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질환 원인과 증상 : 흉통, 숨가쁨, 심장마비


관상동맥질환 이란?

오늘은 관상동맥질환 원인과 증상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상동맥질환(CAD, Coronary Artery Disease)은 관상동맥 심장질환이라고도 하며 가장 흔한 유형의 심장 질환입니다.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의 동맥이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자체적으로 운반할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동맥이 손상되거나 병에 걸리거나 막혀서 혈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흔한 관상동맥질환 원인은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이라고 하는 이러한 혈관의 손상 및 플라크 축적입니다. 동맥이 좁아지면 혈액이 흐를 공간이 적어지는데, 이것은 혈류를 감소시키고 신체가 필요한 혈액을 심장에 공급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혈류 부족은 흉통, 숨가쁨 및 기타 심장 질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플라크는 일반적으로 수년에 걸쳐 축적됩니다. 어떤 분들에게는 관상동맥질환의 첫 징후가 심장마비일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심장병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관상동맥질환이 가장 흔한 유형의 심장병입니다. 심장병은 심혈관 질환의 한 유형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입니다.

관상동맥질환의 다양한 원인을 이해하면 나중에 발병할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의사가 조기에 관상동맥질환으로 진단하면 생활 방식을 변경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을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 원인

관상동맥질환 : 동맥혈관의 플라크

 

관상동맥질환 원인

동맥이 막히고 경화되는 죽상동맥경화증은 관상동맥질환(CAD)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건강한 관상동맥은 혈액이 쉽게 흐를 수 있는 매끄러운 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맥 벽이 손상되면 플라크가 동맥 내강 내부의 틈새에 갇히게 됩니다. 플라크 침전물은 지방, 콜레스테롤, 염증 세포 및 칼슘으로 구성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벽의 플라크가 굳어지고 혈류가 제한됩니다. 이 과정을 죽상동맥경화증 이라고 합니다.

단백질 및 세포 노폐물과 같이 동맥을 통해 이동하는 다른 물질도 플라크에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플라크가 쌓인 것이 눈에 띄게 되려면 일반적으로 몇 년이 걸립니다. 종종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정도로 심해질 때까지 플라그가 쌓였다는 것을 알지 못할 것입니다. 플라크가 쌓이면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흉통 또는 불편감( 협심증 )
  •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받지 못하는 심각한 막힘
  • 약한 심장 근육
  • 심장 마비

죽상동맥경화증은 불안정하고 소용돌이치는 혈류와 함께 난기류가 있는 동맥 영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고혈압, 감염 및 화학 물질과 같은 다른 요인이 동맥 벽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약간의 축적은 노화의 결과이지만, 다른 요인들이 죽상동맥경화증 발생률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흡연
  • 혈액 내 높은 수준의 지방( 트리글리세리드 등)
  • 혈액 내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 진성 당뇨병
  • 고혈압

 

혈류를 제한하는 기타 원인

심장으로 가는 혈류를 제한할 수 있는 관상동맥 손상 또는 막힘의 드문 원인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죽상동맥경화증과 관련된 이러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색전증, embolism (혈관 하류를 막을 수 있는 혈전 조각)
  • 동맥류, aneurysm ( 혈관 의 비정상적으로 확장된 부분)
  • 동맥 혈관염, artery vasculitis (동맥의 염증)
  • 자발적 관상동맥절개, spontaneous coronary artery dissection

때때로 플라크가 터져 열리면서 혈전을 형성하는 혈액 세포가 플라크 주위의 동맥으로 돌진합니다. 그러면 혈전이 생기고 내강이 더 좁아집니다. 이 혈전은 심장으로 가는 동맥혈의 흐름을 차단할 만큼 충분히 커져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장 마비가 발생하면 막힌 관상 동맥의 하류 영역 내에서 심장 근육이 죽기 시작합니다.

 

[Mov] What is Coronary Artery Disease – Mechanism of Disease

 

관상동맥질환에 걸릴 위험이 있는 사람

죽상동맥경화증의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 인자와 동일합니다. 위험을 증가시키는 다른 일반적인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령 (위험이 높은 65세 이상의 사람들)
  • 성별 (70세 까지 남성이 여성보다 위험이 더 높음)
  • 질병의 가족력
  • 과체중
  • 비만
  • 통제되지 않는 진성 당뇨병 (특히 2형 뿐만 아니라 1형)
  • 신체 활동 부족
  • 흡연
  • 지속적인 스트레스
  • 과도한 음주

여성은 폐경기까지 높은 수준의 에스트로겐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남성은 여성보다 관상동맥질환(CAD)을 더 일찍 발병합니다. 그러나 75세 이상의 사람들 중 여성은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남성과 같거나 더 높습니다. 열악한 식단, 특히 지방이 많고 비타민(C, D, E 등)이 적은 식단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높은 수준의 C-반응성 단백질(CRP, C-reactive protein)은 또한 플라크 불안정성과 염증의 증거일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지만 의학 전문 서적 머크 매뉴얼(Merck Manual)에 따르면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허혈 문제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관상 동맥 질환 진단 방법

관상동맥질환과 죽상동맥경화증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의사는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 검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테스트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합니다.
  • 심초음파(echocardiogram)는 심장의 초음파 사진 찍습니다.
  •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는 심장이 일하는 동안 심장의 반응을 측정합니다.
  • 흉부 엑스레이(chest X-ray)는 심장, 폐 및 기타 흉부 구조의 방사선 사진을 찍습니다.
  • 좌심장 카테터 삽입 혈관조영상(catheterization with angiogram)은 막힌 동맥을 확인합니다.
  • 심장 CT 스캔, 관상 동맥의 석회화를 찾습니다.

 

관상 동맥 질환 예방을 위한 팁

관상동맥질환(CAD) 및 합병증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많은 생활 방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단을 섭취하고 염분 섭취를 줄이는 것이 관상동맥질환(CAD)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다른 예방 수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체중인 경우, 체중 감량
  • 신체 활동 증가
  • 고혈압 조절
  • 당뇨병 조절
  • 높은 콜레스테롤 조절

흡연을 하는 경우 담배를 끊으면 관상동맥질환(CAD) 발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미 심각한 폐색이 있는 경우 수술 절차를 통해 심장으로 가는 혈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약물

생활 방식의 변화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의사는 아스피린이나 기타 심장약과 같은 매일의 예방약을 처방하거나 권장할 수 있습니다. 아스피린은 혈소판 혈구가 뭉치는 것을 막고 플라크에 기여함으로써 관상동맥질환(CAD)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복용하는 약물의 유형은 위험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혈액이 너무 쉽게 응고되어 위험한 혈전이 생기는 경우 와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혈류에 트리글리세리드 수치 가 너무 높으면 갬피브로질(gemfibrozil_Lopid)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혈류의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너무 높으면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_Crestor)과 같은 스타틴(statin) 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 치료의 목표는 혈류를 개선하고, 관상 동맥에 플라크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며, 심장이 혈액을 펌프질 하기 쉽게 만드는 것입니다.

 

[관련글] 스텐트 시술 왜 할까요? Stent

 

 

You may also like...

2 Responses

  1. 2024-02-10

    […] [관련글] 관상동맥질환 원인과 증상 : 흉통, 숨가쁨, 심장마비 […]

  2. 2024-04-14

    […] [관련글] 관상동맥질환 원인과 증상 : 흉통, 숨가쁨, 심장마비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