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굿병 운동방법 7가지 : osgood-schlatter exercise


오스굿병 이란?

오스굿병은 슬개골(무릎뼈) 아래에 위치한 골극이나 뼈융기에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오늘은 오스굿병 운동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정강뼈에 닿아있는 무릎힘줄에서의 성장판(정강뼈 거친면)의 자극이 오스굿병의 원인입니다. 젊은 운동선수에게서 흔한 오스굿병은 성장판 자극에 의해 발생되거나 무릎 힘줄을 너무 많이 긴장시키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오스굿병 운동방법

 

폭풍 성장할 동안 아이들과 청소년들의 대퇴근육이 항상 대퇴골의 성장에 맞게 자라나는 것은 아닙니다. 대퇴근이 신장함에 따라, 정강뼈와 무릎 뼈를 잇은 무릎힘줄을 당기게 됩니다. 이러한 반복된 긴장과 자극은 통증, 부종, 염증 그리고 때때로 bump under kids’ knees 형태의 원인이 됩니다.

 

오스굿병은 청소년만 걸리나요?

오스굿병은 보통 성장이 멈추는 14~18세 사이가 지난 후 사라집니다. 그러므로 이 병은 거의 성인에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아예 발생하지 않지는 않습니다. 운이 좋게도 성인 오스굿병은 보통 무릎에만 영향을 미치고 통증이 심하지 않습니다.

사실 오스굿병 환자 10명 중 1명이 성인에서도 계속 몇몇 증상을 계속 경험합니다. 아이들과 비슷하게, 반복적인 육체활동, 농구, 배구, 피겨스케이팅 등의 스포츠를 하는 성인들도 이러한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몇몇 사람들은 성장이 끝난 후에도 오스굿병으로부터 오는 통증을 계속 겪습니다. 이것은 보통 무릎에서 뼈가 연골로 바뀔 때 남겨진 뼛조각 때문입니다. 이러한 뼛조각들은 무릎 힘줄 안에 남겨져 오스굿병을 재발시킬 수 있고, 무릎에 자극을 줄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성인들은 성년기에서 소아기 때 겪는 오스굿병과 비슷한 증상들을 겪습니다.

 

성인 오스굿병 치료방법 4가지

 

무릎을 쉬게 하고 아이스찜질 해주기

무릎을 올려 쉬게 하는 것과 아이스찜질은 모든 과한 부종이나 염증 흡수에 도움을 주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육체적인 활동을 할 때 통증을 느낀다면 그 활동을 쉬어야 합니다. 오스굿병과 관련된 통증을 관리하고 자극을 없애기 위해 R. I. C. E 치료법을 사용합니다. 휴식은 오스굿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일 겁니다. 필요하다면 근력운동을 줄이고, 염증감소를 위해 무릎에 냉압법을 실시합니다. 이것을 하루에 3회씩 10분~15분 사이로 실시합니다.

 

수술

심한 경우에, 수술은 재발증상이 있는 오스굿병에 걸린 성인에게 실시될 수 있습니다. 수술의 초기목적은 힘줄을 자극하는데 원인이 되는 뼈 조각을 없애는 것입니다. 이 뼈 조각들을 제거함으로써, 오스굿 병으로 인한 통증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것입니다.

오스굿병 운동방법 7가지 : osgood-schlatter exercise 2

 

보조기 착용

특히 무릎보조기는 통증을 일으키는 활동을 중단할 수 없을 때나 추가적인 안정성 얻어야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성인이나 아동을 위한 보조기, 스트랩, 무릎보호대를 포함한 오즈굿병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무릎을 보호하는 보조기들은 많이 있습니다. 보조기는 축구, 농구, 달리기, 스케이팅, 도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을 통증 없이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운동과 스트레칭

스포츠를 하거나 다른 육체적인 활동을 하기 전 근육을 스트레칭하는 것은 성인이나 아동을 위한 오스굿 병 치료법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운동치료방법은 정강이와 연결된 무릎힘줄의 긴장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넙다리네갈래근과 뒤넙다리근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또한 무릎관절의 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넙다리갈래근, 뒤넙다리근, 엉덩정강근막띠을 스트레칭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오스굿병 운동방법 7가지 : osgood-schlatter exercise 4

 

오스굿병 vs 무릎힘줄염(슬개건염)

때때로 오즈굿 병과 무릎힘줄염은 특히 성인에서 판단이 어렵기도 합니다. 오스굿 병과 비교하여 무릎힘줄염은 우리 몸의 무릎과 정강뼈를 잇는 무릎힘줄의 손상된 상태입니다. 무릎힘줄염과 관련된 통증은 당신의 정강뼈에 연결된 무릎힘줄에 있는 오스굿 병과는 달리 약간 위쪽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오스굿병 운동방법 7가지 : osgood-schlatter exercise 6

 

무릎뼈 활주운동 7가지

 

대퇴사두근 수축

• 두 다리를 쭉 뻗으며 앉습니다. 돌돌만 수건이나 담요를 약간 구부릴 수 있게 한 쪽 무릎 밑에 놓습니다.

