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다]감각운동계 : 감각수용기 종류 및 특성
감각운동계와 감각수용기
감각수용기의 주요 역할은 우리 주변 환경이나 내부 환경 상태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다양한 소스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자극이 수신되어 신경계의 전기화학적 신호로 변경됩니다. 이 과정을 감각 전달 이라고 합니다.
이는 감각 뉴런에서 등급화된 전위를 생성하는 수용체에 의해 자극이 감지될 때 발생합니다. 충분히 강하면 단계적 전위는 감각 뉴런이 중추신경계(CNS)로 전달되는 활동 전위를 생성하게 하며, 그곳에서 다른 감각 정보(때로는 더 높은 인지 기능)와 통합되어 그 자극에 의식적인 인식이 됩니다. 중앙 통합은 모터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감각 또는 지각이라는 용어로 감각 기능을 설명하는 것은 의도적인 구별입니다. 감각은 자극 수준에서 감각수용기의 활성화입니다. 지각은 감각 자극을 인식과 관련된 의미 있는 패턴으로 중앙 처리하는 것입니다.
지각은 감각에 의존하지만 모든 감각이 지각되는 것은 아닙니다. 감각수용기는 감각을 감지하는 구조(때로는 전체 세포)입니다. 감각수용기 또는 감각수용기 세포는 자극에 의해 직접적으로 변화됩니다. 막횡단 단백질 수용기는 가장 흔히 이온 채널의 개방이나 세포 신호 전달 과정의 변화를 통해 뉴런의 생리학적 변화를 중재하는 세포막의 단백질입니다.
일부 막횡단 수용기는 리간드라는 화학물질에 의해 활성화됩니다. 예를 들어, 음식의 분자는 미각 수용기의 배위자(ligand)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수용기라고 정확하게 불리지 않는 다른 막횡단 단백질은 기계적 또는 열적 변화에 민감합니다. 이들 단백질의 물리적 변화는 막을 통과하는 이온 흐름을 증가시키고 감각 뉴런에 단계적 전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얀다]감각운동계 : 감각수용기 종류 및 특성 1 감각수용기](https://ucanwalk.net/wp-content/uploads/2018/09/20180831_102829.png)
우리 몸의 감각
얀다는 관절, 근육 그리고 신경계가
기능적으로 통합되고
근육 불균형에 대한 접근의 전제는
감각계와 운동계의 통합이라고 말합니다.
우리 몸에 주어지는 감각정보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통해
운동반응을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외부적으로 오는 구성정보가
중추신경계에서 처리되고,
운동계로 원심성정보를 돌려보내는
고리시스템을 형성합니다.
다소 고리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면 컴퓨터를 예로 들어봅니다.
감각정보는 정보입력(타이핑), 처리
중추신경계는 소프웨어, 하드웨어
운동반응은 출력
위와 같이 단순화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감각수용기 종류에는
• 기계수용기
• 근수용기
• 외부수용기
이렇게 3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감각수용기의 역할
말초수용기에 의한 자극의 습득,
기계적 자극을 신경적 신호로 변환 한 후
이러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중추신경계까지
구심성 경로를 따라 전달합니다.
![[얀다]감각운동계 : 감각수용기 종류 및 특성 5 [얀다]감각운동계 : 감각수용기 종류 및 특성 4](https://ucanwalk.net/wp-content/uploads/2018/09/20180831_095318.png)
기계적수용기(Mechanoreceptors)
관절낭안에는 4가지의 기계수용기가 있습니다.
자세, 관절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MerKel
• Meissner
• Ruffin
• Pacinian
근수용기(Muscular Receptors)
근수용기에는 고유수용성 정보를 제공하는
근방추(Muscle spindles ;MS)와
골지힘줄기관(Golgi tendon organs :GTO)이 있다.
MS는 근육 안에 위치하고
근섬유에 대해 평행하게 주행하며,
MS의 변과와 길이를 탐지하여
사지 위치감각과 움직임의
의식적인 지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GTO는 근육의 힘줄 안에 위치하고 있어
근막으로 덮여 있고,
근수축에 민감합니다.
![[얀다]감각운동계 : 감각수용기 종류 및 특성 11 [얀다]감각운동계 : 감각수용기 종류 및 특성 10](https://ucanwalk.net/wp-content/uploads/2018/09/20180831_101514.png)
외부수용기(Exteroceptors)
피부에 위치하여 촉감을 감지하는 수용기는
외부수용기로 나타냅니다.
운동범위에 따른 다양한 시점에서
피부가 신장되 움직임에 대한
고유수용성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림을 예로 들어 설명해보면
1. 손가락(수용기)에 자극이 주어지면
2. 수용기로 들어온 감각자극은
구심성정보로 통해 척수로 전달됩니다.
3. 전달받은 척수에서 명령신호를
운동신경으로 통해 근육으로 전달됩니다.
4. 원심성정보를 통해 들어온 명령신호로
근육을 수축하여 손을 빠르게 뗍니다.
이러한 반사들은 위험한 자극으로부터
신체일부분을 제거하는
반사성 운동반응을 일으키기때문에
회피반사라고도 합니다.
출처 : 얀다의 근육 불균형의 평가와 치료
[관련글] 고유수용성감각 : 눈으로 보지 않아도 내 몸의 상태를 알 수 있게 하는 6번째 감각
![[얀다]감각운동계 : 감각수용기 종류 및 특성 12 고유수용성감각](https://ucanwalk.net/wp-content/uploads/2017/04/20170328_025109-150x1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