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당뇨병 증상, 식이요법, 약물치료


당뇨병에 유형이 있다?

오늘은 실제로 많은 분들이 관리에 곤란을 겪고 있는 2형당뇨병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고, 건강 관리를 위한 식이요법과 약물치료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당뇨병은 만성 질환을 말하며 혈류에 당이나 포도당이 만들어지는 단계이다. 인슐린은 혈액에서 세포로 당을 옮기는 역할을 하는데 그 당은 에너지로 사용된다. 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아서 발생한 당뇨병이고, 인슐린 분비기능은 일부 남아있지만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상대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발생한 경우를 2형당뇨병이라고 한다.

2형당뇨병은 신체의 세포들이 인슐린에 반응할 수 없는 상태로써 성인이 되어서 여러 원인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생기므로 성인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조절이 되지 않는 2형당뇨병은 만성적인 높은 혈당을 일으켜 심각한 증상과 잠재적으로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2형당뇨병

당 검사

 

2형당뇨병의 원인

인슐린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호르몬이다. 췌장은 인슐린은 만들고 밥 먹을 때는 만들지 않는다. 인슐린은 당을 신체를 통해 혈류에서 세포로 에너지가 사용되는 곳에 옮겨진다. 2형당뇨병에 걸리면, 몸이 인슐린에 저항한다. 몸은 더 이상 호르몬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저항은 췌장이 인슐린을 더 만들기 힘들게 한다. 시간이 지나면, 췌장의 세포들이 손상을 받는다. 더군다나 췌장은 인슐린을 만들 수 없어진다.

만약 인슐린을 충분히 못 만들거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면, 포도당은 혈류에 쌓인다. 가족 중에 2형당뇨병이 있다면 위험성은 상당하고, 다양한 연령대에서 2형당뇨병이 나타나는데, 나이가 들수록 위험성이 증가한다. 특히 45세 이상이 더 위험하다. 마지막으로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앓고 있는 여성들은 위험성이 발생 위험이 높다.

세계보건기구는 당뇨병에 걸린 사람들의 90%가 2형당뇨병이고, 2012년에 당뇨병이 전 세계적으로 1500만 명의 사람들을 죽었고, 당뇨를 가진 사람들의 절반은 심장병이나 뇌졸중 같은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하며, 신장장애의 원인이 된다고 통계를 낸 적이 있다.

 

2형당뇨병 진단

당뇨 전조증상이 있건 없건 간에, 당뇨증상이 나타난다면 바로 병원에 가야한다. 의사는 혈액에서 많은 정보를 얻어 간다. 진단방법에는 이런 것들이 포함된다.

헤모글로빈 A1C 검사는 당질 헤모글로빈 검사로도 불린다. 2-3개월 이전의 혈당의 평균을 잰다. 검사를 서두를 필요 없으며 의사도 결과를 보고 진단해줄 것이다. 공복혈당검사(Fasting plasma glucose test)를 하기 전 8시간은 서두를 필요가 있다. 이 검사는 혈장에 있는 당이 얼마나 많은지 측정하는 것이다.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를 하는 동안, 혈액은 당을 섭취하고 두 시간이 지난 후에는 뽑아낸다. 이 검사 결과는 신체가 음료를 마시기 전과 후의 당을 다루는 능력을 보여준다.

 

2형당뇨병의 증상

초기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허기, 에너지 부족, 체중 감소, 피로, 심한 갈증 ,빈뇨, 구강 건조, 가려운 피부, 흐린 시야를 경험 하게 되는데 병이 진행될수록, 증상들은 더 심해지고 잠재적으로 위험해진다. 심한 경우 실명이 나타나기도 한다. 만약 장시간 혈당이 높으면 효모 감염, 치유속도 저하, 피부 검은 반점, 발의 통증, 극심한 이상감이나 신경장애 증상이 나타나고 ,이들 중에 2개 이상의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특히 밤에 평소보다 더 많이 소변을 본다.

• 항상 갈증을 느낀다

• 매우 피곤함

• 노력하지 않고도 체중 감량

• 음경이나 질 주변이 가렵거나 반복적으로 아구창이 발생한다.

• 상처나 상처가 치유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 흐려진 시야

 

당뇨는 심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당뇨에 걸린 여성은 처음 심장마비가 온 이후에 또 다시 심장마비가 올 확률이 2배 정도 높다.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 여성과 비교했을 때 심부전이 올 확률이 4배정도 높다. 당뇨는 임신 중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2형당뇨병을 위한 식이요법

식이요법은 심장의 건강과 혈당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데 중요한 도구이다. 복잡하거나 기분 나쁜 그런 것이 아니다. 2형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다이어트는 일반적인 사람들이 하고 있는 다이어트와 같은 것이다. 식사에 섬유질과 건강한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같이 먹거나 규칙적으로 먹고, 과일, 채소, 곡식을 먹으면 혈당 유지에 도움이 된다.

