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전방전위증 운동방법 3가지, Spondylolisthesis Exercise


척추전방전위증 이란?

척추전방전위증 협착

오늘은 허리 통증 뿐 아니라 여러가지 문제를 가져오는 척추전방전위증 운동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척주전방전위증은 척추 한 개가 앞 또는 뒤로 밀려간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협착증을 동반한 척추전방전위증의 여러 종류와 원인들이 있다. 척추전방전위증 협착의 정의는 척추관이라 알려진 관절 뒤부분 연결 부분에 작은 파편의 결과로 척추가 앞으로 밀려난 것이다. 이러한 피로골절이 협착된 척추분리증을 만든다.

종종, 협착된 척추분리증은 천골 부분과 연결된 L5,S1 척추 부분에 영향을 준다. 대부분의 경우, 허리 아래 부분에서 발생하며 아주 드물게 해당 부분 위에서 발생 한다. 윗부분에서 발생한다면 그 이유는 트라우마 때문이다. 다른 타입의 척추전방 전위증을 제외하고, 심각함의 정도는 척추의 밀림 정도에 따라 1~5단계로 나눈다. 척추전방전위증의 경우 1,2 단계에 해당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건에 따라 다른 단계로 판정 될 수도 있다.

 

척추전방전위증 운동방법

척추전방전위증

 

단계 상태
정상 척추전방전위증이 없는 상태
1 25% 밀린 정도
2 50% 밀린 정도
3 75% 밀린 정도
4 100% 밀린 정도
5 완전하게 떨어진 정도

척추전방전위증 증상

척추전방전위증은 전반적으로 젊은 층에서 발생하나 당신의 경우 성인 때 까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협착된 척추 분리증 또는 전방 전위증은 전체 인구에 5~7% 정도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전혀 증상이 없을 수 있다. 하지만 협착증 척추전방 전위증으로 운이 안좋게 증상을 겪는다면 아래의 항목에 해당이 될 것이다.

허리 통증 , 근육 연축, 좌골 신경통, 짧은 햄스트링 근육, 변형된 보행, 신경 압박, 척추관 협착증, 걷는 동안 축 처지거나 불균형함, 다리와 발에 근육약화, 저림, 따끔거림으로 인한 방사통, 걸을 때-설 때 옆으로 비틀 때 숙일 때 일반적으로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이다.

 

[관련글] 척추전방전위증 증상 및 단계 : spondylolisthesis

 

허리 통증 여성

 

 

척추전방전위증 치료법

운이 좋게도, 대부분의 척추전방전위증 협착은 보존적인 도구를 이용해 치료가 된다. 성인 척추전방전위증으로 붓기, 감염을 줄이는 쉬운 방법은 온치료 또는 냉치료를 시작하는 것이다. 냉치료는 통증 완화에 좋고 온치료는 허리 부근에 혈액 순환 촉진에 좋다. 게다가 항생제 처방은 감염을 줄이기 위해 쓰인다.

허리 지지대는 척추전방전위증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좋은 보존적인 방법이다. 보조기는 허리를 고정해주고 상처를 야기 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보호 해준다. 전방 전위증이 목, 등, 허리 부근에 따라 여러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척추 분리증 또는 전방 전위증 치료는 허리와 복부 근육을 세우는데에 있다.

척추전방전위증 협착을 위한 물리치료는 해당 부근에 유연성을 향상 시켜주는 것이다. 요점은 허리 안정화에 더불어 허리에 부담을 줄여주는 동작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허리 척추가 견딜 수 있는 압력을 줄여주는 것이다.

 

척추전방전위증 운동방법

척추전방전위증을 앓고 있는 동안 척추는 매우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정 운동은 등에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허리나 척추가 더 손상되기 전에 특정 상태에 대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이 관련된 척추의 무리를 주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리프팅
역도는 특히 부적절한 리프팅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 면에서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들어올리는 동안 허리, 특히 하부나 요추 부위에 추가적인 부담이 가해집니다.

 

[관련글] 무거운 물건 드는 요령 : 허리부상 예방

 

☑ 비틀기 또는 구부리기
척추전방전위증의 핵심 운동은 복부 근육과 등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지만, 발가락 접촉과 같이 옆으로 과도하게 비틀거나 구부리는 운동은 피하십시오. 이로 인해 척추에 추가 부상이 발생하고 추가적인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충격이 큰 활동
척추전방전위증의 회복 과정 동안 활동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허리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달리기, 농구, 축구 등의 운동은 나을 때까지 피해야 합니다.

 

 

1. 척추전방전위증 운동방법 : 데드 버그(dead bug)

무릎은 구부리고, 바닥에 발을 편평하게 붙이고, 팔을 몸통 옆에 두어 운동을 시작한다. 배에 힘이 들어가도록 배꼽을 척추방향으로 당긴다. 다리는 굽힌 채로 유지하면서, 한 다리만 바닥으로 내려 닿기 전 상태에서 5초를 유지한다. 그리고 다음 다리도 5초간 유지한 다음,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린다. 5초 간 유지하고 팔을 내린다. 다른 팔도 동일하게 운동한다. 이 자세가 쉬워지면, 팔과 반대쪽 다리를 동시에 같이 들어올린다. 5회~10회를 한세트로 3세트 진행.

 

 

2. 척추전방전위증 운동방법 : 파셜 컬(patiral curl)

시작하기 위해 무릎을 굽히고 발은 바닥에 두고 허리를 바닥에 붙여 눕는다. 턱은 가슴으로 당기고 손을 뻗어 앞에 두고 어깨가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체를 굽힌다. 배 힘을 풀고 상체를 바닥으로 내려 말린 것을 풀기 전에 3초 간 자세를 유지한다. 호흡을 내뱉는 것은 바닥에서 어깨를 띄우는 것을 도와 준다. 1세트에 10회 씩 3세트 진행한다. 난이도를 높이려면, 이 운동을 할 때 팔꿈치가 밖으로 향하도록 깍지를 껴 머리 뒤에 두고 진행.

 

 

3. 척추전방전위증 운동방법 : 네발 자세에서 다리와 팔 들기(Quadruped arm/leg raises)

척추전방전위증을 위한 허리 운동으로, 손과 무릎을 땅에 대어 시작. 진행하는 동안 복부에 힘을 주어 팔과 반대쪽 다리를 들어올린다. 5초 간 자세를 유지하고 팔과 다리를 바닥으로 내린다. 반대팔 , 다리도 동일하게 진행한다. 각 자세를 10회 반복 척추전방전위증 수술 현 상태가 보존적 치료가 맞지 않거나, 척추 신경 압박으로 미끄러짐 정도가 심해진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

 

✚ 척추전방전위증 협착 수술은 일반적으로 문제가 있는 척추와 주변 척추의 골이식, 골나사, 로드를 붙이는 것이다. 척추내 공간을 더 내고 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추궁절제술이 필요할 것이다. 척추전방전위증 협착 수술은 85~90%의 성공률을 보인다.

 

맺음말

척추전방전위증은 미국의 경우 연간 최대 200,000명에게 발생하는 치료 가능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이는 척추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목(경추전방전위증)이나 허리(요추전방전위증)에만 발생합니다. 오늘 알아본 척추전방전위증 운동방법 3가지는 불안정해진 척추 부위를 안정화 하기 운동은 필수적인 부분으로 코어와 사지의 안정화에 중점을 둔 운동방법들 입니다. 보존적 치료와 함께 본인의 신체적 상태에 맞추어 운동부하와 반복 횟수를 맞추어 관리하시면 좋겠습니다.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