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5 신경근 평가방법 : 삼각극, 극상근, 상완이두근, 상완근
C5 신경근 평가방법
오늘은 C5 신경근 평가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신경학적 수준(neurologic level)에 의한 검사는 경추의 병리학적 영향이 상지에서 자주 나타난다는 사실에 근거합니다. 척수 자체 또는 척수에서 나오는 신경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는 팔과 다리의 근육 약화 또는 이상, 반사 이상 및 감각 감퇴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소견의 분포는 관련된 수준에 따라 달라서 사지에 대한 철저한 신경학적 검사는 신경학적 수준의 관련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것은 또한 경추 또는 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어지는 진단 테스트는 상지의 신경학적 문제와 경추 신경근을 포함하는 병리 사이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경추의 각 신경학적 수준에 대해 운동력, 반사 및 상지의 감각 영역을 검사하여 관련 수준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상완 신경총에 대한 첫 번째 기여인 개별 신경근 C5 평가를 시작했습니다. C1-C4는 테스트의 어려움 때문에 테스트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C4 세그먼트가 횡경막(횡격막 신경을 통해)에 대한 주요 신경지배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경학적 수준 C5, Neurologic Level C5
근육 검사, Muscle Testing
삼각근(deltoid, 어깨세모근)과 상완이두근(biceps, 위팔두갈래근)은 C5 신경지배를 통해 가장 쉽게 테스트할 수 있는 두 근육입니다. 삼각근은 거의 순수한 C5 근육입니다. 상완이두근은 C5와 C6 모두에 의해 자극을 받고 있어서 C5 신경분포의 평가는 이런 중첩으로 인해 약간 흐려질 수 있습니다.
❒ 삼각근, deltoid
• 기시점 : 쇄골의 외측 1/3, 견봉의 윗면, 견갑극(spine of scapula)
• 정지점 : 상완골의 삼각근결절(deltoid tuberosity)
❒ 극상근, Supraspinatus
• 기시점 : 견갑골 극상와 (Supraspinous fossa)
• 정지점 : 상완골 대결절의 상면(Superior facet of greater tuberosity of humerus), 어깨 관절낭.
❒ 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
• 기시점 : 견갑골의 오구돌기(coracoid process) 끝에 짧은 머리, 견갑골의 관절상결절(supraglenoid tuberosity)에 긴 머리
• 정지점 : 요골 조면(radial tuberosity) 및 전완 굴근의 이두건막(lacertus fibrosis)에 의해❒ 상완근, Brachialis
• 기시점 : 상완골 전면의 아래쪽 2/3 지점
• 정지점 : 척골의 구상돌기 및 결절
삼각근, Deltoid : C5 (액와 신경, Axillary Nerve)
삼각근은 실제로 세 부분으로 구성된 근육입니다. 전방 삼각근은 굴곡, 중간 삼각근 외전 및 후방 삼각근은 어깨를 신전합니다. 세 가지 동작 중 삼각근은 외전에서 가장 강력하게 작용합니다. 삼각근은 어떤 동작에서도 단독으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평가를 위해 분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강력한 운동 평면인 외전에서의 상대적 강도에 주목합니다.
일차 어깨 외전근 (primary shoulder abductor)
• 극상근, Supraspinatus(가시위근) : C5, C6 (suprascapular nerve, 견갑상신경)
• 삼각근, Deltoid middle portion (가운데 부분) : C5, C6(axillary nerve, 액와신경 : 겨드랑 신경)
이차 어깨 외전근
1. 삼각근, Deltoid anterior and posterior portion (전방 및 후방 부분)
2. 전거근, Serratus anterior(앞톱니근, 견갑골의 외전에는 안정적인 견갑골이 필요하기 때문에 견갑골에 대한 직접적인 안정화 작용을 함)
환자 뒤에 서서 견봉을 안정시킵니다. 고정 손을 약간 옆으로 밀어서 견갑대를 고정하는 동안 삼각근의 중간 부분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팔꿈치를 90°로 구부린 상태에서 팔을 외전하도록 환자에게 지시합니다. 환자가 외전으로 이동하면 환자가 극복할 수 있는 최대 저항을 결정할 때까지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킵니다(그림 1-5). 근육 등급 차트에 따라 결과를 기록합니다.