• 무릎을 완전히 펼 수 있게 발을 땅으로부터 올립니다.

• 쭉 펴면서 5초 동안 유지하고, 대퇴근을 이완하고, 휴식자세로 다리를 천천히 내립니다.

• 이것을 8~12번씩 매일매일 여러 번 반복합니다.

 

벽을 이용한 미끄러짐

• 발꿈치를 벽으로부터 6인치 띄우고 발은 서로 띄워 서있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 무릎이 거의 45도 정도를 굽혀질 때까지 벽을 따라 엉덩이를 미끄러지듯 내립니다.

• 5초 동안 자세를 유지하고 천천히 시작 자세로 되돌아옵니다.

• 매일 적어도 3번 이상은 8~12 번씩 반복합니다.

 

다리 쭉 뻗어 올리기

• 한 쪽 발을 땅에 붙인 상태에서 90도로 굽히고, 다른 한 쪽을 완전히 폅니다.

• 다리를 쭉 펴서 대퇴사두근을 긴장시키고, 45도 올립니다.

• 1~2초 동안 다리를 든 채 유지한 뒤 천천히 땅에 내립니다.

• 매일 3번, 8~12번씩 반복합니다.

 

안쪽으로 다리 쭉 뻗어 올리기

• 운동할 다리를 땅 쪽 방향해서 옆으로 눕고, 다른 쪽 발은 의자 위에 올리거나 무릎 앞쪽 바닥에 놓습니다.

• 대퇴근육을 긴장시키고, 땅으로부터 다리를 뻗은 상태로 쭉 올립니다.

• 6초 동안 유지하고, 천천히 내리고 몇 초 동안 쉽니다.

• 매일 3번, 8~12번씩 반복합니다.

 

바깥으로 다리 쭉 뻗어 올리기

• 위의 운동처럼 운동할 다리를 옆으로 하여 눕습니다.

• 대퇴근육을 긴장시키고, 바닥으로부터 다리를 뻗은 상태로 쭉 올립니다.

• 엉덩이과 다리를 몸과 일직선이 되게 유지하고, 무릎은 전방을 향하게 합니다. 엉덩이를 떨어뜨리지 않습니다.

• 6초 동안 유지하고, 천천히 다리를 내리고 몇 초 동안 쉽니다.

• 매일 3번, 8~12번씩 반복합니다.

 

뒤로 다리를 쭉 뻗어 올리기

• 엎드려 눕습니다.

• 대퇴근을 긴장시키고, 바닥으로부터 다리를 뻗은 상태로 쭉 올립니다.

• 6초 동안 유지하고, 다리를 천천히 내리고, 몇 초 동안 쉽니다.

• 매일 3번, 8~12번씩 반복합니다.

 

살짝 무릎 굽혔다 펴기

• 책상이나 의자에 가볍게 손을 두고 서세요. 다리는 어깨 넓이로 벌립니다.

• 의자에 앉은 것처럼 앉기 위해 무릎을 천천히 구부립니다.

• 무릎이 발가락 앞으로 나오지 않게 합니다.

• 15Cm 정도로 내려가세요. 발꿈치가 항상 바닥에 붙도록 합니다.

• 시작 자세로 천천히 돌아갑니다.

• 매일 3번, 8~12번씩 반복합니다.

 

처음에는 무릎을 30도 정도만 구부리도록 합니다. 만약 이 정도를 넘어서면 무릎뼈와 대퇴골이 더 가까워져 연골손상이나 통증, 더 큰 압박을 일으킬 수 있어요.

 

오스굿병 운동방법 7가지 : osgood-schlatter exercise 8

 

[관련글] 무릎통증원인 : 무릎 안쪽 통증 VS 무릎 바깥쪽 통증

 

 

[Mov] Osgood-Schlatter Disease: Stretches & Exercises for Knee Pain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