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 테스트의 목적 및 검사방법 : Ober’s Test


오버 테스트의 목적

오버 테스트 (Ober’s Test) 는 긴장하거나 수축된 염증이 있는 대퇴근막장근(넙다리근막긴장근, Tensor Fasciae Latae, TFL) 및 장경인대(Iliotibial band ,ITB)를 평가합니다. 오버 테스트(Ober’s Test)는 노블의 압박검사 (Noble’s compresstion test) 및 장경인대 증후군을 감지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다른 검사인 르네 검사(Renne test)와 혼동되어서는 안됩니다.

 

오버 테스트

 

임상 관련 해부학

해부학적으로 장경인대(ITB)는 대퇴근막장근(TFL)의 힘줄 부분의 연속이며 둔부 근육에서 일부 기여합니다. 대퇴근막장근(TFL) / 장경인대(ITB)는 고관절 외전 시 중둔근의 협력근 입니다.

 

대퇴근막장근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TFL)

 

 

기시 Origin

  • 대퇴근막장근(TFL) 은 장골능(iliac crest)의 외측순, 상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의 바깥 쪽 표면, 장골 척추의 바깥 쪽 표면, 근막의 깊은 표면에서 기시합니다.
  • 장경인대 (liotibial band ,ITB) 는 허벅지 근막이 외측 측면으로 뚜거워진 것입니다. 근위에서 장경인대는 표층과 심층으로 나뉘어 대퇴근막장근(TFL)을 둘러싸고, 이 근육을 장골능(iliac crest)에 고정시킵니다. 또한 대둔근(gluteus maximus)의 건 대부분을 받습니다.

 

정지 Insertion

  • 대퇴근막장근(TFL)은 허벅지 근위부와 중간 1/3의 교차점에서 앞쪽 허벅지의 ITB에 삽입합니다.
  • 장경인대(ITB)는 일반적으로 외측 대퇴 상과(lateral femoral epicondyle)를 지나 경골의 앞쪽 측면에 있는 저디씨 결절(Gerdy ‘s tubercle)에 부착되는 조밀한 섬유질 결합 조직의 띠로 간주됩니다.

 

움직임

  • 대퇴근막장근(TFL)은 엉덩관절의 굴곡, 내회전, 외전합니다. 대퇴 근막(fascia lata)을 긴장시킵니다. 무릎 신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중둔근(Gluteus medius), 소둔근(gluteus minimus), 대둔근의 상부 섬유(upper fibres of the gluteus maximus)는 고관절 외전근의 주요 협력근 입니다.
  • 장경인대(ITB)는 대퇴근막장근(TFL)과 대둔군(Gluteus maximus)이 신전된 무릎 관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허용합니다. 대퇴근막장근과 대둔근이 장경인대(ITB)에 정지하기 때문입니다.

 

장경인대증후군(ITBS)이란

장경인대 증후군(Iliotibial Band Syndrome)은 장경인대라고 불리는 힘줄이 엉덩이나 무릎 뼈에 자극을 가할 때 자극을 받거나 부어오르는 것입니다. 힘줄은 다리 바깥쪽에 위치하며 엉덩이 뼈의 꼭대기에서 무릎까지 이어집니다. 뼈가 너무 빡빡하면(단단하게) 뼈에 자극을 줍니다. 장경골대가 팽팽해지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힘줄은 근육을 뼈에 연결하는 유연하고 탄력 있는 섬유입니다. 근육이 눌리면 힘줄이 뼈를 잡아당겨 뼈가 움직이게 됩니다.

 

장경인대 증후군(ITBS)의 영향

젊고 꾸준히 운동한다면 장경인대증후군 발병 위험이 더 높습니다.장경인대증후군(ITBS)에 걸리기 쉬운 운동선수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농구 선수
  • 자전거 타는 사람
  • 하키 선수
  • 주자
  • 스키어
  • 축구 선수들

운동선수가 아니더라도 장경인대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평균보다 약간 더 높은 몇 가지 징후가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휜 다리
  • 한쪽 다리가 다른 쪽 다리보다 김
  • 무릎 관절의 관절염
  • 움직이는 동안 발목, 발 또는 발을 안쪽으로 돌리는 것입니다
  • 엉덩이, 둔부 또는 복부 근육의 약화

 

장경인대증후군은 흔한가요?