상완이두근, Biceps : C5-C6 (근피신경, Musculocutaneous Nerve)
상완이두근은 어깨와 팔꿈치의 굴근(flexor)이며 팔뚝의 회외근(supinator)입니다. 전체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남자가 코르크 마개를 와인 병에 넣고(회외, supination) 코르크를 뽑고(팔꿈치 굴곡, elbow flexion) 와인을 마시는(어깨 굴곡, shoulder flexion) 상상해 봅니다.
C5의 신경학적 무결성을 결정하기 위해 팔꿈치 굴곡에 대해서만 상완이두근을 검사합니다. 팔꿈치의 다른 주요 굴근인 상완근(상완근 : 윗팔근, brachialis)도 C5에 의해 자극을 받기 때문에 팔꿈치 굴곡 검사는 C5 완전성에 대한 합당한 표시를 제공해야 합니다.
팔꿈치의 굽힘을 검사하려면 검사할 팔꿈치 약간 측면을 향하도록 환자 앞에 섭니다. 팔꿈치의 뒤쪽 부분 주위에 손을 컵모양으로 감싸서 팔꿈치 관절에 바로 근접한 상지를 안정시킵니다. 전완(팔뚝, forearm)은 팔꿈치 굴곡을 도울 수 있는 근육 대체를 방지하기 위해 회외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환자에게 팔을 천천히 구부리도록 지시합니다. 환자가 45° 굴곡에 가까워지면 저항을 적용합니다. 환자가 극복할 수 있는 최대 저항을 결정합니다.
신경학적 수준 C5 : 반사 검사
상완이두근 반사, Biceps Reflex
상완이두근 반사는 주로 C5 신경학적 온전함의 지표로, 또한 C6 구성 요소가 더 작습니다. 상완이두근에는 두 가지 주요 수준의 신경 분포가 있기 때문에 병리를 나타내기 위한 반사 강도는 반대쪽 강도보다 약간만 약하면 됩니다. 신체의 반대쪽을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완이두근의 반사를 테스트하려면 환자의 팔이 팔뚝에 편안하게 놓이도록 놓고, 손은 팔꿈치의 내측 아래에 있어야 하며 팔을 지지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엄지손가락을 팔꿈치 주관절와(cubital fossa)의 상완이두근건(biceps tendon)에 위치시킵니다. 이두박근 힘줄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위해 환자가 팔꿈치를 약간 구부리도록 합니다. 상완이두근 힘줄이 엄지손가락 아래에서 두드러집니다.
환자에게 사지를 완전히 이완시키고 팔꿈치를 약 90°로 구부린 상태에서 팔뚝에 놓도록 지시합니다. 반사 망치의 좁은 끝으로 엄지 손톱을 두드립니다. 상완이두근이 약간 홱 움직여 보거나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C5 반사 수준을 더 쉽게 기억하기 위해 상완이두근 힘줄을 두드릴 때 보편적인 경멸의 제스처로 다섯 손가락이 올라오는 것을 주목합니다.
감각 테스트
팔의 외측(Axillary Nerve, 액와신경 : 겨드랑 신경)
C5 신경학적 수준은 어깨 정상에서 팔꿈치까지 측면 팔에 감각을 담당합니다. 겨드랑 신경 감각의 가장 순수한 패치는 삼각근의 측면 부분에 있습니다.C5 피부 분절 내의 이 국소감각영역은 겨드랑 신경에 대한 특정 외상과 C5 신경근에 대한 일반적인 외상을 나타내는 데 유용합니다.
[관련글] 경추 추간판 탈출증 : 신경근 수준과 검사방법
[Mov] Spinal Motion Segment: C5-C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