체중조절을 해야 하고 매일 30분 정도 유산소 운동을 하면 혈당조절에 도움이 된다. 무엇을 먹는지 뿐만 아니라 얼마나 먹는지도 중요하다. 식이요법을 정리해보자면 정해진 시간에 밥 먹기, 간식 먹기, 높은 영양과 낮은 열량의 다양한 음식 선택, 과식 주의, 음식에 붙어있는 설명문을 자세히 읽기(칼로리와 당수치 보기)등이 있다.

심장에 좋은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음식(참치, 연어, 정어리, 고등어, 넙치, 대구등)도 도움이 된다. 피해야 할 음식으로는 포화지방이 많은 음식, 트랜스 지방이 많은 음식, 소고기, 가공육, 조개류, 내장육, 마가린, 가공과자, 단음료, 고열량 유제품, 짜고 튀긴 음식, 쇼트닝등이 있다.

 

2형당뇨병의 약물치료

2형당뇨병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의사는 혈당을 얼마나 자주 확인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당뇨병 치료의 목표는 혈당이 구체적인 범위에 유지되는 것이다. 몇몇 경우에서, 생활습관을 바꾸면 2형당뇨병을 조절하기 충분하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여러 약들이 도움을 준다.

• 메트포르민, metformin : 혈당을 낮춰주고 인슐린에 대한 몸의 반응을 향상시켜 준다

• 설포닐유레아, sulfonylureas : 인슐린 생성에 도움이 됨

• 메글리티나이드계, meglitinides or 글리나이드, glinides : 췌장을 자극해서 인슐린을 더 만들어 내도록 하는 빠른 작용과 단기에 사용하는 약물

• 티아졸리딘디온, thiazolidinediones : 몸이 인슐린에 민감하게 만듦

• DPP-4 억제제,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 가벼운 약으로 혈당을 낮춰줌

•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GLP-R1 Agonist : 소화를 느리게 하고 혈당을 높인다

• SGLT2 억제제, sodium-glucos cotransporter-2 inhibitors : 신장에서 혈액에 있는 당을 재흡수 하고 소변으로 내보내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각각의 약들은 부작용이 있다. 당뇨병을 치료하는 최고의 약이나 약의 조합을 찾는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만약 혈압이나 콜레스테롤의 문제라면 추가적인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만약 신체가 충분한 인슐린을 만들지 못한다면, 인슐린 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장기간의 주사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밤에 맞을 수도 있고 하루에 몇 번 씩 맞기도 한다.

 

2형당뇨병과 관련된 합병증

거의 모든 장기들에 영향을 미치고 심각한 합병증을 가져온다. 합병증의 종류로는 아래와 같다.

• 피부 문제 : 박테리아와 곰팡이 감염

• 신경 손상이나 신경 장애 : 감각의 소실과 저림 증상, 구토, 설사, 변비 같은 소화 장애

• 발의 혈액순환 장애 : 절단을 하거나 감염이 될 때 발의 회복을 힘들게 하고 괴사나 발 혹은 다리를 잃을 수 있다

• 청각 장애

• 망막 손상, 망막 장애, 시각 손상 : 악화되는 시력, 녹내장, 백내장

• 심혈관 질환 : 고혈압, 동맥, 혈관, 심장마비, 뇌졸중의 범위를 좁힌다

• 신장 손상과 신장 기능 장애등이 있다

• 저혈당 : 저혈당은 혈당이 낮을 때 일어난다. 증상은 불안정, 어지러움, 말하기 어려움 이다. 일반적인 치료법은 보통 빠르게 과일 주스나 부드러운 음료, 사탕 같은 것들을 음식을 먹거나 마시는 것이다

• 고혈당 : 혈당이 높을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주 증상이 잦은 소변과 극심한 갈증이다. 운동을 하는 것이 혈당을 낮추는데 도움을 준다

 

2형당뇨병 증상, 식이요법, 약물치료 2

 

2형당뇨병의 관리

2형당뇨병의 관리는 협력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진료를 보며 모니터링 해야 하는데 당 수치는 환자가 어떤 생활 습관을 했는지를 보여준다. 의사는 혈당수치를 알기 위해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하려 할 것이다. 만약 당뇨약을 먹으면, 약이 얼마나 효과를 나타내는지도 모니터링 해야 한다. 당뇨병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의사는 혈압과 혈액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하려 할 것이다. 만약 심장 질환의 증상이 있으면, 심전도나 심장스트레스 검사등을 추가적으로 해야 한다.

 

맺음말

제2형 당뇨병은 혈당 또는 혈당 수치가 너무 높은 질병입니다. 포도당은 에너지의 주요 원천으로 우리가 먹는 음식에서 나온다.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은 포도당이 세포에 들어가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도와준다. 당뇨병이 있으면 신체가 인슐린을 충분히 생성하지 못하거나 인슐린을 잘 사용하지 못한다. 그런 다음 포도당은 혈액에 남아 세포로 들어가는 양이 충분하지 않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혈액에 포도당이 너무 많으면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당뇨병을 관리하고 이러한 건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관련글] 저혈당 식이요법 : 혈당지수(GI) + 혈당부하(GL)

[Mov] What Is Type 2 Diabetes?

 

 

 

 

You may also like...

1 Response

  1. 2024-03-22

    […] [관련글] 2형당뇨병 증상, 식이요법, 약물치료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