람들은 종종 세로토닌 수치가 낮고 직장 근육이 세로토닌에 덜 반응하며 딱딱하거나 덩어리진 변을 보일 가능성이 더 큽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IBS)가 있고 세로토닌 수치가 높은 사람들은 설사를 할 수 있으며 직장은 묽거나 묽은 변과 함께 더 반응성이 있습니다.

 

배가 아파요

 

세로토닌 문제 해결

과민성대장증후군(IBS) 환자는 모든 증상이 장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증상을 다루어야 합니다. 세로토닌 수치가 낮으면 섬유근육통에 걸리기 쉬워 전신 근육의 통증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집니다. 세로토닌 수치의 변화는 수면 패턴을 방해할 수 있으며 만성 우울증 및 불안 장애와 관련이 있습니다.

선택적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SSRI)는 우울증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그룹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신경 세포가 사용할 수 있는 세로토닌을 더 많이 허용하지만 항우울제 및 항불안제는 과민성대장증후군(IBS)을 치료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연구는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과민성대장증후군(IBS)에서 볼 수 있는 세로토닌 변화를 치료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약물을 계속 찾고 있습니다.

특정 증상을 해결할 수 있는 현재 및 새로운 세로토닌 관련 치료법에 대해 의사와 상담합니다. 명상과 같은 운동과 이완 기술은 증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만큼 충분히 세로토닌 수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뇌와 장의 신경계는 신경 경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로토닌은 기본 기능과 기분을 조절하는 두 가지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로토닌은 과민성대장증후군(IBS)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약물을 통해 세로토닌 수치를 변경하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글] 장-뇌 축, 뇌와 장의 연결 : 작동 원리와 영양

[Mov] Serotonin and Gut Health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