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박조율기 시술 : Pacemaker


심장 박동과 건강

오늘은 심박조율기 시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심박조율기(pacemaker)는 심장의 전기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술을 통해 신체에 삽입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안정시키고 생명을 방해하거나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영단어인 페이스메이커가 더 익숙하기도 하죠. 이 심박조율기는 부정맥과 같은 심장 질환에 대해 인생을 변화시키는 치료법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를 가슴에 삽입하려면 약간의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안전하지만 삽입 부위 주변의 부상과 같은 위험이 있습니다.

심장에는 심장의 방이 압박할 차례가 되었음을 알려주는 자체 전기 시스템이 있습니다. 심장의 전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심방이 잘못된 순서로 조이거나 너무 약하게 조여 몸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습니다. 심박조율기는 이러한 종류의 오작동을 교정하기 위해 전기 충격을 사용합니다.

 

심박조율기 시술

 

심박조율기 왜 필요할까요? : 부정맥

심박조율기를 사용하여 심장 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는 부정맥(arrhythmias)과 같은 심장의 리듬을 방해하는 일련의 심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소형 전자장치입니다.

심장에는 2개의 상부 및 2개의 하부 챔버가 있습니다. 상부 챔버가 수축되어 혈액을 심장의 하부 챔버로 끌어 당깁니다. 심실이 수축되면 혈액을 심장에서 밀어내어 몸 전체를 순환시킵니다. 이 수축은 심장 박동이며 전기 신호는 리듬을 제어합니다.

상부 챔버의 세포는 이러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심장을 따라 이동하여 활동을 조정합니다. 부정맥은 이 전기 신호를 방해하여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게합니다. 빈맥은 심장이 너무 빨리 치는 것을 포함하고 서맥은 심장이 너무 느리게 치는 것을 포함합니다. 심장은 다른 방식으로 불규칙적으로 뛸 수 있습니다. 부정맥은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피로
  • 약화
  • 기절
  • 빠른 심장박동
  • 호흡곤란
  • 가슴통증

심한 경우에는 내부 장기를 지속적으로 손상시키거나 또는 심장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는 전기펄스(electrical pulses)를 사용하여 심장의 리듬에 영향을 주어 이러한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문제에 따라 심박조율기는 심장박동 속도를 높이거나 늦추거나 안정화시킬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는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과 같은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형태의 부정맥에서는 심장의 상단 챔버가 제대로 수축되지 않고 심실이 충분한 혈액을 심장에서 펌핑 할 수 없습니다. 심박조율기는 상단 챔버가 올바르게 수축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가 부정맥을 치료용 인경우, 경우 일반적으로 영구적으로 착용해야 합니다.

의사는 심박조율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유형의 질환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장치는 심장 활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중요한 건강 지표를 기록 할 수 있습니다(미국). 심박조율기는 기록된 정보에 따라 심장의 전기 펄스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심장마비나 약물 과다 복용과 같은 급성 심장 외상에 대한 반응으로 일시적 심박조율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 위치

심박조율기 유형

심장 문제에 따라 1~3개의 와이어(리드라고 함)가 있는 특정 유형의 심박조율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장 박동기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연 심박조율기, Leadless pacemake
    카테터 기반 시술을 통해 삽입되는 작은 심박조율기(큰 알약 크기 정도)입니다. 이 장치는 심장 내벽에 부착되어 있어 전선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 단일 챔버 심박조율기, Single-chamber pacemaker
    심장의 한 방에 부착된 단일 와이어를 사용합니다.
  • 이중 챔버 심박조율기, Dual-chamber pacemaker
    심장의 두 방에 연결된 두 개의 와이어를 사용합니다.
  • 이중심실 심박조율기, Biventricular pacemaker
    3개의 와이어를 사용합니다. 그 중 2개는 심장의 아래쪽 방(심실이라고 함)에 연결되고, 세 번째는 오른쪽 위쪽 방(우심방)에 연결됩니다. 이는 심장 재동기화 요법(CRT)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환자의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이식형 심장율동전환 제세동기 (ICD) 라는 유사한 장치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는 아니지만 심실성 빈맥 및 심실세동 과 같은 관련 심장 질환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박조율기 시술

심박조율기를 삽입하는 시술은 간단한 절차입니다. 심박조율기를 가슴에 삽입하려면 시술이 필요합니다. 심박조율기 시술을 준비 할 때, 의사는 환자의 병력을 평가하고 혈액 검사를 받습니다. 작성해야 할 양식이 있으며 금식을 해야합니다.

수술 전에 의사는 팔이나 손의 정맥에 정맥 주사를 삽입합니다. 이것은 진정제 및 기타 필요한 약물을 제공합니다. 그런 다음 의사는 어깨 근처에 있는 주사 할 부위를 소독합니다. 다음으로, 쇄골 바로 아래 정맥에 바늘을 삽입합니다.

의사는 이 바늘을 사용하여 맥박 조정기를 제어하는 ​​전선(심박조율기의 종류에 따라 1~3개)을 정맥을 통해 심장 쪽으로 보내게 됩니다. 의사는 형광 투시법을 사용하여 바늘을 올바르게 안내합니다. 여기에는 라이브 사진을 모니터에 공급하는 연속 X선 이미징이 포함됩니다. 진행하기 전에 전선을 테스트하여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의사는 가슴을 약간 절개하고, 심박조율기의 발전기와 배터리를 삽입합니다.

마지막으로, 절개부를 밀봉하고 심전도를 사용하여 장치를 테스트합니다. 수술 후에는 종종 필요한 병원에서 하룻밤 머물 수 있으며, 입원을 통해 의사와 간호사는 장치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의 위험

심박조율기를 삽입하는 것은 비교적 안전한 절차입니다. 삽입 부위 주위에 통증이나 압통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입니다. 다른 위험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삽입 부위의 붓기 또는 출혈
  • 감염
  • 혈관 또는 신경 손상
  • 무기폐(collapsed lung, atelectasis)
  • 약물에 대한 반응

심박조율기를 삽입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고 안전한 수술 절차입니다. 휴식 시간이 필요하지만, 심박조율기를 수술한 분은 보통 며칠 내에 규칙적인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처음 8 주 동안, 팔을 몸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과 관련된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박조율기와 함께 생활하려면 약간의 조정이 필요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심박조율기에 압력을 가하지 않기
  • 심박조율기의 상한 및 하한 심장박동 한계를 알고, 심박수가 이 한계 내에 머무르도록 유지하기
  • 육체적으로 활동하지만 너무 피곤하기 전에 조정하기
  • 휴대 전화 및 전자 레인지와 같은 심박조율기를 방해 할 수 있는 장치와의 접촉을 피하기
  • 검진과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진료 보기

부정맥(arrhythmia)은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심박조율기는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질환이 있는 분들이 상대적으로 규칙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관련글] 부정맥의 원인과 증상 : 불규칙한 심장박동, Arrhythmia

 

[Mov] How Heart Pacemaker works?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