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기능 : 지각 perception
지각 이란?
오늘은 뇌의 기능 중 지각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의 기능 중 지각 (perception)은 우리의 감각을 통해 받은 세상에 대한 정보를 뇌가 수집하고 해석하는 과정입니다. 그러나 지각은 눈과 귀에서 뇌로 정보를 수동적으로 전달하는 것 그 이상입니다. 대신, 뇌는 감각 기관에서 전송된 정보를 해석하고 세상에 대한 인식을 적극적으로 생성합니다. 주변 세계를 쉽게 보고 들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은 실제로 매우 복잡합니다.
뇌가 환경으로부터 오는 감각정보를 해석하고 인식하는 과정으로 지각은 우반구의 두번째 겉질부분의 기능 (시각영역, 몸감각, 청각영역, 다양한 형식의 마루 뒤통수관자엽영역을 포함)입니다. 지각 결손은 우측반구 손상이지만 드물게 좌측반구 손상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의 기능 : 신체도식장애, Body scheme disorder
: 신체의 전체나 한 부분에서 신체 분절의 위치나 상관관계를 모르는 것
➀ 신체인식장애, somatognosia
• 정의 : 신체구조의 인식의 결핍
• 평가 : 지시에 따라 신체부분 지적하기
Drowing A Person
➁ 신체편측무시 unilateral body neglect
• 정의: 신체의 한쪽 부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통합하지 못하는 것
= Visual inattention, visual neglect, unilateral neglect
: 다른 특별한 감각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손상을 입은 대뇌 반대쪽의 공간적 환경 및 신체에 대한 제대로 인식을 하지 못하는 상태
* Rt. hemisphere에 손상을 입은 경우 좀 더 심하게 나타남
* visual field 결손과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음
• 평가 : Drowing A Person, line bisection, Albort test, cancellation test, copying test, behavior test
<Copying test>
<Drowing A Person >
<Albort test>
<Line bisection>
<Cancellation test>
치료
visual scanning training, eye patching, prism adaptation, trunk rotation, feedback training 등
➂ 질병 불각증, anosognosia
정의: 비교적 일시적인 증상으로, 자신으 신체가 마비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지못하는 것
➃ 좌-우 구별 장애 right-left discrimination disorder
정의: 왼쪽 신체부위와 오른쪽 신체부위를 선택하여 구분하지 못하는 것
➄ 손가락 실인증, finger agnosia
정의: 손가락 사용하기를 주저하거나 의심스러워하는 증상
(양족 손 모두 증상을 보이며, 가운데 세 개의 손가락에 더 많이 나타남)
공간 관계 : Spatial Relation
• 정의
사람의 신체의 공간적 정리, 물체와 자신과의 관계, 공간에서 물체 사이의 관계
➀ form discrimination
• 정의 : 형태의 서로 다은 유형을 구별하는 능력
ex) 틀린그림찾기 – 형태상 구분하기 어려운 다양함에 주의하는 능력의 부족
➁ figure ground
• 정의 : 배경으로부터 전경을 구분하는 능력
ex) 예시로 놓은 첫번째 그림 – 젋은 여성 VS 노인 / 두번째 그림: 두명의 얼굴 옆모습 VS 탁자, 흰색 시트위에 놓인 흰색셔츠 찾기,
➂ form constancy
• 정의 : 형태와 물체를 다양한 환경, 자세, 크기에서 똑같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
ex) 예시로 놓은 첫번째 그림에서 왼쪽그림과 같은 도형은?, 책상위에 연필꽂이에서 다양한 크기와 여러 위치에 있는 모든 연필을 지각
➃ position in space
• 정의: 다른 형태나 물체와의 공간관계를 결정
ex) 컴퓨터 위의 붓이나 뒤에 있는 바구니의 방향을 아는 것
➄ visual closure
• 정의: 불완전하게 제시된 물체 또는 형태를 확인하는 것
➅ 깊이 지각, depth perception
• 정의: 거리를 인식하고 지표면 변화를 인식하는 것
➆ 지리적 지남력, topographic orientation
• 정의 : 물체의 장소와 그 장소까지의 환경과 경로를 인식하는 것
시각 기억, Visual memory
• 정의 : 매우 잠깐의 시간 간격을 두고 인지하는 능력
실행증, Apraxia
• 정의
motor, sensory, cognition은 이상이 없지만 motor planning에 이상이 있는 것
*apraxia는 흔히 aphasia를 동반하는데 반해, aphasia는 apraxia를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➀ 관념실행증, ideational apraxia
• 정의 : 운동행위를 실행하는데에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운동행위를 하기위한 개념들의 붕괴로 나오는 증상(cocnceptual system disorder)
➁ 관념운동실행증, ideomotor apraxia
• 정의 : 지시된 운동과제를 수행하거나 행위를 모방할 능력이 결여(program system disorder)
➂ 사지운동실행증, limb-kinetic apraxia
• 정의 : timing disorder
➃ 구강실행증, oral apraxia
• 정의 : 근육조직에 아무런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알아들을 수 있는 단어를 말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증상
➄ 착의실행증, dressing apraxia
• 정의 : Body scheme, spatial relation의 장애로 인해 혼자의 힘으로 옷을 입을 수 없는 것
➅ 구성실행증, constructional apraxia
• 정의 :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디자인하지 못하는 증상
apraxia 치료방법으로는 image training이 있고 dressing apraxia에는 옷입기 패턴을 가르치며 왼쪽/오른쪽/앞/뒤를 구분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며 늘 같은 방법으로 옷을 놓는다 (단추가 있는 옷의 앞부분을 항상 위로 가도록 놓아둠)
실인증, Agonosia
• 정의: visual, tactile, sensory의 recognition증상
➀ 시각실인증, visual agnosia
<색실인증, color agnosia>
<변시증, metamorphopsia>
<안면인식장애, prosopagnosia>
참고문헌
☒ Heidi McHugh Pendleton, <PEDRETTI작업치료학> p. 646~656참고
☒ 원영식, <신경계 작업치료학과 일상생활동작> P, 201~214참고
[Mov] Perception – Organisational behavi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