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네티 테스트, Tinetti Test : 균형 및 보행 평가도구
티네티 테스트
티네티 테스트(Tinetti Test)는 노인의 보행과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예일 대학의 메리 티네티(Mary Tinetti)가 고안한 평가방법입니다. 이 티네티 테스트는 실행지향움직임평가(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 POMA)라고도 합니다. 이 티네티 평가의 경우 개인의 낙상 위험을 평가하는 지침으로도 매우 좋습니다. Timed Up and Go test (TUG), one-leg stand and functional reach test와 같은 평가보다 오히려 이 티네티 테스트의 경우 낙상위험과 관련한 구분이 가능하고 예측이 가능한 항목들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보행과 균형
환자가 일어는 단계에 왔다면, 고유수용성감각 혹은 소뇌의 문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발이 끌리는 걸음, 비정상적인 무릎 신전, 과도한 발디딤, 발가락 끌기, 멈추거나 돌릴 수 없음 등은 모두 보행에 있어 이상 징후를 의미하죠. 이 징후들은 부분 시력 상실, 무릎 이나 엉덩이 관절의 근력 저하 , 고유수용성감각의 문제, 전두엽 기능 장애 또는 심지어 혈관 파행(vascular claudication)과 같은 몇 가지 건강 문제를 나타내기 때문에 추가 평가가 필요합니다.
환자가 의자에서 돌아설 때 넘어지듯이 않게 되는 것은 무릎 또는 엉덩이 굴곡의 약화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보행과 균형 사이에서의 문제점을 평가하고 정량화하여 낙상의 위험도를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티네티 테스트 입니다. 티네티 테스트는 균형 및 보행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로 균형과 보행 두 파트로 나뉘어서 평가하고 합산 점수 총점 28점 중 점수에 따라서 낙상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이 글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시면 티네티 테스트를 위한 평가지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평가방법
[Mov] Tinetti Test /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티네티 테스트
균형평가
초기 지시
피실험자를 딱딱하고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 앉게 한 뒤, 다음의 방법을 테스트한다.
균형평가 항목 |
항목 |
점수 |
1. 앉은 자세의 균형 |
구부리거나 의자에서 미끄러진다 |
0 |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이다 |
1 |
|
2. 일어선 자세 |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 |
0 |
가능하나 팔을 사용해야 한다 |
1 |
|
팔을 사용하지 않고 가능하다 |
2 |
|
3. 일어나려는 자세 |
도움 없이 불가능하다 |
0 |
가능하나 도움이 필요하다 |
1 |
|
도움 없이 가능하다 |
2 |
|
4. 일어선 직후의 균형(초기 5초) |
불안정하다(걷거나 발을 움직이거나 몸통이 흔들린다 |
0 |
안정적이나 보행 도구나 다른 지지 도구를 사용한다 |
1 |
|
보행 도구나 다른 지지 도구 없이 안정적이다 |
2 |
|
5. 일어난 자세에서의 균형 |
불안정하다 |
0 |
안정적이나 넓게 선다. (발 사이가 10cm 이상 떨어져 있다.)& 지팡이나 다른 지지 도구를 사용한다 |
1 |
|
지지 도구 없이 좁게 설 수 있다 |
2 |
|
6. 슬쩍 밀었을 때의 자세(피실험자는 가능한 발을 붙인 상태에서 검사자가 피실험자의 복장뼈를 손바닥으로 살짝 3번 민다) |
넘어진다 |
0 |
걷거나 움켜쥔다 |
1 |
|
안정적이다 |
2 |
|
7. 눈을 감은 상태(6번과 같은 자세) |
불안정하다 |
0 |
안정적이다 |
1 |
|
8. 360º 돌기 |
불연속적이다 |
0 |
연속적이다 |
1 |
|
불안정하다(걸어가 버리거나 뭔가를 움켜쥔다) |
0 |
|
안정적이다 |
1 |
|
9. 앉으려는 자세 |
불안정하다.(의자까지의 거리를 잘못 판단하거나 의자에 주저 앉는다.) |
0 |
팔을 사용하거나 부드럽지 못하다 |
1 |
|
안정적이고 부드럽다 |
2 |
|
균형점수(16점 만점) |
/16 |
보행 평가
초기 지시
피실험자를 검사자와 함께 서게 만든 뒤, 복도나 방을 가로질러 걸어간다. 처음에는 “보통” 속도로 걷다가 “빠르지만 안전한” 속도로 걷는다.
보행평가 |
항목 |
점수 |
10. 보행의 시작(“시작” 지시한 후) |
주저함이나 시작하려는 시도가 있다. |
0 |
어떠한 주저함도 없다. |
1 |
|
11. 걸음걸이의 길이와 높이 |
입각기 발을 못 지나 간다. |
0 |
오른쪽 입각기 발을 지나간다. |
1 |
|
왼쪽 입각기 발을 지나간다. |
1 |
|
12. 발 떼기 |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
0 |
왼쪽 발이 완전하게 바닥에서 떨어졌다. |
1 |
|
오른쪽 발이 완전하게 바닥에서 떨어졌다. |
1 |
|
13. 걸음걸이 균형 |
오른쪽과 왼쪽의 걸음걸이의 길이가 다르다. (측정) |
0 |
오른쪽과 왼쪽의 걸음걸이의 길이가 같다. (측정) |
1 |
|
14. 걸음걸이 연속성 |
오른쪽과 왼쪽의 걸음걸이가 연속적이지 않다. |
0 |
오른쪽과 왼쪽의 걸음걸이가 연속적이다. |
1 |
|
15.진로(30cm 지름의 플로어 타이로 측정; 한번의 걸음걸이를 3M로 측정 |
명백한 탈선 |
0 |
가벼운 탈선이나 보행 도구를 사용 |
1 |
|
보행 도구 없이 똑바로 걸음 |
2 |
|
16. 몸통 |
명백한 흔들림이나 보행 도구를 사용 |
2 |
흔들림은 없으나 보행 중 무릎, 등, 팔의 굴곡 |
1 |
|
흔들림, 굴곡, 보행 도구 및 팔의 움직임이 없다 |
2 |
|
17.보행 중 서기 |
뒤꿈치가 떨어져 있다 |
0 |
뒤꿈치가 붙는다 |
1 |
|
|
보행 점수 |
/12 |
균형 점수 |
/16 |
|
총점수 = 균형 점수 + 보행 점수 |
티네티 테스트 점수 결과
실행지향움직임평가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 POMA)
균형 점수 12점 + 보행 점수 16점
= 총점수 28점 만점
18 점 이하 : 고위험 낙상군
19 – 23 점 이하 : 중등도 위험 낙상군
24 점이상 : 저위험 낙상군
위 평가는 Berg balance test와 달리 균형 평가에 보행 평가까지 더함으로써 보행 중 균형 상태까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평가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티네티 테스트 평가지(균형+보행평가), Glasgow Coma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