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증상 및 원인, 유형 : 혹시 나도?


우울증 이란?

오늘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우울증 증상과 원인 그리고 어떤 유형이 있는지 알아보겠다. 우울증은 기분 장애로써 분류되고,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슬픔, 상실, 분노의 감정들로 설명될 수 있다. 우울증은 미국인 20명 중 1명 꼴로 나타난다고 추정된다. 사람들은 여러 방법으로 우울증을 경험한다. 일상생활과 일을 방해하고 인간관계와 만성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관절염, 천식, 심혈관 질환, 암, 당뇨병, 비만인 경우 우울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때때로 기분이 안좋아 지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부분이다. 슬프고 괴로운 일들은 우리의 삶에서 일어난다. 하지만, 계속해서 일관되게 비참하고 절망적인 느낌을 느끼는 것은 비정상이다.

우울증은 심각한 질병으로써 치료되어야 한다. 방치하게 되면, 우울증은 몇 달 혹은 몇 년 동안 지속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나빠진다. 하지만, 치료법을 찾은 사람은 종종 몇 주만에 증상이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울증 증상

 

우울증 증상 및 유형

우울증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타입을 정할 수 있는데 첫 번째 타입은 약하고 일시적인 슬픔, 우울감을 경험하고 두번째 타입은 심각하고 진행적인 우울감을 경험한다. 의사는 우울증 타입을 기반으로 치료계획을 찾아 도와줄 수 있는데 주요우울장애와 지속성 우울장애의 2가지 타입에 대해 알아보자.

 

주요우울장애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on Disorder : MDD)는 우울증 형태의 가장 심각한 상태이다. 지속적인 슬픔, 절망, 무가치함이 사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임상 우울증을 진단받으려면 2주에 걸쳐 5가지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경험해야만 한다.

 

주요우울장애 증상

  • 하루 대부분이 처짐
  • 규칙적인 활동에 흥미를 잃음
  • 확연한 체중 감소 또는 증가
  • 과수면 또는 불면증
  • 느린 사고 또는 움직임
  • 대부분의 낮에 피로 또는 낮은 에너지
  • 무가치함 또는 죄책감
  • 집중력 저하 또는 결정 장애
  • 죽음이나 자살을 생각함

 

우울증 증상 및 원인, 유형 : 혹시 나도? 2

 

지속성우울장애

지속성우울장애(Persistent Depression Disoder : PDD)는 기분부정장애 우울증(dysthymia)이라고도 한다. 경하지만 만성적인 우울증의 형태이다. 증상은 적어도 2년 동안 지속된다. PDD는 더 긴 기간 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임상적 우울증보다 더 삶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지속성우울장애 증상

  • 일상 활동에 흥미를 잃음
  • 절망감
  • 생산력 부족
  • 낮은 자존감
  • 비판적이고 즐길 줄 모름

 

우울증 증상 및 원인, 유형 : 혹시 나도? 4

우울증 원인

유년기 트라우마는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다. 왜냐하면 어떤 사건이 부딪혔을 때 몸이 두려움과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 반응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들은 유전에 의해 생긴다. 만약 가족 중 우울증이나 기분장애 병력이 있으면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른 일반적인 원인은:

  • 뇌 구조 : 이마엽 활동성이 감소하는 경우
  • 만성병, 불면증, 만성통증, 집중력 결손, 과행동 장애
  • 약과 술 남용
  • 낮은 자존감이나 자아비판적인 성격, 정신질환 병력, 지속적인 약물 복용,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이혼, 가족의 죽음등을 경험한 경우 30%가 우울증을 경험한다.

 

우울증 진단

우울증을 진단하는 단순한 테스트는 없다. 의사는 증상과 생리학적 평가로 우울증을 진단내릴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의사는 기분, 식욕, 수면 패턴, 활동 레벨, 생각에 관한 질문을 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울증은 다른 건강 문제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끔씩 갑상선 문제 또는 비타민 D 결손이 우울증 증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우울증 증상을 간과하지 마라. 기분이 좋아지지 않거나 더 다운된다면, 의학적 도움을 찾아라. 우울증은 합병증 위험을 가진 심각한 정신병이다. 우울증은 당신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이들에게 또한 영향이 미친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 무게 증가 또는 감소
  • 육체적 통증
  • 물질 남용 문제
  • 패닉 공격
  • 관계 문제
  • 사회적 고립
  • 자살 생각
  • 자해

우울증 증상 및 원인, 유형 : 혹시 나도? 6

 

우울증 치료

우울증을 앓고 있는 분들이 일상생활하기는 어렵지만 치료를 받음으로써 극복이 가능하다.

  • 약물치료(Medications) : 의사는 항우울증, 항불안, 또는 항정신병적인 약물을 처방해줄 것이다.
  • 정신요법(Psychotherapy) : 치료사와의 대화는 부정적인 생각을 극복하는 스킬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 광선치료(Light therapy) : 1회 복용량의 광선 노출은 기분을 조정하고 우울증 증상을 완화시키도록 도와준다. 이 치료는 일반적으로 계절에 민감한 장애(현재 계절 패턴에 따른 주요우울장애라고 불리는)가 있을 때 사용된다.
  • 대체치료사(Alternative therapies)에게 침이나 명상에 대해 여쭤봐라. 생선 기름과 같은 약초 보충물이 또한 우울증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보조제를 복용하기 전이나 명상 처방과 보조제를 병행할 때에 의사에게 상담을 받아라. 이렇게 하면 합병증과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몇 보조제는 우울증을 악화시키거나 약물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 운동(Exercise) : 5일 중 3일은 30분씩을 목표로 육체 활동을 해라. 운동은 기분이 좋아지게 하는 호르몬인 엔돌핀 생산을 증가시킨다.
  • 음주와 약을 피하라 : 음주나 약을 사용하는 것은 조금 나아진 것 같은 느낌을 준다. 하지만 장기간으로는 우울증과 불안증상 악화시킬 수 있다.
  • ‘싫어요’라고 말하는 것을 배워라 : 제압당하는 느낌은 걱정과 우울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삶으로 영역을 설정하면 더 좋게 느껴질 것이다.
  • 자신을 돌봐라 : 또한 당신을 돌봄으로써 우울증 증상이 나아질 수 있다. 충분한 수면, 건강한 식단 섭취, 부정적인 사람들 피하기, 재밌는 활동 참여하기가 그 예이다.

가끔씩 우울증이 약물에 반응하지 않을 때가 있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사는 다른 치료 방법을 추전할지도 모른다. 전기충격요법으로 뇌를 자극시키고 주요우울증을 치료하거나, 경두개 자기자극술로 신경세포를 자극시키고 기분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우울증을 일시적일 수도 있고 장기적일 수도 있다. 우울증이 치료를 통해 완전하게 사사지게 하는 것은 어렵지만, 우울증 치료는 종종 증상을 줄이기 쉽게 만든다. 의사가 추천해준 치료계획을 따르고 정기적으로 의사와 치료과정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증 증상의 조절은 올바른 약물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다.

이 글의 내용은 우울증에 대한 참고자료입니다. 정확한 질병의 진단과 처방 등은 의료기관에 방문하셔서 의사와의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관련글] 양극성 장애, 조울증 이란? bipolar disorder

 

[파일] 벡우울척도(BDI)평가지 

삼성의료원 우울증 자가진단 [바로가기]

 

 

 

You may also like...

2 Responses

  1. 2023-12-18

    […] [관련글] 우울증 증상 및 원인, 유형 : 혹시 나도? […]

  2. 2024-03-24

    […] [관려글] 우울증 증상 및 원인, 유형 : 혹시 나도?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