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골 측면 구조와 명칭, Skull : Lateral View


두개골 측면 구조

오늘은 두개골 측면 구조와 명칭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Coronal suture, 관상봉합

두개골의 정면 뼈에서 두 개의 정수리 뼈를 분리하는 밀도있는 섬유성 결합조직 관절입니다.

 

Greater wing of sphenoid

접형골의 큰날개는 접형골의 뼈돌기 입니다. 각 날개는 접형골의 몸체 측면에서 연장되고 위쪽, 측면 및 뒤쪽으로 구부러집니다.

 

Zygomatic process of frontal bone, 전두골의 관골돌기(광대뼈)

관골돌기는 서로 다른 두개골의 뼈들로 연결되어 형성이 되는 세개의 돌기입니다. 세 가지 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두골의 광대뼈 돌기
  • 상악의 광대뼈 돌기
  • 측두골의 광대뼈 돌기

 

Glabella, 미간

보통은 사람의 눈썹과 코 위의 피부 부위를 나타내지만, 해부학적으로는 약간 아래로 눌려져 두 개의 눈썹 융기부를 연결하는 기본뼈를 의미합니다. 비근점(nasion)보다 위에 위치한 두부측정경계점 입니다.

Orbital part of ethmoid, 사골(벌집뼈)의 안와부

사골은 눈 사이에 위치한 전두골(뇌머리뼈, cranial bone)입니다. 완와의 내벽, 비강 및 비중격에 기여합니다. 사골은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 체판(cribriform plate, 수평사골판)
  • 누공덩어리(벌집뼈미로, ethmoidal labyrinth)
  • 수직판(perpendicular plate)

체판(수평사골판)은 비강의 지붕을 형성하고 또한 전두개골의 형성에 기여하며, 사골 미로(벌집뼈미로)는 수직판의 양쪽에 큰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판은 비중격의 상부 2/3를 형성합니다. 눈확판(안와판, orbital plate ) 및 아래코선반(하비갑개, nasal conchae) 사이에는 벌집(사골붕소,ethmoidal sinus ethmoidal air cell) 이 있는데, 이는 사골의 측면 작은 공동이 모여있는 덩어리 입니다.

 

두개골 측면 구조

 

[관련글] 두개골 전면 구조 및 명칭, Skull – Frontal View

 

Nasion, 비근점(미간)

비근점은 전두골의 코부분과 비골을 연결하는 전두비골 봉합(이마코뼈봉합, frontonasal suture)의 가장 앞쪽 지점입니다. 비골과 만나는 코뼈사이봉합과 함께 전두비골 봉합의 교차점에 중간 지점을 표시합니다. 얼굴에서 볼 때, 콧등 보다 위, 눈 사이에 명확하게 낮은 영역입니다. 비근점은 미간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두부측정 경계점 입니다.

 

Nasal bone

코 뼈는 두 개의 작은 직사각형있는 뼈 의 크기와 다른 개인의 형태로 변화; 그들은 얼굴 의 중간과 윗부분에 나란히 배치 되고 그들의 접합 에 의해 코 의 윗쪽 1/3 다리 를 형성합니다. 각 표면에는 두 개의 표면과 네 개의 테두리가 있습니다.

 

Lacrimal bone, 누골(눈물뼈)

눈물뼈는 안면 골격의 작고 부서지기 쉬운 뼈 크기가 작은 손톱 만합니다. 안와의 내벽의 앞 부분에 위치하고 두 개의 표면과 네 개의 테두리를 가집니다. 눈물뼈의 골성 특성은 눈물 과정에서 기능을 합니다.

 

Frontal process of Maxilla, 상악골 전두돌기

상악골의 전두돌기는 상악골로 부터 상방, 내측, 후방으로 융기하는 강한 판으로, 코의 외측 경계의 부분 형성합니다. 측면은 몸체의 전방 표면으로 부터 연속되고 위입술올림근(상순거근, quadratus labii superioris), 안륜근(orbicularis oculi, 눈둘레근), 내측안검인대(palpebral ligament, 안쪽 눈꺼풀인대) 부착점이 됩니다.

