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굴곡, 발바닥쪽 굴곡이 중요한가요? : Plantar Flexion
족저굴곡 이란
족저굴곡, 저측굴곡 발바닥쪽 굴곡(Plantar Flexion)은 서있는 자세에서 발을 바닥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걸을 때, 높은 곳에 도달하기 위해 발끝으로 서 있을 때, 운전 중에 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그렇게 하게 됩니다. 통증이나 문제 없이 족저굴곡 운동을 수행하는 것은 일상 업무에 중요합니다. 발바닥쪽 굴곡은 휴식 위치에서 약 20도에서 50도 사이의 정상 범위의 운동을 합니다. 뇌졸중, 뇌성마비 및 기타 질환(특히 부상) 으로 인한 근육 약화는 발바닥 굴곡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과 발바닥 굴곡 운동을 연습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력과 운동 범위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발바닥 굴곡과 관련한 활동과 근육, 그리고 손상과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할까요?
족저굴곡 기능
발바닥 굴곡은 발가락을 가장 아래쪽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끝으로 서있는 것은 족저굴곡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동작이죠. 많은 일상 활동은 족저굴곡을 포함합니다. 자동차 패달을 예로 들어 볼까요? 발목의 힘을 유지해서 들고 있는 것은 발목의 배측굴곡이고, 가속이나 브레이크를 밟기 위해서 패달을 누르는 동작은 발바닥쪽 굴곡입니다. 족저굴곡이 필요한 일상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행
• 달리기
• 수영자
• 전거 타기
• 무용
• 점프동작
거의 모든 스포츠에서는 족저굴곡이 필요합니다. 결과적으로 선수들은 가능한 한 많이 발목과 주변 근육을 돌보는 것이 좋습니다.
족저굴곡 조절
발바닥 굴곡은 단순한 행동처럼 보이지만 다리와 발 전체 근육과 힘줄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근육은 경골과 경골을 지지하는 더 얇은 뼈 인 비골에 집중됩니다. 근육은 발목과 발의 여러 뼈에도 붙습니다.
비복근(Gastrocnemius)
비복근은 일반적으로 종아리 근육이라고 불리는 것의 절반을 형성하는 근육입니다. 무릎 뒤쪽에서 시작하여 뒤꿈치에 있는 아킬레스 건에 붙습니다. 비복근은 발바닥 굴곡의 거의 대부분을 수행하는 근육 중 하나입니다.
가자미근(Soleus)
넓고 강한 근육으로 무릎 뒤에서 시작하여 비복근 밑에서 올라 옵니다. 발 뒤꿈치에 아킬레스건을 만들기 위해 비복근에 합류합니다. 가자미근은 땅을 밀어 내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족저굴곡을 동반한 모든 운동에서 가자미근은 매우 중요합니다.
족저근(Plantaris)
족저근은 무릎 뒤 비복근의 위에서 시작됩니다. 족저근 건은 발 뒤꿈치 뼈와 직접 연결하기 위해 가지미근과 비복근 아래로 달린다. 이 근육은 아킬레스건으로 발목과 무릎 관절을 구부리며 발가락으로 서거나 발바닥쪽 굴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Mov] Plantaris Musclefunction: Plantar Flexion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장무지굴근은 다리에 위치한 3개의 깊은 근육 중 하나입니다. 비골 뒤쪽에서 시작하여 발목을 관통하여 발바닥을 따라 엄지 발가락에 붙습니다. 장무지굴근은 발목의 발바닥쪽 굴곡을 돕고 발가락을 동그랗게 마는데 큰 역할을합니다. 특히 걷는 동안 걷고 균형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장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
장지굴근은 다리의 또 다른 깊은 근육으로 가자미근 근처의 경골의 뒤쪽에서 시작됩니다. 근육 섬유는 발목을 관통하고 발바닥을 따라 움직이는 힘줄로 끝납니다. 장지굴근은 엄지 발가락을 제외한 모든 발가락에 붙습니다. 발가락을 구부릴 수있는 힘을 주는 것이 바로이 근육입니다. 발바닥을 지지하는 데 도움이되며 발바닥쪽 굴곡에 사용됩니다.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후경골근은 다리에 위치한 세 번째 깊은 근육입니다. 하퇴의 가장 중앙에 위치한 근육이며 다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의 뼈를 분리하는 골간막에 붙어 있으며 경골과 비골에 연결됩니다. 후경골근 건은 발의 맨 안쪽에 있는 5개의 긴 뼈 인 중족골에 붙습니다. 또한 발의 다른 뼈인 내측 설상골, 외측 중앙 설상골, 주상골에 붙어 있습니다.
