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성 뇌손상으로 근긴장 변화와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보인다면…
외상성 뇌손상 이란?
외상성 뇌손상 (Traumatic brain injury, TBI)은 갑작스러운 외부 물리적 공격으로 인해 뇌가 손상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성인의 장애 및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TBI는 뇌에 발생하는 광범위한 부상을 설명하는 광범위한 용어입니다. 손상은 국소적(뇌의 한 영역에 국한됨)이거나 확산적(두 개 이상의 뇌 영역에서 발생)일 수 있습니다. 뇌 손상의 심각도는 경미한 뇌진탕부터 혼수상태 또는 심지어 사망을 초래하는 심각한 손상까지 다양합니다.
근긴장 변화 : 비정상 근긴장
비정상 근긴장의 증상으로 강직, 경직, 간대성 경련, 떨림(tremor), 근육긴장이상(dystonia), 무정위운동(athetosis), 무도병(chorea) 등이 있다.
강직 (rigidity)
• 혼수상태 환자에서 겉질제거강직(decorticate rigidity/ 대뇌까지 손상)이나 대뇌제거강직(decerebrate rigidity/뇌줄기까지 손상) 둘 중의 하나를 보인다.
• 겉질제거강직은 뇌반구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것의 증상은 상지에서 어깨관절은 안쪽돌림과 모음, 팔꿉관절,손목관절, 손가락 관절 모두 굽힘된 자세를 보이고, 하지에서 엉덩관절은 폄과 안쪽돌림, 무릎관절은 굽힘, 발목관절은 발바닥쪽 굽힘과 안쪽번짐된 자세를 나타낸다.
• 겉질제거강직은 깨어있을 때 강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 대뇌제거강직은 뇌줄기와 피라미드바깥길의 손상으로부터 발생한다.
• 증상은 상지에서 어깨관절은 폄과 안쪽돌림, 팔꿉관절은 폄, 손목관절과 손가락관절은 굽힘된 자세를 보이고 하지에서 엉덩관절은 폄과 안쪽돌림, 무릎관절은 폄, 발목관절은 발바닥쪽 굽힘과 안쪽번짐된 자세를 나타낸다.
• 깨어있을 때 강직이 증가.
• 톱니바퀴(lead-pipe)나 납-파이프(cogwheel) 강직이 중증 외상성 뇌손상 에서 발생할 수 있다.
경직(Spascity)
외상성 뇌손상 이후 생기는 경직은 근육 내에서 발견되는 반사 활동의 증가를 유발하는 반사 과민증 이라는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 이 반사는 실제로 근육이 늘어나거나 늘어날 때 발생하는 근육 수축입니다. 근육을 스트레칭하면 근육 내의 수용체가 활성화되어 근육이 너무 멀리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 반사 과정은 중추신경계(예: 뇌와 척수)에 의해 제어됩니다. 일반적으로 근육과 뇌는 척수를 통해 서로 메시지를 보내 근육을 수축할 때와 풀어줄 때를 뇌에 알려줍니다. 그러나 뇌 손상 후에는 이러한 의사소통이 중단되어 신호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결과적으로 반사가 켜지지 않아 지속적인 수축 상태가 발생합니다. 이 상태를 의사는 경직이라고 부릅니다.
• 빠른 수동적 움직임에 대해서는 저항이 증가하고 느린 움직임에 대해서는 저항이 감소하는 속도-의존적 저항을 보인다
• 과다반사나 클로누스를 보일 수 있다
• 혼수상태보다는 높은 인지수준을 보이는 환자에서 발생하며 보통 이완이나저긴장이나 이완과 결합되어 나타난다.
비정상 자세
• 경직과 원시반사로 인한 각 신체 근육의 긴장의 불균형 때문에 발생한다.
원시반사
• 원시반사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뇌손상에서 관찰된다.
• 그러나 고위중추의 조절과 억제작용이 파괴되면서 원시반사가 나타난다.
척수 수준 | 굽힘근 회피반사 (flexor withdrawal) 폄근 밀기반사 (extensor thrust) 교차 폄반사 (crossed extension) |
뇌줄기 수준 | 비대칭 성긴장성목반사 (asymmetric tonic neck) 대칭성 긴장성목반사 (symmetric tonic neck) 긴장성 미로반사 (tonic labyrinthine reflex) 양성 지지반응 (positive supporting reaction) 연합 반응 (associated reactions) |
중간뇌 수준 | 신체에 작용하는 목정위 (neck on body righting) 미로 정위 (labyrinthine righting) 머리에 작용하는 신체 정위 (body on head righting) 신체에 작용하는 신체 정위 (body on body righting) |
대뇌겉질 수준 | 보호 신전 (protective extension) 평형 반응 (equilibrium reactions) 시각 정위 (optical righting) |
관절움직임 제한
근긴장의 증가, 경직성 구축, 골절, 이소성골화증, 통증 등으로 인해 관절가동범위가 감소될 수 있다.
