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약 독성물질 피해야할 성분
치약의 성분
오늘은 놀랍게도 우리가 매일 사용하고 있는 치약 독성물질이 있나요? 우리는 일반적으로 하루에 두 번 이상 양치질을 하고 치약을 머금었다가 내뱉습니다. 보통 우리는 이렇게 일상과 밀접한 치약은 입에 담고 있다가 내뱉기 때문에 치약에 다소 나쁜 성분이 있다고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입에 담고 있다가 뱉는 성분이라도 우리 몸에 영향을 주기 마련입니다. 물론 이런 나쁜 성분 때문에 양치질을 포기하라고 하지 않습니다. 치과 위생은 중요하며 전반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튜브에 치약 독소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치약 독성물질 피하기
입에 잠시 담고 있다가 뱉게 되는 치약 중에 나쁜 성분에 대해서 왜 주의를 해야 할까요? 우리의 입은 신체에서 가장 흡수성 있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일부 약물은 혀 아래에 넣어서 투여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치약을 뱉어도 최소한 일부 성분이 혈류에 흡수됩니다. 그러다면 일반적으로 치약에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치약에 들어 있는 성분은 무엇?
우리 모두가 익숙한 치약에 사용되는 몇 가지 다른 성분 그룹이 있습니다.
- 연마재
- 습윤제 및 결합제
- 세제
- 맛
- 방부제
- 채색
- 치료제(불화물과 같은)
피해야 하는 치약 독성물질
인공색소, Artificial colours
치약에는 합성 색소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일부 합성 색소의 경우 타르에서 추출된 것도 있으면, 독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치약을 예쁘게 보이게 하는 용도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공 향료, Artificial flavours
일반적으로 독성이 없지만 그다지 유익하지도 않습니다. 에센셜오일에는 항균 또는 항진균제와 같은 다른 이점이 있지만 인공향료는 실제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가능하다면 없는 것이 좋습니다.
인공 감미료, Artificial sweeteners
나트륨 사카린과 아스파탐이 해당됩니다. 비록 치약에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을 추가하는 것 보다는 낫지만, 치약을 삼킬경우 어떤 분들에게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미료에 대한 더 나은 선택은 실제 치아에 좋은 자일리톨과 스테이아 입니다.
카라기난, Carrageenan
암석을 따라 자라는 붉은 빛을 띄는 홍조류에서 추출한 카라기난은 섭취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치약을 삼키지 않기 때문에 성인 치약에는 문제가 없지만, 많은 어린이들이 치약을 뱉을 수 없거나 내뱉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 치약에서는 이 성분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디에탄올아민, Diethanolamine (DEA)
DEA는 pH 조절제이며 EU에서는 금지되어 있지만 호주의 일부 치약에서는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DEA 성분은 많은 문제를 가집니다.
- 우선, 발암 물질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피부 자극제; 유해한 불순물 (니트로사민)을 포함 할 수 있습니다.
- 천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DEA와 관련한 연구에서 내분비 교란과 신경 발달, 뇌 및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지니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소, Fluoride
치약에 불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찬반 논란이 많습니다. 치과 의사는 권장하지만 물이 불소화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치약에서 불소 포함 제품은 사용하지 않기로 할 수 있습니다. 치약을 여전히 삼키는 6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불소가 없는 치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좋은 천연 비불소 치약을 찾기는 쉽지만 불소가 함유된 자연 치약을 찾기가 더 어렵습니다.
마이크로비드, Microbeads
불쾌한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도 일부 치약에서 연마제로 발견됩니다.
파라벤, Parabens
치약에 들어 있는 파라벤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라벤은 방부제용으로 사용되며, 박테리아를 막기 위해 치약에 방부제가 필요하지만 더 좋은 방부제가 있습니다. 파라벤은 호르몬 분열과 발암 가능성이 있으며 뇌 신경계 영향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은 치약을 촉촉하게 유지하여 튜브에서 쉽게 짜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러나 피부, 눈 및 폐에 자극을 주는 자극제이며 침투 촉진제입니다. 즉, 다른 화학 물질이 피부에 더 쉽게 침투하도록 도와줍니다. 치약에 독성 성분이 들어있는 경우라면 그리 좋지 않습니다.
