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병 원인과 증상 : 신경섬유의 수초 파괴
알렉산더병이란?
신경섬유의 수초
오늘은 유전자 결함으로 생기는 알렉산더병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알렉산더병(Alexander Disease)은 매우 드문 신경계 장애입니다. 일반적으로 신경 섬유(nerve fiber)는 수초(미엘린, myelin)이라는 지방층으로 덮여 있습니다. 수초는 신경 섬유를 보호하고 자극을 전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알렉산더병에서는 이 수초가 파괴됩니다. 이것은 신경 자극의 전달이 중단되고 신경계 기능이 손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뇌와 척수를 지지하는 특수 세포의 비정상적인 단백질 침착물은 알렉산더병 환자에게서도 발견됩니다.
알렉산더병은 탈수초 백질이영양증 계열의 희귀 유전 질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2,700,000명 중 1명으로 추산됩니다. 이 신경 질환은 유아기에 가장 흔히 진단되지만 청소년 및 성인 형태도 존재합니다. 증상으로는 정신지체, 간질, 근육 경직 등이 있으며, 증상이 진행되면 환자가 사망하게 됩니다. 백질의 변성과 로젠탈 섬유의 형성이 특징입니다.
알렉산더병 증상
알렉산더병의 증상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발병 연령에 크게 좌우됩니다. 증상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경련
- 학습 장애
- 수유 문제
- 확대된 머리 크기
- 수두증 (뇌의 체액)
- 확대된 뇌
- 지연된 개발
- 발작
- 번성하지 못함
- 이동 장애
- 언어 문제
- 정신 퇴행
- 삼키기 어려움
- 기침을 할 수 없음
- 수면 장애
증상의 중증도도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발병이 빠를수록 증상이 더 심하고 상태가 더 빨리 진행됩니다.
알렉산더병은 치명적이라, 이 질환이 있는 많은 영아는 생후 1년이 지나도록 생존하지 못합니다. 4세에서 10세 사이에 질병이 발병하는 어린이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진단 후 몇 년 동안 살 수 있으며 일부는 중년까지 살 수 있습니다.
알렉산더병 원인
신경교섬유질산성단백질
미국의 유전 및 희귀질병정보센터에 따르면 알렉산더병은 약 90% 의 경우에서 신경교섬유질산성단백질(GFAP,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유전자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유전자는 신경교섬유질산산성단백질(GFAP)의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들 섬유질 단백질은 중추신경계의 성상교세포에서 중간 섬유(intermediate filament)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됩니다.
성상세포는 별 모양의 뇌 세포로 광선을 가진 별처럼 보입니다. 이 광선은 세포의 팔과 같습니다. 이러한 확장은 주변 환경에 있는 다른 많은 세포, 즉 백질과 정보를 교환해야 하는 세포의 기능에 필요합니다. 세포골격은 세포의 골격입니다. 이것이 세포에 특정한 모양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중간 섬유는 세포 골격의 구성 요소로 세포의 구조를 유지합니다. 유형 III 중간 섬유는 성상교세포와 기타 신경교 세포에서 GFAP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나노필라멘트는 자발적으로 조립되며 샤페론 단백질이나 에너지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GFAP 돌연변이가 우성인데, 이는 유전자의 단 하나의 돌연변이 사본만이 질병을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돌연변이는 산발적입니다. 즉, 부모로부터 유전되지 않고 알 수 없는 이유로 발생합니다. 이미 100개 이상의 병원성 변종이 확인되었습니다.
신경교섬유질산성단백질(GFAP) 유전자는 세포 구조의 발달에 관여하지만 건강과 질병 내에서 신경교섬유질산성단백질(GFAP)의 특정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소수의 다른 사례에서 알렉산더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유전자 결함은 유전적인 것으로 보이지 않고, 무작위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가족성 알렉산더병의 일부 사례가 보고되었지만, 이것은 성인 형태에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미국의 국립 보건원에 따르면 1949년 이후 알렉산더병에 걸린 사례는 약 500건에 불과합니다.
알렉산더병 진단
의사는 종종 제시된 증상에 근거하여 알렉산더병을 의심하는데, 그런 후 유전자 검사를 위해 혈액 샘플을 채취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혈액 검사는 일반적으로 의사가 진단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전부입니다.
알렉산더병 치료 옵션
현재 알렉산더병에 대한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만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에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보호자는 지원적으로 질병을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 전반적인 케어
- 작업 및 물리 치료
- 영양 요구
- 언어 치료
- 발병된 모든 감염에 대한 항생제
- 발작 조절을 위한 항간질제
수두증은 수술로 부분적으로 완화될 수 있는데, 수술 방법은 션트(shunt)를 삽입하여 뇌의 일부 액체를 배출하고 뇌의 압력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알렉산더병의 발병 연령대
어린이의 알렉산더병
이 장애는 2세 이전의 유아기에 가장 흔히 발견됩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발작
- 팔과 다리의 뻣뻣함
- 확대된 뇌와 머리 크기
- 학습 장애
- 발달 지연
덜 흔하지만, 이 질병은 어린 시절 나중에 발병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더 많은 어린이는 이 질환이 있는 성인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성인의 알렉산더병
나이가 많은 어린이와 성인에서 발병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협응 불량 (운동실조, ataxia)
- 삼키는 어려움
- 언어 문제
- 발작
일반적으로 알렉산더병은 성인기에 발병하면 덜 심각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머리 크기와 정신 능력이 완전히 정상일 수 있지만, 때때로 정신적 쇠퇴가 느려집니다.
노인(65세 이상)의 알렉산더병
알렉산더병이 말년에 발병하는 것은 극히 드뭅니다. 그렇다면 증상은 종종 다발성 경화증이나 뇌종양으로 오인됩니다. 질병의 중증도는 이러한 경우에 매우 경미하여 부검에서 뇌에 비정상적인 단백질 침착이 드러날 때 사후 알렉산더병으로 진단됩니다.
알렉산더병의 전망
알렉산더병 환자에 대한 전망은 일반적으로 매우 좋지 않습니다. 전망은 주로 발병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 2세 이전에 질병이 발병하는 영아는 일반적으로 6세 이후에는 생존하지 못합니다. 더 나이가 많은 어린이와 성인의 경우 질병은 일반적으로 더 느린 경과를 보이며 증상이 그렇게 심각하지 않습니다. 일부 성인의 경우에는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Mov] Alexander Disease Symptoms and Causes – Diagnosis – Treatment –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