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협착증이란 무엇인가?
척추와 건강
척추협착증이란 척추협착증은 척추 내의 하나 이상의 뼈 구멍(구멍)이 좁아지고 신경이 들어갈 공간이 줄어들 때 발생합니다. 이 과정은 척수관(척수가 중앙으로 이어지는 곳) 및/또는 척수 신경이 척수관에서 나가는 추간공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치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좁아지는 정도에 따라 척수 신경이나 척수가 압박되어 통증, 따끔거림, 무감각 및/또는 쇠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통증
통증은 둔하고 목이나 허리에만 국한될 수도 있고, 팔이나 다리로 퍼져나가는 전기 같은 통증일 수도 있습니다. 통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특정 활동 중에 갑자기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때때로 통증은 바늘로 찌르는 듯한 따끔거림에 가깝습니다.
☑ 마비
팔, 다리 및/또는 신체의 다른 부위에 감각 감소 또는 완전한 무감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약화
팔, 다리 및/또는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근력 감소 또는 조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수 또는 말총 (척수 아래로 흐르는 신경 뿌리)이 심하게 압박되면 장 및/또는 방광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이 항상 통증을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드물기는 하지만 통증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무감각이나 쇠약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척추협착증이란?
척추협착증이란 척추의 공간이 좁아지고 척수와 신경 뿌리에 압력이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척수는 뇌의 기저부에서 나와 척추 중앙을 따라 이어지는 신경 다발입니다. 신경 뿌리는 척수에서 뻗어 나옵니다. 협착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며 척추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합니다.
▪ 척수와 신경 뿌리는 각 척추뼈 중앙의 빈 공간(척수를 보호하는 척추의 뼈)인 척추관을 통과합니다.
▪ 척수관은 척수에서 뻗어 나온 신경 기저부 혹은 신경근 위치입니다.
▪ 신경이 척추에서 나와 신체의 다른 부위로 연결되는 척추뼈 사이의 구멍입니다.
등의 해부학적 구조에는 신체를 지탱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다양한 구조가 있습니다. 척추에는 경추.,흉추, 요추, 천골과 미골의 네 가지 영역이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요추와 경추에서 가장 흔히 발생합니다.
척추협착증 증상
척추협착증의 초기 증상으로는 잘 알아채지 못할 정도로 미미하나 척추와 척추 사이가 점점 좁아짐에 따라 척수나 신경 뿌리를 압박하므로 팔과 다리에서 무감각, 약화, 절뚝거림, 통증이 나타날 것이고 더 심한 경우, 장기, 방광, 또는 성관계에 문제가 생길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50세 이상의 남자와 여자에게 호발 합니다. 하지만 선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사고로 인해 척추가 손상을 당했을 경우에는 젊었을 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척추에서 팔이나 다리로 방사되는 방사성 통증, 덜 흔하게는 양쪽 팔이나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입니다. 이 통증은 둔한 통증이나 압통에서부터 전기 같은 통증이나 작열감까지 다양합니다.
▪ 팔이나 다리에 들어가는 따끔거림, 무감각 또는 쇠약과 같은 척수 신경근 압박으로 인한 신경학적 결손을 수반하는 신경근병증.
▪ 척수 압박으로 인한 따끔거림, 무감각 또는 양쪽 팔 및/또는 다리의 쇠약과 같은 신경학적 결손을 수반하는 척수병증(myelopathy) . 척수병증은 방광/장 조절 문제와 같은 신체 다른 곳의 기능 장애와도 관련될 수 있습니다.
▪ 마미 증후군(말총 증후군, cauda equina syndrome)은 마미(cauda equina, 척수 아래로 이어지는 척수 신경 뿌리)의 압박으로 인해 신경학적 결손을 초래합니다. 안장 마취 및/또는 장/방광 요실금을 포함하여 다양한 징후와 증상이 하지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미 증후군은 영구적인 신경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척추협착증 원인
노화된 척추
인대(척추를 함께 잡아주는 인대)는 당신이 나이가 들수록 두꺼워지고 단단해집니다. 뼈와 관절도 커질 것이고, 척추 사이 공간을 좁힐 수 있다. 특히 노화로 인해 발생되는 관절염은 이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다. 바로 척추골관절염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척추 골관절염은 후관절(인접한 척추뼈의 뒤쪽을 연결하는)을 덮고 있는 매끄러운 연골이 부서지기 시작하면 뼈가 서로 마찰되기 시작하여 골극 또는 뼈돌기 라고 하는 비정상적인 뼈 성장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 결과적인 염증과 골극 형성은 구멍이 좁아지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과정이 골관절염의 원인이 되어 손 관절이 커지게 됩니다.)
