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6 신경근 평가 방법 : 손목 신전군과 상완요골근


C6 신경근 평가 방법

오늘은 C6 신경근 평가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신경학적 수준(neurologic level)에 의한 검사는 경추의 병리학적 영향이 상지에서 자주 나타난다는 사실에 근거합니다. 척수 자체 또는 척수에서 나오는 신경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는 팔과 다리의 근육 약화 또는 이상, 반사 이상 및 감각 감퇴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소견의 분포는 관련된 수준에 따라 달라서 사지에 대한 철저한 신경학적 검사는 신경학적 수준의 관련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것은 또한 경추 또는 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어지는 진단 테스트는 상지의 신경학적 문제와 경추 신경근을 포함하는 병리 사이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경추의 각 신경학적 수준에 대해 운동력, 반사 및 상지의 감각 영역을 검사하여 관련 수준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근육 검사, muscle testing

손목 신전군(wrist extensor group)이나 상완이두근(biceps muscle) 모두 순수한 C6 신경분포(C6 innervation)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손목신전군은 부분적으로 C6에 의해 그리고 부분적으로 C7에 의해 자극됩니다. 상완이두근은 C5 및 C6 신경분포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C6 신경근 평가 방법

신경학적 수준 C6 : 손목신전군

 

손목 신근군, Wrist Extensor Group : C6(요골 신경)

요골측 신전근, Radial extensor

  •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and brevis(장 및 단요측수근신근 : 긴/짧은 노쪽손목폄근), 요골 신경(radial nerve), C6
❒ 장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오른쪽)

• 기시점 : 상완골 외측 과상융선의 아래쪽 1/3, 외측 근육간 중격
• 정지점 : 2nd 중수골 뼈 기저부의 등면

❒ 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오른쪽)

• 기시점 : 상완골 외측상과, 주관절 요측측부인대, 근육사이막(intermuscular septa)의 총신근건(common extensor tendon)에서 유래
• 정지점 : 3rd 중수골의 기저부 등면

 

C6 신경근 평가 방법 : 손목 신전군과 상완요골근 2

신경학적 수준 C6 손목 신전근

 

척골측 신근, Ulnar extensor

  • 척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ulnaris (자쪽손목폄근)
  • C7

❒ 척측수근신근(왼쪽)
• 기시점 : 상완골 외측 상완골과 척골 후연의 총신근건에서 유래
• 정지점 : 5th 중수골 기저부의 내측

손목 신전(폄)을 검사하려면 검사자의 손이 환자의 전완의 아랫 부분과 손목의 손등에 위치한 후 손가락으로 감싸서 안정화 합니다. 그런 다음 환자에게 손목을 펴도록 지시합니다. 손목이 완전히 펴지면 저항하는 손의 손바닥을 손등 위에 놓고 손목을 펴진 위치에서 강제로 폅니다.

 

C6 신경근 평가 방법 : 손목 신전군과 상완요골근 4

손목의 신전 검사

 

정상이라면, 움직일 수 없습니다. 비교 수단으로 반대쪽을 검사합니다. 신전을 위한 대부분의 힘을 공급하는 요골 손목 신전근은 C6에 의해 자극되는 반면, 척측 수근 신전근은 주로 C7에 의해 자극됩니다. C6 신경 분포가 없고 C7이 있는 경우 손목은 신전 중에 척골 방향으로 편위됩니다. 반면 C6이 완전히 보존되고 C7이 없는 척수손상에서는 요골 방향으로 편위가 발생합니다.

 

C6 신경근 평가 방법 : 손목 신전군과 상완요골근 6

C6손상+C7 : 척골 편위, C6 +C7손상 : 요골 편위

 

상완이두근 : C6 (musculocutaneous Nerve, 근피신경)

상완이두근은 C5 신경분포 외에도 C6에 의해 부분적으로 신경분포되며, 팔꿈치의 굽힘으로 근력 검사를 합니다.

 

반사 검사, Reflex Testing

 

상완요골근 반사 (brachioradialis reflex):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은 C6 신경학적 수준을 통해 요골 신경(radial nerve)에 의해 자극됩니다. 반사를 검사하려면 상완이두근 반사(biceps reflex)를 검사할 때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팔을 지지합니다. 반사 망치의 평평한 가장자리를 사용하여 요골의 말단에 있는 상완요골근의 힘줄을 두드립니다. 탭에서 요골방향으로의 작은 반경 반사운동(jerk)이 발생해야 합니다. 반대쪽을 검사하고 결과를 비교합니다. 상완요골근은 C6 신경학적 수준의 무결성을 나타내는 데 선호되는 반사입니다.

 

C6 신경근 평가 방법 : 손목 신전군과 상완요골근 8

상완요골근, C6 반사 검사

 

상완이두근 반사

상완이두근 반사는 C5뿐만 아니라 C6 신경학적 무결성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 신경지배 때문에 신경학적 문제를 나타내기 위해 반대쪽과 비교하여 반사 강도가 약간 약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상완이두근 반사는 주로 C5 반사입니다. 상완이두근 반사를 검사하려면 팔꿈치를 가로지르는 힘줄을 두드립니다.

 

C6 신경근 평가 방법 : 손목 신전군과 상완요골근 10

신경학적 수준 C6 : 측면 팔뜩

 

감각 검사, Sensation Testing

측면 팔뚝 (musculocutaneous Nerve : 근피 신경)

C6은 팔뚝 외측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절반에 감각을 제공합니다. C6 감각 분포를 더 쉽게 기억하려면 중지를 펴면서 엄지와 검지를 함께 모아서 엄지, 검지, 중지로 숫자 6을 만듭니다.

 

신경근병증

C6 신경근병증(C6 radiculopathy)이 있는 환자는 목, 어깨, 측면 팔, 요골 아래팔, 손등, 엄지손가락, 검지, 긴 손가락 끝에 통증을 유발해야 합니다. 통증의 분포는 덜 광범위하고 근위부에 더 많이 분포하는 반면 감각이상은 원위부에 우세합니다. 일부 개인에서는 C6 병변이 이두근 반사의 저하 또는 부재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른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 또는 손목 신근(wrist extensor) 반사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C6 신경근 병변은 상완 신경총 병변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팔꿈치 굴곡이 약해지고, 환자는 팔꿈치를 쭉 뻗은 상태에서 저항에 맞서 팔뚝을 회외시킬 수 없습니다.

 

C6 사지 마비 고려 사항(척추 부상 환자 관리)

C6 기능 수준의 환자는 손목 신근 근육 기능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독립적이 될 수 있습니다. 환자는 독립적인 생활에 참여할 수 있고 침대에서 의자로 독립적인 슬라이딩 보드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바퀴 테두리에 사지마비용 못이 있는 수동 휠체어를 추진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자가 위생 및 식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C6 병변에서는 요골 손목 확장 및 다양한 각도의 삼두근 (C6-8) 기능이 보존됩니다. – 이들 환자의 주요 관심사는 굴근 근육의 반대되지 않는 작용에 대한 팔꿈치의 굴곡 구축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관련글] C5 신경근 평가방법 : 삼각극, 극상근, 상완이두근, 상완근

[Mov] Cervical Spine Nerve Root Examination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 Dr. Nabil Ebraheim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