 

Anterior nasal spine, 전비극(코가시)

전비극은 두개골의 뼈융기 부위로, 두부측정경계표(cephalometric landmark)로 도움이 됩니다. 전비골은 상악봉합사에서 두 개의 상악골의 융합에 의해 형성된 융기부 입니다. 콧구멍(nostrils)의 수준, 인중(philtrum)의 가장 윗부분에 위치합니다.

 

Maxilla, 상악골(윗턱 뼈)

상악골은 두개의 상악골이 융합되어 형성이 되고, 두부턱의 상부를 고정합니다. 위턱에는 입 앞쪽에 딱딱한 구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두 개의 상악골은 상악 골봉합(intermaxillary suture)에서 융합되어 전비극(anterior nasal spine)을 형성합니다. 하악결합(mandibular symphysis)에서 두 개의 하악골이 융합된 하악골과 ​​유사합니다. 하악은 턱의 움직일 수 있는 부분입니다.

 

Coronoid process, 구상돌기(갈고리돌기)

하악의 구상돌기는 얇고, 삼각형의 융기모양으로, 좌우로 편평해지고 모양과 크기가 다양합니다. 구상돌기의 전연은 볼록하고 전연의 분기와 연속되어 있습니다. 구상돌기의 후방 경계는 오목하고 유돌절흔(mandibular notch 턱뼈패임)의 전방 경계를 형성합니다. 측면은 평활하고, 삽입 측두근(temporalis, 관자근) 과 교근(masseter, 깨물근, 저작근)의 부착점으로 적합합니다.

구상돌기의 내측 표면은 측두근의 부착점을 제공하고, 돌기의 정점 근처에서 시작하여 마지막 대구치의 안쪽으로 아래로 진행하는 융기부를 나타냅니다. 이 융기부와 전방 경계부 사이에는 홈이 있는 삼각형 영역이 있으며, 상부에는 측두근이, 하부에는 협근(buccinator, 볼근)의 섬유 일부가 부착됩니다.

 

Mental Foramen, 이공(턱끝구멍)

이공은 하악의 전방 표면에 위치한 2 개의 천공 중 하나입니다. 하치조신경(inferior alveolar nerve) 및 혈관(mental artery, 이동맥)의 말단 분지가 이동합니다.

 

Mental Protuberance, 이융기(턱끝융기)

하악골 외표면의 결합(symphysis)은 아래로 나뉘어지고 삼각형의 융기인 이융기(정신 돌기, mental protuberance)로 둘러쌓입니다. 이 융기는 그 중심이 내려가지만 이결절(mental tubercle)을 형성하기 위해 양쪽으로 들어올려 집니다. 이 구조를 구성하는 뼈의 크기와 모양은 사람의 턱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Mandible, 하악

하악골, 아래턱 또는 턱뼈는 인간의 얼굴 골격 중 가장 크고, 강력하고 가장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하부 턱을 형성하고 하부 치아를 제자리에 고정시킵니다. 하악은 상악 아래에 위치합니다. 두개골 중에 유일하게 움직일 수있는 뼈로,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에 의해 측두골과 연결됩니다.

뼈는 왼쪽과 오른쪽 하악이 융합되어 태아에 형성되며, 이러한 측면이 만나는 지점인 하악결합(mendibular symphysis)은 여전히 ​​중간선의 희미한 융기 부분으로 보입니다. 신체의 다른 결합(symphyses) 과 마찬가지로, 뼈가 섬유연골 (fibrocartilage) 에 의해 결합되는 중심선 관절 (midline articulation) 이지만,이러한 관절은 어린 시절에 융합됩니다.

 

Styloid process, 경상돌기(붓돌기)

경상돌기는 귀 바로 아래의 가늘고 뾰족한 뼈 조각입니다. 측두골의 아래 표면에서 아래/ 앞으로 돌출하며, 혀 와 후두와 관련된 여러 근육의 기준점 역할을합니다. 경상돌기의 근위 부분 (tympanohyal) 은 측두골의 고막 부분에 의해 둘러싸여 있습니다. 전원부 (stylohyal)는 다음에 첨부 준다 :

  • 경동설인대(stylohyoid ligament)스타일러스 인대
  • 경상하악인대(stylomandibular ligament)
  • 경동설근 (붓혀근, styloglossus muscle : 설하신경(혀밑신경, hypoglossal nerve에 의해 지배)
  • 경동설근 (붓목뿔근, stylohyoid muscle : 안면신경, facial nerve에 의해 지배 )
  • 경돌인두근 (붓인두근, stylopharyngeus : 설인신경, glossopharyngeal nerve에 의해 지배 )

경동설인대는 경상돌기의 끝에서 부터 설골(목뿔뼈, hyoid bone)의 낮은 뿔로 확장이 되며, 때로는 부분적 또는 완전 골화될 수 있습니다.