자주 달리는 사람, 특히 장거리를 달리는 사람도 취약합니다. 장경인대증후군은 달리기 부상의 약 12%를 차지합니다. 여성은 남성보다 장경인대증후군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장경인대 증후군의 원인 중 하나인 무릎 통증은 성인의 최대 25%에서 발생합니다.

 

오버 테스트를 위한 기술

Frank Ober는 ‘Back Strain and Sciatica’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대퇴근막장근(TFL) 및 장경인대(ITB)의 압박감 테스트를 설명했으며, 여기에서 수축된 대퇴근막장근(TFL) 및 장경인대(ITB)와 요통의 관계에 대해 논의했습니다(1935년 5월). 이것은 나중에 테스트를 수행하는 동안 엉덩이 내부 회전과 굴곡(hip internal rotation and flexion)을 피하도록 주의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1937년).

 

오버 테스트 위치
  • 환자는 아픈 쪽(영향을 받은 쪽)이 위로 향하도록 옆으로 눕는다.
  • 요추 곡선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아래 무릎과 엉덩이를 구부린다.
  • 환자 뒤에 서서 골반 / 대전자를 단단히 고정하여 어떤 방향으로든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 다른 손으로 환자의 아픈 쪽 다리의 말단부를 잡고 다리를 무릎에서 직각으로 구부린다.

 

테스트
  • 고관절 신전, 외전한다.
  • 움직임이 제한 될 때까지 다리를 테이블 (엉덩이 내전) 쪽으로 천천히 내린다.
  • 검사 중에 엉덩이가 내부적으로 회전하거나 구부러지지(hip internally rotate and flex) 않도록 하고, 골반을 안정시킨다. 허벅지의 굴곡과 내부 회전이 대퇴근막장근(TFL)에 긴장(tight)주고 길이를 정확하게 테스트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테스트 결과
  • 장경인대(ITB)가 정상이면 허벅지가 수평보다 약간 아래로 떨어지면서 다리가 내전되고 환자는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면, 음성
  • 장경인대(ITB)가 긴장되면, 다리는 외전 자세를 유지하고 환자는 외측의 무릎 통증을 경험한다면 양성

 

[Mov] Ober’s Test | Iliotibial Band Tightness

 

수정된 오버 테스트, Modified Ober Test

오버 테스트의 수정은 Kendalls이 [자세와 통증]에서 처음 권장했습니다. 이 테스트에서는 무릎 관절의 내측면에 대한 부담이 적고 슬개골의 긴장이 적으며, 긴장된 대퇴 직근에 의한 간섭이 적으며, 대퇴근막장근(TFL)에 완전한 스트레칭을 제공합니다.

 

테스트 위치
  • 환자는 허리를 평평하게 하기 위해, 옆으로 누운자세에서 아래 위치하는 다리의 엉덩관절과, 무릎 관절을 굴곡한다.
  • 검사자는 골반을 안정시키고 측면 몸통이 테이블에 닿도록 유지한다. 골반이 아래쪽으로 옆으로 기울어지면, 엉덩관절 외전과 같으며, 대퇴근막장근(TFL)은 긴장하게 된다.

 

테스트

검사자는 환자의 다리를 신전한다. 다리가 내부적으로 회전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테스트 결과

무릎을 곧게 펴고 골반을 중립 위치에 놓으면, 허벅지가 수평에서 약 10도 아래로 떨어진다. 정상적인 길이를 암시합니다. 다리가 떨어지지 않으면 장경인대(ITB)와 대퇴근막장근(TFL)이 긴장됨을 나타낸다.

 

 

 

You may also lik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