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지적 장애 란?

오늘은 지적 장애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적 장애(ID)는 학습, 추론, 사회적 및 생활 기술의 발달 장애입니다. 이는 출생 시나 아동기에 뚜렷이 나타나 성인기 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상태는 다양한 정도로 발생하며 유전적, 환경적 또는 알려지지 않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십 년 동안 의료 기관과 일반 대중은 영향을 받은 개인을 ‘정신이 약한 사람’, ‘바보’, ‘저능한 사람’ 으로 불친절하게 언급했습니다.

지적 장애는 지적 기능과 적응 행동 모두에 심각한 제한이 있는 장애입니다. 지적 기능에는 학습, 판단 연습, 문제 해결과 같은 능력이 포함됩니다. 적응 행동에는 독립적 생활 및 의사소통과 같은 일상 기능 활동이 포함됩니다. 지적장애의 증상은 신체의 한 부분 이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개인이 유아기에는 전형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청소년기나 성인기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1

지적 장애의 영향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

지적 장애는 가장 흔한 발달 장애입니다. 장애가 있는 아동은 의사소통, 또래와의 사교, 개인적 필요 사항을 돌보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는 또래의 다른 아이보다 발달이 더디게 진행되어 걷고, 먹고, 옷을 입고, 기타 일상 활동을 처리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일부 어린이는 이러한 활동에 항상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성인에 대한 영향

미국과 기타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지적 장애가 있는 성인의 수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7 이러한 사람들에게 노화는 조기 발병 질환으로 인해 점진적인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불안과 우울증 과 같은 2차 정신 건강 장애를 유발하는 차별과 배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 8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지적 장애가 있는 많은 성인은 스스로 또는 최소한의 지원만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3

 

터너증후군(Turner’s syndrome)

성염색체인 X염색체 부족으로

난소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조기 폐경이 발생, 저신장증,

심장 질환, 골격계 이상,

자가 면역 질환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유전 질환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5

 

클라인펠터 증후군(Klinefelter’s syndrome)

성염색체의 비분리의 가장 흔한 종류이며,

이것은 XXY 또는 XYY 성염색체 패턴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7

 

프라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프라더-윌리 증후군은

15번째 염색체의 결손과 관련이 있고

심한 비만, 짧은 체형, 근육긴장 저하,

긴 얼굴과 기울여진 눈, 체온조절 불량,

그리고 성기의 발육부진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9

 

레트 증후군(rett syndrome)

레트 증후군은 주로

여자아이에게서 발병、

보통 건강하게 태어나서 6-18개월까지는

표면적으로는 정상적이거나

거의 정상적인 발육의 시기를 보이다가

기능이 감소하거나 정체되는 시기에 다다른다.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11

 

취약 X증후군(fragile X syndrome)

가장 흔한 유전성 정신 지체의 원인으로서

유전 양식은 성염색체 열성 유전방식을 취하지만

다음 세대를 거칠수록

임상 증상의 정도가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는 질환

(23번 성염색체 손상)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13

 

다운증후군(Down syndrome)

다운 증후군은

가장 흔한 염색체 질환으로서,

21번 염색체가

정상인보다 1개 많은 3개가 존재하여

정신 지체, 신체 기형, 전신 기능 이상,

성장 장애등을 일으키는 유전 질환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15

 

 

윌리엄스증후군(Williams syndrome)

7 번 염색체상에 elastin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가 결핍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이며,

elastin 단백질은

혈관의 탄력성과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17

 

 

묘성증후군=고양이울음증후군(cri-du-chat syndrome)

묘성 증후군은

1963년 Lejeune 등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염색체 이상 질환으로

5번 염색체 단완(short arm)의 일부의 결실이 원인

 

지적 장애 유형-정신지체 19

 

안젤만 증후군(Angelman syndrome)

15번 염색체 쌍 가운데

모친으로부터 물려받은 염색체가

결실(deletion)되었거나

모친으로부터 온 염색체가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증후군

 

[Mov] What is Intellectual Disability?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