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치료제 종류 : 도파민, 비운동증상 조절
파킨슨병과 치료제
오늘은 파킨슨병 치료제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여러 유형의 약물이 다양한 방식으로 파킨슨병의 운동 및 비운동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은 부작용을 관찰하고 최적의 투여량을 보장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파킨슨병은 완치될 수 없지만 다양한 유형의 약물이 증상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떨림(tremor), 근육 경직(muscle stiffness), 느린 움직임(slow movement, bradykinesia : 운동완화증) 및 균형 장애(impaired balance)와 같은 움직임과 관련된 증상(운동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치매, 정신병, 또는 현실과의 접촉 상실, 우울증, 불안 및 무관심과 같은 기분 장애 및 불면증과 같은 수면 장애와 같은 비운동성 또는 비운직임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파킨슨병의 많은 증상은 신경전달물질(또는 화학적 메신저) 도파민을 생성하는 뇌의 뉴런 손실의 결과입니다. 당연히 많은 파킨슨병 치료법이 뇌의 도파민 수치를 높이거나 그 효과를 모방하려고 시도합니다.
파킨슨병에 대한 약물은 세 가지 일반적인 범주로 나뉩니다.
- 뇌의 도파민 수치를 높이는 약물
- 운동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 비운동성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
약물로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것은 질병의 증상을 관리하는 것과 약물이나 약물의 부작용을 관리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기사를 참조한 내용이므로 국내의 의료현실과 차이가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약물의 처방과 관련해서는 미국과의 차이가 있고, 해당 약물의 명칭 표기도 다르므로 성분명 위주로 보시고 참조용으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파킨슨병 치료제 종류
다음 처방약은 뇌의 도파민 양을 증가시킵니다.
2021년 11월 「 Neurology」 에 발표된 미국의 신경과 학회(AAN)의 새로운 지침은 부정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초기 단계의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증상을 제어하기 위해 이러한 약물 요법 옵션 중에서 의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합니다.
도파민 유사 약물
파킨슨병과 관련된 운동 증상의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은 듀오파(Duopa), 파코파(Parcopa), 라이타리(Rytary) 및 시네메트(Sinemet)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레보도파(levodopa)와 카비도파(carbidopa) 약물의 조합 입니다. 때때로 단순히 레보도파 또는 L-DOPA라고도 하는 이 약물은 결국 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파민(dopamine)이 됩니다. 도파민은 뇌에 도달하기 전에 체내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치료제로 직접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새로운 미국의 신경과 학회(AAN)의 지침에 따르면 레보도파는 질병 초기에 운동 증상을 관리하는데 도파민 작용제 보다 우수합니다. 그러나 꼼지락거리기(fidgeting), 몸부림 치기(writhing), 위/아래로 머리 흔들기(head bobbing) 및 몸 흔들기(body swaying)를 포함하는 통제되지 않는 비자발적 운동의 일종인 이상운동증(dyskinesia)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상운동증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사는 최소유효용량의 레보도파를 처방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상운동증 및 기타 약물 부작용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습니다. 레보도파의 다른 가능한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졸음,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앉았다가 일어설 때 또는 누웠다가 일어설 때 발생하는 저혈압 등이 있습니다.
미국의 신경과 학회(AAN)의 진료 지침은 초기 파킨슨병에서 레보도파를 식사와 함께 복용하면 메스꺼움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질병의 후기 단계에서는 그렇게 하면 약물의 치료 효능이 감소할 수 있다고 언급합니다. 레보도파를 사용하는 qns들은 때때로 약물 투여 사이 또는 투여 중간에 운동 증상이 발생하는 약효과 떨어짐(wearing off)을 경험합니다. 약효과 떨어짐은 점진적으로 또는 갑자기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정 약물 치료법은 에피소드를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습니다. 여기에는 레보도파의 경구 흡입 형태인 인브리자(Inbrija)와 레보도파와 함께 복용하는 약물인 누리안즈(Nourianz, istradefylline)가 포함됩니다.
레보도파를 갑자기 중단하면 열, 경직된 근육, 비정상적인 신체 움직임 및 혼란을 포함한 불쾌한 금단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의사와 먼저 상의하지 않고 레보도파의 복용량을 변경하거나 갑자기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됩니다.
[관련글] 도파민의 기능 8가지 :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나요?
도파민 작용제
이 약물 그룹에는 에이포킨(Apokyn, apomorphine), 미라펙스(Mirapex, pramipexole), 뉴프로(Neupro, rotigotine), 팔로델(Parlodel, bromocriptine), 노데라(Northera, Droxidopa), 리큅(Requip, ropinirole) 및 킨모비(Kynmobi, apomorphine)가 포함 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뇌에서 도파민의 작용을 모방하고 레보도파와 유사한 부작용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단독으로 또는 레보도파와 함께 복용할 수 있습니다. 드문 경우지만 이러한 약물은 충동 조절 장애로 통칭되는 도박, 쇼핑 또는 성관계에 대한 통제할 수 없는 욕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초기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미국의 신경과 학회(AAN)의 지침에 따르면, 도파민 작용제는 레보도파보다 충동 조절 장애, 과도한 주간 졸음 및 수면 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큽니다. 또한 환각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으며, 레보도파와 마찬가지로 기립성 저혈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체 크기, 성별 및 질병 중증도와 같은 개인의 특성도 특정 약물 부작용을 경험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파킨슨병 초기 단계에 있는 분들은 시작하기 전에 이러한 약물 잠재적 이점과 위험에 대해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Mov] dopamine parkinsPharmacology – Parkinson’s Diseaseon’s disease
MAO-B 억제제, MAO-B Inhibitor
아질렉트(Azilect, rasagiline) 및 엘데프릴(Eldepryl) 또는 젤라파(Zelapar, selegiline)를 포함하는 이러한 약물은 뇌에서 도파민을 분해하는 모노아민 산화효소B(MAO-B, enzyme monoamine oxidase)의 작용을 억제합니다.이는 더 많은 도파민이 뇌가 사용할 수 있도록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때로 모노아민 산화효소B 억제제(MAO-B inhibitor)를 레보도파와 함께 복용하여 해당 약물의 효과를 연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을 특정 항우울제 및 진정제 와 동시에 복용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호 작용 때문에 피하거나 의사가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모노아민 산화효소B 억제제(MAO-B inhibitor)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가벼운 메스꺼움, 구강 건조, 현기증 및 변비 가 있습니다.