다른 가능성 있는 원인
만약 추간판 탈출증이 있는 경우 척추를 나누는 부드러운 완충물 또는 “추간판”이 금가고 흘러 나올 수 있습니다. 종양이 발생하거나 또는 갑작스런 손상으로 인해 척추가 밀리거나 척추의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수관의 인대가 골화되어(두꺼워지고 뼈 조직으로 변함) 척수나 인근 척수 신경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 일부 인대는 척추 퇴행이 진행됨에 따라 척추관으로 좌굴되기 더 쉬워질 수도 있습니다. 척추 기형이나 낭종 성장과 같은 다른 요인들도 척추 협착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척추협착증의 유형
척추사이구멍 협착증 (측면 추간공 협착증)
추간공은 척추 신경이 인접한 두 척추뼈 사이의 척추관을 빠져나가는 뼈 구멍입니다. 이들 구멍 중 하나 이상이 좁아지면 이를 척추사이구멍 협착증(foraminal stenosis, lateral stenosis)이라고 합니다. 척추사이구멍 협착증이 있는 경우 척수 신경의 공간이 줄어들어 압박을 받거나 통증이 발생하거나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간공 협착증은 척추 전체의 추간공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흔하게는 요추에서 발생합니다. 경추에도 발생할 수 있지만 흉추에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척추사이구멍 협착증과 측면 추간공 협착증이라는 용어는 둘 다 척추관의 측면(측면)에서 발생하는 협착증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척수 신경 압박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외측 함요 협착증은 척수 신경이 추간공에 도달하기 직전에 압박될 때 발생합니다.
▪ 극외측 협착증은 척수 신경이 이미 추간공을 빠져나왔을 때 발생합니다.
추간공 협착증의 경우 일부 외측 함요부 협착증이나 극외측 협착증도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사이구멍 협착증은 이러한 모든 유형의 측면 협착증에 사용되는 포괄적인 용어입니다.
중심 척추관 협착증
척추공(vertebral foramen)은 척추관을 따라 내려가는 척수를 보호하는 척추뼈 중앙에 있는 뼈 구멍입니다. 이러한 척추공 중 하나 이상이 좁아지면 이를 중심 척추관 협착증(central canal stenosis)이라고 합니다. 중심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척수 공간이 줄어들고 압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압축 수준 아래 신체 어느 곳에서나 통증 및/또는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심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 전체의 척추공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요추나 경추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추간공 협착증과 중심 척추관 협착증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협착증 진단방법
다른 병력이 있거나 건강상의 문제가 있덨던 경우에도 똑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 있게 때문에 환자의 병력을 체크하게 됩니다. 특히 의사는 환자가 허리를 뒤로 구부릴 때의 통증유무를 체크 하고 근력과 반사검사를 할 것입니다. 또한 환자의 척추를 보기 위해 CT나 MRI촬영을 해서 종양, 뼈조각의 발생이나 척추손상 유무등을 확인할 것입니다.
담당 의사와 더불어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확실한 운동을 도울 수 있는)와 류마티스 치료사(관절염과 연관된 질환을 치료하는)와 신경과 의사(신경 문제를 치료하는)에게 진단을 받고 수술이 필요하다면, 정형외과 의사(뼈에 대해 다루는) 또는 신경 외과 의사(신경 시스템에 초점에 맞춘)에게 추가 진료를 받게 됩니다.
척추협착증 치료방법
약물치료
감염과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의사는 처방 없이 파는 acetaminophen, aspirin, naproxen, 또는 ibuprofen 복용을 제안할 것입니다. 이것들이 효과가 없다면, 의사는 감염과 통증을 줄이기 위해 스테로이드(코티손과 같은-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약) 한 대를 척수에 놓아줄 것입니다. 감염된 신경 근처의 통증을 차단시키기 위해 마취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비수술적 치료법
복근과 등근육을 강화시킬 운동을 제안할 것입니다. 유산소 운동 즉 수영, 자전거타기, 또는 힘차게 걷기는 활동적이게 해주는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더 나이가 들거나 복근의 약화가 온다면 등뼈를 강화시키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걷기가 어렵거나 방광이나 장기에 문제를 일으킬 무감각 또는 약화가 있다면 수술을 제안 받을 것입니다. 수술을 하는 이유는 척수와 신경의 혈압을 안정시키고 척추를 지지하는 것입니다.
수술의 경우 위험성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술 후에 통증이 적어지고 더 잘 걸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많은 수술들처럼, 감염이 발생되거나 피덩어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척수를 감싸고 있는 막이 찢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치료할 수 있겠지만 회복이 더뎌질 것입니다.
[Mov] Spinal Stenosis – Everything You Need To K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