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관증후군 : Carpal Tunnel Syndrom
손목의 수근관
수근관 이라는 곳은 뼈와 인대로 구성된 손목의 손바닥 면의 좁은 통로이다. 첫번째와 세 번째 손가락까지의 감각과 움직임을 조절하는 정중신경은 힘줄들과 마찬가지로 손가락들과 엄지까지 이 통로를 지나고 있다. 정중신경이 찝히거나 압박되었을 때 결과적으로 수근관증후군이 발생되고, 증상으로는 손이 저리거나 통증이 생기며 약화감이 있다.
수근관증후군 증상
수근관증후근은 외상을 동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느리게 진행되는데, 점차 진행이 됨에 따라 아침에 일어났을 때와 밤에 자기 전 손을 핀으로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든다. 낮에 활동하는 동안, 물건을 잡을 때나 운전할 때 아린 듯한 통증을 경험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을 흔들거나 움직이는 것이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
수근관증후군이 진행될수록 엄지손가락과 두 손가락의 약화감을 느끼고 주먹을 쥐거나 물건을 집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물건을 잡았을때 떨어뜨리거나 셔츠의 단추를 잠그는 것 같은 것을 하는 간단한 행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수근관증후군은 손과 손가락이 저린 이상 감각을 느낄 수 있는데, 증상으로 부종이 없는 경우에도 손가락이 부은 것 같은 느낌을 갖거나 또는 뜨거운 것과 차가운 것을 구별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수근관증후군의 원인
수근관증후군은 보통 원인이 한 개라고 할 수 없다. 수근관은 좁고 딱딱하기 때문에 그곳에 염증이나 붓기가 발생하면 정중 신경이 압박되고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은 한손 또는 양손에 나타나는데 보통은 우세한 손에 나타난다.
여성이 남성보다 3배나 더 수근관 증후군이 생길 확률이 높다. 당뇨, 통풍, 갑상선 기능 부전과 류마티스 관절염, 임신, 손목의 염좌나 골절이 있는 경우도 수근관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이나 타이핑을 많이 하는 사람보다는 조립을 주로하는 공장 노동자들에게 더 호발한다. 진동 수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더 위험하다.
수근관증후군 진단법
첫번째는 티넬 징후(Tinel’s sign)이다. 손가락의 아린 감이 야기되는지 아닌지 보기 위해 정중 신경을 두들기는 것이다. 두 번째로 팔렌 검사이다. 저린 감이나 아린 감을 야기하는지 보기 위해 잠시 동안 당신의 두 손을 모아 손등을 세게 압박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는 신경 전달 검사이다. 전극을 손과 손목에 부착하고 정중 신경의 자극 전도가 얼마나 빠른지 측정한다. 근전도 검사라 불리는 다른 검사는 전기 활동을 측정한다.
수근관증후군 치료법
통증이 팔에서 어깨로 방사되거나 엄지 손가락의 근육이 약해질 수도 있다. 손가락, 손목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하기도 한다. 이부프로펜과 나프로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의 항염증 약은 냉찜질과 마찬가지로 통증을 줄여준다.
수근관증후군의 증상이 점점 심해질 때 스테로이드는 일시적으로 정중 신경 주변의 염증을 줄일 수 있고 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다. 리도카인 같은 국소 마취제의 주사는 또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근관의 가장 위에 놓여있는 인대가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해 절개된다. 수근관 증후군을 위한 스트레칭과 강화운동은 ‘E3 Rehab의 3 BEST Exercises for Carpal Tunnel Syndrome’ 영상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2 Responses
[…] 징후 (Tinel’s sign)는 의사가 신경 문제를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것입니다.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 진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주부관증후군(cubital tunnel syndrome), […]
[…] 수근관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