미국의 신경과 학회(AAN) 진료 지침에 따르면, 모노아민 산화효소B 억제제(MAO-B inhibitor)는 초기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성 개선에 있어 레보도파보다 덜 효과적이며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 중단 위험이 더 높다고 합니다. 의사는 이러한 종류의 약이 환자에게 좋은 선택인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COMT 억제제, COMT Inhibitor
이 약물 그룹에는 콤탄(Comtan, entacapone), 온젠티스(Ongentys, opicapone) 및 타스말(Tasmar, tolcapone)이 포함됩니다. 이 약물은 뇌에서 도파민을 분해하는 또 다른 효소인 카테콜-오-메틸트랜스퍼라제(COMT, catechol-O-methyltransferase)의 작용을 억제합니다. 레보도파와 함께 복용하면 약물의 효과가 연장됩니다. 레보도파 투여 사이에 약효 떨어짐을 경험하는 경우 처방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COMT 억제제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설사입니다. 또한 수면 장애, 현기증 또는 환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타스말(Tasmar)은 일부 사람들에게 심각한 간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복용하는 경우 간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시메트렐(Symmetrel, Amantadine)
시메트렐은 뇌에서 도파민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입니다. 연구자들은 왜 아만타딘이 이 분야에 도움이 되는지 확신하지 못합니다. 아마타딘은 때때로 파킨슨병 초기에 단독으로 복용합니다. 나중에 레보도파로 인한 운동이상증에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신경 전달 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다음 약물은 또한 파킨슨병의 특정 증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항콜린제, Anticholinergics
항콜린제는 ‘약효과 떨어짐’ 과 관련된 떨림 및 근긴장 이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근육 활성화와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작용을 줄임으로써 작동합니다. 이 약물 그룹에는 아르테인(Artane, trihexyphenidyl), 코젠틴(Cogentin, benztropine), 스코페이스(Scopace, scopolamine) 및 파시돌(Parsidol, ethopropazine)이 포함됩니다.
항콜린제의 부작용에는 흐린 시력, 구강 건조, 변비 및 요폐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자의 경우 혼돈과 환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70세 이상인 사람에게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비운동성 증상에 대한 약물
파킨슨병의 다양한 비운동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약물 그룹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항정신병약, Antipsychotics
2016년 발표된 기사에 따르면 이러한 약물은 일부 파킨슨병 환자가 경험 하는 환각과 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오른쪽 위쪽 화살표 종종 다른 특정 파킨슨병 약물의 용량을 조정하는 것도 이러한 증상에 도움이 됩니다.
쎄로켈(Seroquel, quetiapine), 클로자릴(Clozaril, clozapine) 및 뉴플라지드(Nuplazid, pimavanserin)는 파킨슨병 환자에게 안전하고 내약성이 좋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항정신병 약물은 다른 약물만큼 파킨슨병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할돌(Haldol, haloperidol) 및 리스페달(Risperdal ,risperidone)과 같은 많은 전통적인 항정신병 약물은 도파민을 차단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파킨슨병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우울증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흔합니다. 극도의 슬픔을 느끼거나 한때 즐겼던 활동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경우 항우울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항우울제가 이러한 물질(및 일부 파킨슨병 약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므로 항우울제를 처방하기 전에 의사는 환자가 복용하는 모든 약초 보충제와 약물 및 알코올 사용에 대해 알고 싶어할 것입니다.
각성제, Stimulants
2017년에 발표된 기사에 따르면, 이러한 약물은 종종 파킨슨병 환자의 과도한 주간 졸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근본적인 원인(통증이나 잦은 배뇨 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면 장애가 지속되면 의사는 낮 동안의 졸음을 줄이기 위해 프로비질(Provigil, modafinil)과 같은 약물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Cholinesterase Inhibitors
이러한 약물은 노화 및 파킨슨병의 진행으로 인한 치매 또는 기억력 및 사고력 문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아리셉트(Aricept, donepezil), 엑셀론(Exelon, rivastigmine), 나멘다(Namenda, memantine), 및 라자다인(Razadyne, galantamine)과 같은 약물은 알츠하이머병을 위해 개발 되었지만 파킨슨병 환자의 치매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 Estrogen
에스트로겐은 갱년기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폐경 후 여성에게 때때로 제공되는 호르몬이며 파킨슨병이 있는 여성에게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파킨슨병이 있는 여성에게 에스트로겐 호르몬 대체 요법(HRT, estrogen hormone replacement therapy)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지만, 지금까지 표준 파킨슨병 약물과 함께 에스트로겐 호르몬대체요법(HRT)을 복용할 때 해를 보였던 연구는 없습니다. 에스트로겐 단독은 파킨슨병 치료제로 간주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