 

Mastoid process, 유양돌기(꼭지돌기)

유양돌기의 외부 표면은 거칠고 후두와 후이개근(뒤귓발퀴근, posterior auricular muscle)에 부착됩니다. 수많은 구멍으로 천공됩니다. 예를 들어, 유돌공(꼭지구멍, mastoid foramen) 은 후부 경계 근처에 위치하며 정맥을 가로 부비동으로, 후두동맥의 작은 가지를 경막으로 전달합니다. 이 구멍의 위치와 크기는 매우 다양합니다.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때때로 후두골 또는 측두와 후두 사이의 봉합에 위치합니다.

유양돌기는 외이도를 기준으로 후하방, 경상돌기로 부터 외측에 위치하며 ,원뿔 및 피라미드 형태 입니다. 크기와 형태가 다양합니다. (예 : 여성 보다 남성 에서 더 큼 ) 또한 유양붕소(꼭지벌집, mastoid cell)로 가득 합니다. 유양돌기는 흉쇄유돌근(목빗근, sternocleidomastoid), 악이복근(두힘살근, digastric muscle)의 뒤힘살(posterior belly),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두최장근(longissimus capitis)의 부착을 돕습니다. 유양돌기의 중간면에는 깊은 홈인 유돌절흔(꼭지패임, mastoid notch)이 있어 악이복근(두힘살근, digastric muscle)의 부착점이 됩니다. 유돌절흔의 중간 부위는 후두동맥을 수용하는 얕은 고랑인, 후두동맥구(occipital groove)입니다.

유양돌기의 내부 표면은 횡정맥동(가로정맥굴, transverse sinus)의 일부를 수용하는 깊고 만곡된 홈인 S상 고랑(구불고랑, sigmoid sulcus) 를 가지며, 유돌공(꼭지구멍, mastoid foramen)의 개구부에서 볼 수 있습니다.

 

External Auditory meatus

외이도는 중이와 외이를 이어주는 경로입니다. 성인의 외이도는 이개(귓바퀴, pinna)에서 고막(eardrum)까지 뻗어 있으며 길이는 약 2.5 Cm, 지름은 0.7 Cm, 입니다.

사람의 이도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탄성 연골 부분은 외이도의 외부 1/3을 형성하고,전방 및 하부벽은 연골성이고 그 상부 및 후방벽은 섬유질 입니다. 연골은 이개(귓바퀴)의 연골 골격의 연속입니다. 외이도의 연골부는 잔털과 특화된 땀샘을 가지는데, 이 땀샘은 아포크린선(apocrine glands) 이라 불리고, 귀지(cerumen)를 만듭니다. 뼈 부분은 안쪽 2/3를 형성합니다.

 

Zaygomatic Bone

인간의 두개골에서, 광대뼈 (관골 또는 어금니뼈)는 상악, 측두골, 접형골 및 전두골과 연결되는 불규칙한 한 쌍의 뼈로 구성됩니다. 광대뼈는 얼굴의 상단과 측면에 위치하고 뺨의 돌출, 안와의 측면벽과 바닥의 부분, 측두와와 측두하와의 일부를 형성합니다. 뺨과 관자놀이 면, 네개의 돌기(전두-접형골, 안와, 상악, 측두)와 네 개의 경계를 가집니다.

 

Spamous part of Temporal bone, 측두골의 편평부

측두골의 편평부(squama)는 측두골의 전상부를 형성합니다.

 

Occipital bone, 후두골(뒷머리뼈)

후두골은 후두부(occiput, 뒷면의 하부 두개골)의 메인 피부 골격입니다. 후두골은 사다리꼴 모양이며, 얕은 접시처럼 자체로 구부러져 있습니다. 후두골은 뇌의 후두엽 위에 있습니다. 후두골에 상기 두개골의 기저부가 있으며, 척수가 지나가는 대후두공(큰구멍, foramen magnum)이라는 커다란 구멍이 있습니다.

