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는 어떨까요?


노화와 건강

오늘은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에서 다양한 변화까지 어떻게 지금과 달라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들은 나이가 들면서 자신이 겪는 일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궁금해 합니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사람마다 나이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일부 변화는 내부 과정, 즉 노화 자체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나이와 관련한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더라도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때로는 순수한 노화 라고 표현합니다.

나이와 관련한 변화는 충분히 오래 사는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며, 그 보편성은 순수한 노화의 정의의 일부이고, 이러한 변화는 예상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불가피합니다. 예를 들어, 나이가 들수록 눈의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뻣뻣해지며 독서 자료와 같이 가까운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 저하되는 노안이 옵니다. 이렇게 순수한 노화는 사실상 모든 노년층에서 발생합니다.

 

건강한 노화

신체기관의 생리적 감퇴가 없거나 약간만 있는 것

건강한 노화는 노화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연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건강한 노화의 목표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 장애를 피하며, 활동적이고 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려면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노화

여러 생리적 기능의 심각한 가소를 동반하는 것

✓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서는 신체활동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

✓ 노인은 노령과 관계되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만성질환들로 이차적 장애가 생김

✓ 노인재활치료의 대상: 장애가 생긴 노인환자, 노인이 된 장애인

 

노화와 건강 :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

건강한 노화

 

노화 원인에 대한 이론

분자 인자설
대사작용에 생성되는 유리기의 강한 산화력에 의해서 DNA나 단백질 등의 분자들을 비활성화시켜 노화를 일으킨다는 가설

 

세포 인자설
환경의 여러 가지 독소, 방사능 등으로 기관의 비활성화와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가설

 

기관 인자설
나이를 먹으면서 면역체계의 효율성이 떨어져서 면역내성에 파괴가 온다는 가설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 (생리학적 기능저하)

심혈관계 변화

•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가 가장 뚜렷한 기관

• 세포숫자의 감소로 운동성이 저하

• 운동시 피로를 느끼고 계속하면 더 이상 지속할 수 없음

• 순환혈액량의 감소: 기립성저혈압 발생

 

호흡기계의 변화

• 나이가 들면서 늑간근과 복근 등의 약화와 기관지의 반경이 좁아지면서 발생

• 폐와 흉벽의 유순도의 감소 발생 : 폐 조직의 탄성 섬유의 감소와 폐쇄용적의 증가로 발생하며 폐포환기의불균형을 초래함

•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 : 제한된 활동으로 인한 심장상태의 악화 때문에 발생

 

비뇨생식기계의 변화

• 신장부피의 감소와 신장의 혈류,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 발생

• 소변을 농축, 희석하는 능력의 손상

• 나트륨 보존하는 능력의 손상

• 산의 방출능력 감소 발생

• 저나트륨 혈증, 고칼륨 혈증, 탈수 등이 발생하기 쉬움

• 양성전립선비대증 발생: 남자들의 배뇨시 판막처럼 작용하여 요도를 막을 수 있음

• 방광의 용적이 작아져서 소변을 참기가 어려워지고 최대요도 폐쇄압의 감소, 잔뇨량의 증가가 나타남

 

소화기계의 변화

• 연하작용의 이상 발생

• 위장관의 노화로 약의 흡수가 천천히, 불완전하게 일어남

• 장기의 노화로 운동성이 감소하고 대장이 저긴장화되며, 대변이동시간이 길어지고 변의 탈수화가 생겨 변비가 잘 생김

• 간장계의 노화로 간에서의 약물대사작용이 늦어짐

 

신경계의 변화

• 인지기능의 감소 : 논리적추리, 추상적 사고력, 연상적 기억력 등의 감소로 정보처리속도가 느려짐. 이름이나 장소 등을 실제 기억해내지 못하는 건망증이 심해짐. 새로운 것에 대한 학습속도가 느려짐