근육 및 지구력 감소
외상성 뇌손상과 관련된 합병증(예, 호흡 장애, 골절, 감염 등) 및 장기간 침상 안정으로 인한 신체 활동의 결여로 근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사고시 뇌손상과 같이 손상되는 말초 신경 손상에 의해서도 말초 신경 손상에 의해서도 근력이 감소될 수 있다.
운동 실조 : 비정상 움직임
• 비정상 움직임으로 소뇌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 몸통이나 상지, 하지, 몸 전체에서 발생한다.
• 몸통의 운동 실조가 있는 환자는 자세안정능력이 감소되어 서거나
• 앉은 자세에서 팔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고, 자세 유지를 위해 고정된
• 표면을 잡음으로서 보상하는 경향을 보인다.
• 팔의 운동 실조가 있을 경우 물건을 조작할 때 떨림을 보인다.
몸 전체 움직임 통합의 결여
• 운동 손상이 심한 환자는 앉기와 서기 균형 능력이 없어서 활동 동안에 팔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한다.
경직 치료 접근 방법
신경가소성
TBI 후 경직을 극복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경직의 원인은 뇌와 근육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료에는 해당 연결을 복원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은 신경 스스로 재배선하고 새로운 신경 경로를 생성하는 뇌의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를 통해 뇌의 손상되지 않은 영역이 손상된 영역의 기능을 이어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경로는 반복적인 치료 운동을 통해 형성됩니다. 이는 경직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영향을 받은 근육을 운동시키는 것임을 의미합니다.
근육을 더 많이 활성화할수록 새로운 신경 경로가 더 많이 강화됩니다. 이는 결국 뇌와 근육 사이의 의사소통을 더 쉽게 만들고 결국 경직을 줄여줍니다. 하지만 경직이 너무 심해서 근육을 전혀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심한 경직 치료
뇌의 치유 정도에 따라 경직이 저절로 해결될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경직이 너무 심해서 근육이 사실상 사지의 일부 또는 전체가 마비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직으로 인한 움직임의 제한은 신경가소성을 참여시키는 것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과 수동적 관절운동
스트레칭과 수동적 관절운동은 TBI 후 경직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은 관절의 이동성을 보존하는 구축을 예방하는 데 중요합니다. 수동적 관절운동은 신경가소성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합니다.
실제로 신경영상연구에 따르면 수동적 움직임 운동은 자발적인 움직임을 담당하는 뇌의 일부인 일차 운동 피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치료사에게 팔이나 다리를 대신 움직여주면 뇌와 근육의 연결을 복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의사소통이 강할수록 경직을 덜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보톡스 주사 및 바클로펜 펌프
단일 위치에 경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보톡스(Botox) 주사가 유용할 수 있습니다. 보톡스는 근육 수축을 유발하는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방출을 방지하는 신경 차단제입니다. 이 약물은 고통스러운 경련을 거의 즉각적으로 멈출 수 있어 인기 있는 치료법입니다. 심각하고 고통스러운 경직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것이 최선의 선택인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경직이 동시에 여러 신체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바클로펜 펌프(Baclofen Pump)가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 바클로펜 펌프는 피부 아래에 이식되는 작은 하키퍽 크기의 장치를 말합니다. 그런 다음 장치는 척수 주변 공간으로 소량의 바클로펜을 방출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이 한 번에 여러 근육 그룹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클로펜과 보톡스는 모두 일시적인 해결책일 뿐입니다. 효과가 사라지면 경직이 다시 발생합니다.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을 위해 환자는 가능하면 이러한 약물을 수동 운동 운동이나 능동 운동과 결합해야 합니다.
[Mov] Baclofen Pump Implantation
맺음말
일부 외상성 뇌 손상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운동증상으로 본다면 근긴장 변화와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함께 장애가 남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신체적, 행동적, 의사소통적 및/또는 정신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나 심한 근긴장 변화, 즉 경직이 생기는 경우라면 매우 곤란합니다.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뿐 아니라 치료가 매우 오래 기간이 필요합니다. 꾸준한 운동과 치료가 필요하며, 필요시 재활치료나 방문재활을 선택하여 관리가 가능합니다.
1 Respons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