장비골근(Peroneus longus)
장비골근은 비골의 위쪽에서 시작됩니다. 대부분은 비골 뼈를 관통하고 엄지 발가락의 큰 너클 (knuckle) 아래의 뼈인 내측 설상골과 첫 번째 중족골에 붙습니다. 후경골근과 장비골근은 발의 중앙부에 함께 작용하여 발의 체중을 견디는 아치를 지지합니다. 이 두 근육은 서있거나 발가락으로 일어날 때 발목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됩니다.
단비골근(peroneus brevis)
단비골근은 장비골근의 바로 아래 있습니다. 비골의 축에서 시작하여 힘줄이 발에 뻗어있어 발가락의 중족골에 붙습니다. 장비골근 및 단비골근은 발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발에 위치한 여러가지 근육과 힘줄은 발바닥쪽 굴곡에서 함께 작용하여 우리의 몸이 균형 있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발에 위치한 근육이나 힘줄 중 하나라도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약화되어 부상을 입거나 운동 범위가 좁아집니다.
부상
발바닥쪽 굴곡 운동을 지지하는 근육 중 하나가 손상되면 발의 운동 범위가 제한됩니다. 발목 부상은 발바닥쪽 굴곡을 심하게 제한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발목은 매우 복잡한 관절로 등반이나 고르지 않은 표면에서의 점프와 같이 가장 어려운 상황에서 신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운동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물론 핵심 인대, 동맥 및 신경을 보호하면서 운동을 수행합니다.
발목이 손상되면 염증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염증은 발의 운동 범위를 줄여주어 추가적인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발목의 손상은 발바닥의 굴곡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때로는 사람이 발을 움직일 수 없는 정도까지 줄어 들 수 있습니다. 발목 부상은 가벼운 염좌에서 심각한 골절 까지의 범위에서 다양 합니다. 부상의 심각성에 따라 치료가 결정됩니다.
치료
부상을 치료하는 것은 어느 정도로 다쳤는가 하는 유형에 달려 있습니다. 가벼운 발목 염좌는 캐스트 또는 부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대신 RICE 방법으로 알려진 휴식, 얼음, 압박 및 거상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더 심한 염좌, 힘줄 부상 및 일부 골절은 적절한 위치에 발목을 잡기 위해 부목이나 캐스트가 필요합니다. 이 시간 동안 개인은 발이나 발목에 체중을 가할 수 없습니다.
골절이 발생한 곳에서 발목이 안정적이지 않으면 수술이 일반적으로 필요합니다. 골절을 치유하는 동안 발목의 뼈에 판이나 나사를 꽂아 두어 발목을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골절이 치유되기 까지는 보통 최소 6주가 소요 됩니다. 발바닥쪽 굴곡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형태의 발목, 다리 또는 발 부상은 근육과 힘줄을 강화하고 미래의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물리치료 와 운동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운동을 하지 않으면 앞으로 더 많은 부상을 입을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발부상 예방
발바닥쪽 굴곡을 조절하는 근육과 관절의 부상을 예방하는 것은 정기적인 움직임과 근력 운동으로 시작됩니다. 굴곡에 사용되는 근육과 힘줄을 강화하고 발목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는 많은 운동이 있습니다. 발가락올리기는 힘을 키울 수 있는 간단한 운동입니다.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와 같이 지면충격이 적은 운동은 다리, 발, 발목의 유연성과 힘을 증진시킵니다.
올바르게 발딛기를 하면 부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보행 패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하이힐이나 잘 맞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고 걷을 때도 동일하게 부상의 위험이 높습니다. 의식적인 발딛기는 잘못 교정하거나 잘못 발딛기 하려는 경향이 있는 경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을 자연스러운 자세로 걸을 수 있도록 매일 30 분 이상 맨발로 걷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