다른 두개골 뼈와 마찬가지로 평평한 뼈로 분류됩니다. 많은 부착물과 특징으로 인해, 후두골은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됩니다. 앞쪽에서 뒤쪽으로 기후두골(Basioccipital)이라고도 불리는 기저 부분이 있으며, 대후두공의 측면에는 외후두골(exoccipitals)이라 불리는 후두골의 측면 부분이 있으며, 뒤쪽은 편평 부분으로 불립니다.

후두골의 기저부는 대후두공 앞쪽으로 두껍고 다소 사변형이며 인두 쪽으로 향해 있습니다. 편평 부분은 대후두공 뒤로 구부러져서 확장판을 형성하며, 후두골의 가장 큰 부분이 됩니다.

 

Lambdoid suture, 람다봉합(시옷봉합, 삼각봉합)

람다 봉합은 두개골의 후방측면에 있는고밀도 섬유성 결합조직 관절로, 두정골(마루뼈, parietal bone)과 후두골(뒷머리뼈, occipital bone) 두개골을 연결합니다. 람다봉합은 후두유돌봉합(occipitomastoid suture, 뒤통수 꼭지봉합)과 연속적 입니다.

태어날 때는 두개골 뼈가 서로 만나지 않습니다. 두개골의 특정 뼈가 너무 빨리 자라면 두개골 조기유합증(craniosynostosis)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두개골 기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람다 봉합이 한 쪽에서 너무 빨리 닫히면 두개골은 사두증(plagiocephaly) 이라 불리는, 두개골이 비틀리고 비대칭으로 나타납니다. 사두증(Plagiocephaly)은 질환이 아니라 모양을 나타내며, 두개골 조기유합증(craniosynostosis) 질환 입니다.

 

Parietal bone, 두정골(마루뼈)

두정골은 두 개의 뼈로 구성되고, 섬유 관절로 두개골의 상부와 측면을 형성합니다. 형태는 대략 사각형이며, 두 개의 표면, 네 테두리, 4개의 각을 갖습니다.

Superior and inferior Temporal lines, 관자선, 측두선, 두정골하측두선
두정골의 측면에서 아치형 방향으로 뼈의 중앙을 가로 지르는 두 개의 곡선, 즉 상/하 두정골하측두선이 있습니다. 윗 선은 측두근 근막(temporal fascia)이 붙고, 아래 선은 측두근의 기시점의 상한을 나타냅니다.

이 선들 위의 뼈에는 섬유질 조직의 거친 층인 모상건막(epicranial aponeurosis, 머리건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선 아래에서 측두와(temporal fossa, 관자우묵)의 일부를 형성하고 측두근이 부착됩니다.

관자놀이점

 

Pterion, 관자놀이점

관자놀이점은 측두와 뒤로 약 2.6 cm, 이마광대봉합(frontozygomatic suture)의 후외측연 위로 1.3 cm에 위치합니다. 아래와 같은 네 뼈 사이의 교차점입니다.

  • parietal bone, 두정골(마루뼈)
  • squamous part of temporal bone, 측두골의 편평 부분
  • greater wing of sphenoid bone, 접형골(나비뼈)의 큰 날개
  • frontal bone, 전두골

이 뼈는 일반적으로 5 개의 두개골 봉합으로 연결됩니다.

  • sphenoparietal suture, 접형두정 봉합(나비마루봉합) : 접형골과 두정골을 연결
  • coronal suture, 관상 봉합 : 접형골과 두정골에 전두골을 연결
  • squamous suture, 인상 봉합(비늘 봉합) : 접형골과 두정골에 측두골을 연결
  • sphenofrontal suture, 접형전두 봉합 : 접형골에 전두골(이마뼈, frontal bone)를 연결
  • sphenosquamosal suture, 나비비늘 봉합 : 접형괄에 측두골을 연결

 

 

두개골 측면 구조와 명칭_테스트용

 

 

두개골 측면 구조와 명칭

테스트용 그림입니다.

 

머리곳에 넣어두고

암기할 때 활용해 보세요~!

 

[Mov] Human skull – exploded skull with bones labelled, based on CT scanning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