나트륨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 Sodium lauroyl sarcosinate
나트륨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는 침투 증강제이며, 니트로사민 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이 성분은 EWG에서 3 점을 얻으므로 큰 걱정거리는 아니지만 특히 치약에 다른 성분이 많지 않은 경우 조심해야 합니다.
나트륨 라우레스 설페이트, Sodium Laureth Sulphate (SLES)
SLES는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입니다. 치아의 먼지를 제거하는 세제 역할을합니다. 피부 자극 및 침투 향상제이며 에틸렌 옥사이드와 1, 4 디옥산으로 오염 될 수 있습니다.
라우릴 황산나트륨, Sodium lauryl sulphate (SLS)
SLS는 또한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입니다. 피부 자극이 있지만 EWG(1-2)에서 점수가 낮으므로 독성이 없습니다. 사용자에 따라 이 성분은 독성으로 느껴질 수 있는데, 치약이 피부에 자극적이라면 SLS가 없는 제품으로 사용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산화 티탄 나노입자,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이산화 티타늄은 치약을 더 하얗게 보이게하는데 사용됩니다. 티타늄 나노입자, 특히 첨가제 E171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너무 작아서 잇몸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나노가 아닌 것은 괜찮고 나노는 좋지 않습니다. 재료에 CI 77891로 표시되어있을 수도 있습니다.
트리클로산, Triclosan
틀리클로산은 항균제 및 방부제입니다. 내분비 장애, 면역계 독성물질이며 피부 자극제입니다. EWG에서 7 점을 얻었으므로 트리클로산이 포함된 치약을 사용하고 있다면 다른 제품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독성이 없는 치약 성분
다음은 무서운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재료입니다.
활성탄, Activated charcoal
연마제이며 치아의 표면 얼룩을 제거하는데 도움이됩니다.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Hydroxyapatite
무기 형태의 칼슘 아파타이트로서 뼈, 치아 및 타액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생체 적합성 물질입니다. 치아를 재광화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치약에 함유되어 있는 것이 좋습니다. 불소보다 치아를 더 잘 재광 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몇 가지 연구가 있습니다.
질산칼륨, Potassium nitrate
치아 감수성에 사용되며 민감한 치아에 가장 안전한 활성성분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어린이에게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이산화티타늄, Titanium dioxide
비나노 형태의 이산화 티타늄은 무해하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일리톨, Xylitol
감미료로 충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양치질은 치아 건강을 위해서 꼭 해야 하지만, 우리 몸에 해가 될 수 있는 독성 성분이 든 치약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훌륭한 천연 치약이 많이 있으며, 불소를 사용하고 싶다면 불소가 함유된 좋은 천연 치약을 찾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치약의 성분을 한번 살펴봤습니다. 직접적으로 보이는 성분은 라우릴황산나트륨이 보입니다. 각 성분에 따른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품 보실때 참조해 보셔요.
- 라우릴황산나트륨, Sodium lauryl sulphate (SLS) : 계면활성제, 치약의 하얀 거품
-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Sorbitan monooleate : 계면활성제, 유화제, 색별방지제
- 비결정성소르비톨액 70% , sorbitol amorphous : 감미제, 풍미제, 습윤제, 착향제
- 사카린나트륨 수화물 : 단맛을 내는 식품첨가물
- 산성피로인산나트륨, DISODIUM PYROPHOSPHATE : ph 조절제/완충제, 충치예방
- 아세트산아연, zinc acetate : 수렴제
- 자일리톨, Xylitol : 감미료
- 정제수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 방부/ 세척
- 함수규산(TIXOSIL 43K) : 치약의 제형을 구성
- 향료
유효성분
- 일불소인산타트륨, sodium monofluorophosphate : 치아 겉면에 불소 형성
- 탄산칼슘, calcium carbonate : 치약의 연마제
[관련글] 붕사 위험성 : borax, 슬라임에 들어가요~!
[Mov] Natural Solution for Plaque, Cavities, and Gingiv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