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 주기 중 황체기 기간: 임신을 위한 준비


생리주기 : 황체기

오늘은 생리 주기 중 임신 준비를 담당하고 있고, 다양한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는 황체기 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생리 주기는 4단계로 구성됩니다. 각 단계는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 월경(Menstruation)은 생리가 있을 때입니다. 이것은 임신이 안된 이전 주기에서 신체에서 자궁 내막(uterine lining)을 떨어뜨립니다.

• 처음 며칠 동안 월경과 겹치는 난포기(follicular phase)는 난포(follicle)가 자라는 시기입니다. 하나의 난포는 일반적으로 나머지 난포보다 커져 성숙한 난자(mature egg)를 방출합니다. 이것은 난포기(follicular phase)의 끝을 나타냅니다.

• 배란(Ovulation)은 성숙한 난자(mature egg)가 방출되는 때입니다.

• 난자가 나팔관(fallopian tube)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황체기(luteal phase)가 시작됩니다. 이 단계는 다음 생리가 시작되면 종료됩니다.

황체기(luteal phase)는 임신을 위해 우리 몸을 준비시키는 몇 가지 중요한 사건을 포함합니다. 이 단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이 단계가 정상보다 길거나 짧을 경우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황체기 기간

 

[관련글] 생리 주기의 4단계 : 생리기-난포기-배란기-황체기

 

황체기 호르몬 변화

황체기(luteal phase)는 생리 주기의 후반부입니다. 배란 후에 시작하여 생리 첫날에 끝납니다. 난포(follicle)가 난자(egg)를 방출하면 난자는 나팔관(fallopian tube)을 따라 이동하여 정자와 접촉하여 수정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난포 자체가 변화합니다. 빈 주머니가 닫히고 노란색으로 변하며 황체(corpus luteum)라고 하는 새로운 구조로 변합니다.

프로게스테론

황체는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과 일부 에스트로겐(estrogen)을 방출합니다. 프로게스테론은 수정란이 착상될 수 있도록 자궁 내막을 두껍게 합니다. 혈관은 내막의 안에서 자랍니다. 이 혈관은 발달 중인 배아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임신을 하면 우리 몸에서도 인간생식샘 자극호르몬(hCG : human gonadotropin)이 생성되기 시작합니다. 이 호르몬은 황체(corpus luteum)를 유지합니다. 인간생식샘 자극호르몬(hCG)은 황체가 임신 10주차까지 계속 프로게스테론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런 다음 태반(placenta)이 프로게스테론 생산을 대신하며, 이 호르몬 수치는 임신 기간 동안 증가합니다. 다음은 일반 가이드입니다.

프로게스테론 1밀리리터(ng/mL) 당

  • • 임신 초기(first trimester) : 10~44 ng/mL
  • • 임신 중기(second trimester) : 19~82 ng/mL
  • • 임신 후기(third trimester) : 65~290 ng/mL

이 단계에서 임신하지 않으면 황체는 수축되어 작은 흉터 조직 조각으로 움츠러들어 죽습니다.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떨어질 것입니다. 생리 기간 동안 자궁 내막이 벗겨지고, 그 다음 전체 주기가 반복됩니다.

 

생리 기간 중 난자 크기, 자궁 내막 변화

 

황체기 기간

정상적인 황체기는 11~17일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여성은 황체기가 12~14일 동안 지속됩니다. 황체기는 10일 미만 지속되는 경우 짧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즉, 배란 후 10일 이내에 생리가 시작되면 황체기가 짧은 것입니다.

짧은 황체기는 자궁 내막(uterine lining)이 성장하는 아기를 지탱할 만큼 충분히 자라고 발달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임신이 더 어려워지거나 임신하는데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긴 황체기는 다낭성 난소증후군(PCOS : polycystic ovary syndrome)과 같은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또는 배란 후 오랜 시간 경과가 있다는 것은 임신했으며 아직 깨닫지 못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황체기의 길이는 나이가 들어도 변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폐경기에 가까워지면 이 단계에서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짧은 황체기의 원인과 치료

짧은 황체기는 황체기결함(LPD : luteal phase defect)이라는 질환의 증후 일 수 있습니다. 황체기결함(LPD)에서 난소는 평소보다 프로게스테론을 적게 생성합니다. 또는 자궁 내막이 프로게스테론에 반응하여 성장하지 않습니다. 황체기결함(LPD)은 불임과 유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정 생활 습관 요인도 짧은 황체기 뒤에 있을 수 있습니다. 황체기가 짧은 여성은 기간이 긴 여성보다 흡연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 흡연은 신체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생산을 줄여 황체기를 단축할 수 있습니다. 임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황체기결함(LPD)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 • 난포의 성장을 자극하는 불임 약물 클로미펜(clomiphene citrate, Serophene) 또는 폐경생식샘 자극호르몬(hMG :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 •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 생산을 증가시키는 인간생식샘 자극호르몬(hCG)
  • • 경구, 주사 또는 질 좌약에 의한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온도를 추적하여 기간 결정

배란이 되었고 황체기(luteal phase)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초 체온(BBT : basal body temperature)을 추적해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일어나서 화장실을 사용하거나 양치질을 하기 전에 일어나기 직전의 온도입니다.

주기의 첫 번째 부분(난포기, follicular phase) 동안 기초체온(BBT)은 36.1~36.4 ℃ 사이를 맴돌 것입니다. 배란이 되면 progesterone이 신체의 열 생성을 자극하기 때문에 기초체온(BBT)이 올라갑니다.

주기의 황체기(luteal phase)에 들어가면 기초체온은 난포기보다 약 0.5 ℃ 높아야 합니다. 배란이 되었고 황체기에 들어갔다는 것을 알려주는 이 온도를 찾습니다.

 

생리기간 중 난자, 자궁내막 등의 변화

 

맺음말

우리 몸이 임신을 준비하는 황체기는 생식 능력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황체기가 길거나 짧다고 의심되거나 배란이 되지 않는 것으로 의심되면 의사와 상담을 합니다. 의사는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의학적 문제를 식별하고 치료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35세 미만이고 적어도 1년 동안 임신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면 주치의나 불임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치료 가능한 생식 능력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35세 이상인 경우 시도한 지 6개월 후에 성공하지 못했다면, 진료가 필요합니다.

 

[Mov] The Menstrual Cycle | 3D Animation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