• 운동활동속도의 감소

• 기립자세, 고유수용 및 보행의 변화

• 운동활동속도의 감소: 중추내 과정이 느려져서 단순반응시간이 느려짐. 집중력이 필요한 일 일수록 노화가 크게 발생함. 손의 작은근육들이 위축되고,  손놀림이 둔해지는 fine motor 감소. 깊은 힘줄반사 감소(DTR). coordination 과 balance감소

• 기립자세, 고유수용 및 보행의변화: 8~19%에서 보행의 어려움 호소, 요양병원의 67%가 보행장애를 보임, 보행 속도는 63세 까지 매년 0.2%씩 감소

• 노인보행의 특징 : 동시 디딤기의 증가, 느린 속도, 짧은걸음, 넓은 지지기반

 

근골격계의 변화

• 근육세포 수의 감소와 근육세포의 단백질함량의 감소로 인해 근육 양이나 근력이 감소

• 60세에서 90세 사이에 20~30%감소를 보임

 

혈액 면역계의 변화

• 노인들의 빈혈은 소화성 궤양이나 장관계의 종양등으로 인한 실혈과 철 결핍 등으로 인한 혈구생산감소에 의해 발생

• 면역력의 감소와 림프구의 감소로 감염이 잘됨

 

내분비계의 변화

• 인슐린 민감도의 감소

• 갑상선 기능저하증 발생

 

온도 조절체계의 변화

• 온도 변화에 대한 민감성의 감소, 비정상적인 자율혈관 운동조절의 감소로 체온조절능력이 저하가 나타나 저체온증과 고체온증이 쉽게 발생함

 

기타변화들

• 시력저하 (황반, 백내장, 녹내장)

• 청력감소: 고주파에서 발생, 대화는 들을 수 있지만,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피부의 변화: 수분의 함량과 탄성 혈류량, 감가그이 예민도가 감소하여 욕창에 걸리 위험률이 높음

 

맺은말

생물학적 수준에서 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분자 및 세포 손상이 축적되어 발생합니다. 이는 신체적, 정신적 능력의 점진적인 감소, 질병의 위험 증가, 궁극적으로는 사망으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변화는 선형적이지도 일관되지도 않으며, 개인의 나이(연령)와 느슨하게 연관되어 있을 뿐입니다.

노년기에 나타나는 다양성은 무작위가 아닙니다. 노화는 생물학적 변화 외에도 은퇴, 보다 적절한 주택으로의 이전, 친구 및 파트너의 죽음과 같은 다른 삶의 전환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노년기의 일반적인 질환으로는 청력 상실, 백내장 및 굴절 이상, 허리 및 목 통증 및 골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당뇨병, 우울증 및 치매 등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동시에 여러 가지 질병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노년기는 일반적으로 노인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여러 가지 복잡한 건강 상태의 출현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종종 여러 가지 근본적인 요인의 결과이며 노쇠, 요실금, 낙상, 섬망 및 욕창을 포함합니다.

뇌졸중 혹은 파킨슨병과 같이 급격한 신체적, 인지적인 문제로 인해 거동이 불편해 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재활병원 혹은 요양병원과 같은 시설에서 회복을 도모하기도 하지만, 금전적인 문제 혹은 사회/환경적인 문제로 시설에서의 생활이 어려운 분들도 있습니다. 혹시 재택에 머물러서 꾸준한 재활 운동을 하고 싶으신 분이라면 방문운동 프로그램을 고려해 보셔도 좋습니니다. 아래에 관련글을 연결해 놓았으니 참조해 보시길 바랍니다.

 

[관련글] 방문재활 치료와 방문재활 운동 차이점

 

[Mov] Visible Aging Changes

 

You may also like...

3 Responses

  1. 2024-02-18

    […] [관련글]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는 어떨까요? […]

  2. 2024-03-27

    […] [관련글]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는 어떨까요? […]

  3. 2024-04-12

    […] [관련글]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는 어떨까요?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